daum 1627

무생법인(無生法忍)-(禪門正路-5,성철큰스님,66페)-3

무생법인(無生法忍)-(禪門正路-5,성철큰스님,66페)-3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5. 무생법인(忍)-3 聲聞은 不知聖心이니 住於空定이요 諸菩薩은 沈空滯寂하야 不見佛性이라 若是上根衆生이면 忽遇善知識指示하야 言下에 領會하야 更不歷階級地位하고 頓悟本性이니라(馬祖語錄) 聲聞은 佛陀의 聖心을 모르니 空定(人空)에 住著하여 있고, 모든 菩薩들은 空(人空)에 沈潜하고 寂(法空)에 滯留하여 佛性을 보지 못한다. 만약에 上根衆生이면 忽然히 善知識의 指示를 받아서 言下에 了然히 領會하여 本性을 頓悟하느니라. ◎ 十地의 大菩薩도 見性을 못하였으니 二乘은 擧論할 필요도 없다. 上根大智는 地位와 階級을 초월하고 刹那에 究竟無心地에 頓入하여 正覺을 成就하나니, 이것이 他宗들이 追隨할 수 없는 禪門의 특색이다...

무생법인(無生法忍)-(禪門正路-5,성철큰스님,66페)-2

무생법인(無生法忍)-(禪門正路-5,성철큰스님,66페)-2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5. 무생법인(忍)-2 聲聞은 不知聖心이니 住於空定이요 諸菩薩은 沈空滯寂하야 不見佛性이라 若是上根衆生이면 忽遇善知識指示하야 言下에 領會하야 更不歷階級地位하고 頓悟本性이니라(馬祖語錄) 聲聞은 佛陀의 聖心을 모르니 空定(人空)에 住著하여 있고, 모든 菩薩들은 空(人空)에 沈潜하고 寂(法空)에 滯留하여 佛性을 보지 못한다. 만약에 上根衆生이면 忽然히 善知識의 指示를 받아서 言下에 了然히 領會하여 本性을 頓悟하느니라. ◎ 十地의 大菩薩도 見性을 못하였으니 二乘은 擧論할 필요도 없다. 上根大智는 地位와 階級을 초월하고 刹那에 究竟無心地에 頓入하여 正覺을 成就하나니, 이것이 他宗들이 追隨할 수 없는 禪門의 특색이다...

무생법인(無生法忍)-(禪門正路-5,성철큰스님,66페)-1

무생법인(無生法忍)-(禪門正路-5,성철큰스님,66페)-1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5. 무생법인(忍)-1 聲聞은 不知聖心이니 住於空定이요 諸菩薩은 沈空滯寂하야 不見佛性이라 若是上根衆生이면 忽遇善知識指示하야 言下에 領會하야 更不歷階級地位하고 頓悟本性이니라(馬祖語錄) 聲聞은 佛陀의 聖心을 모르니 空定(人空)에 住著하여 있고, 모든 菩薩들은 空(人空)에 沈潜하고 寂(法空)에 滯留하여 佛性을 보지 못한다. 만약에 上根衆生이면 忽然히 善知識의 指示를 받아서 言下에 了然히 領會하여 本性을 頓悟하느니라. ◎ 十地의 大菩薩도 見性을 못하였으니 二乘은 擧論할 필요도 없다. 上根大智는 地位와 階級을 초월하고 刹那에 究竟無心地에 頓入하여 正覺을 成就하나니, 이것이 他宗들이 追隨할 수 없는 禪門의 특색이다...

출세간승(出世間乘,2573)-뉴사전

출세간승(出世間乘,257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세간승(世間乘)의 대어(對語). 5승(五乘) 중에서 성문(聲聞)·연각(緣覺)·보살(菩薩)의 3승을 말함. 3계의 번뇌를 끊고 미혹의 세계를 나오는 가르침을 말함. 참고 세간승(世間乘,1375)-뉴사전 : 세간의 선한 과보를 얻는 가르침. 5승 가운데 인승(人乘)과 천승(天乘)은 세간의 선한 과보를 얻기 위한 가르침이므로 이와같이 말함. 출세간승의 반대.→오승 .....세간(世間,1374)-뉴사전 : ① 세는 흐름의 변천. 간은 중간의 뜻. 변하며 흘러 멈추지 않는 현상 세계를 말함. 세계와 같음.→세계 ② 자연 환경으로서의 세계. 기세간(산, bhajana-loka). ③ 세상. ④ 세상 사람들. ⑤ 이세상. ⑥ 세상 중에 살..

승(乘)이란? 2021.03.02

세간승(世間乘,1375)-뉴사전

세간승(世間乘,137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세간의 선한 과보를 얻는 가르침. 5승 가운데 인승(人乘)과 천승(天乘)은 세간의 선한 과보를 얻기 위한 가르침이므로 이와같이 말함. 출세간승의 반대.→오승 참고 세간(世間,1374)-뉴사전 : ① 세는 흐름의 변천. 간은 중간의 뜻. 변하며 흘러 멈추지 않는 현상 세계를 말함. 세계와 같음.→세계 ② 자연 환경으로서의 세계. 기세간(산, bhajana-loka). ③ 세상. ④ 세상 사람들. ⑤ 이세상. ⑥ 세상 중에 살아가는 것. 중생세간. 중생. ⑦ 복잡한 윤회의 모양. 더러운 속세간. 미혹의 세계. ⑧ 무상한 일체의 존재. ⑨ 유루법(산, anasrava-dharma)의 다른 이름.「구사론」계품(界品)에「세간이라 이름한다...

승(乘)이란? 2021.03.01

무상정각(無上正覺)-(禪門正路-4,성철큰스님,45페)-3

무상정각(無上正覺)-(禪門正路-4,성철큰스님,45페)-3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4. 무상정각-3 即見佛性하야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니라(大涅槃經 二) 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하야 得見佛性이니라(大涅槃經 二十) 곧 佛性을 正見하여 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證得하느니라. 반드시 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證得하여서 佛性을 正見함을 얻느니라. ◎ 阿耨多羅三藐三菩提는 無上正覺 또는 無上正遍知等으로 번역되나니, 正覺의 내용이 正遍知에 있으므로 同一한 의미이다. 이 無上正覺인 正遍知는 佛敎의 最後 究竟目標이다. 見性을 하면 正覺을 얻고 正覺을 얻으면 見性을 한다 함은, 見性 즉 正覺이요 正覺 즉 見性임을 宣說한 것이다. 그러므로 見性이 즉 無上正覺이며 成佛이다. 我性者는 如來秘密之藏이니 若得成就阿耨多羅三藐三菩提하..

무상정각(無上正覺)-(禪門正路-4,성철큰스님,45페)-2

무상정각(無上正覺)-(禪門正路-4,성철큰스님,45페)-2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4. 무상정각-2 即見佛性하야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니라(大涅槃經 二) 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하야 得見佛性이니라(大涅槃經 二十) 곧 佛性을 正見하여 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證得하느니라. 반드시 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證得하여서 佛性을 正見함을 얻느니라. ◎ 阿耨多羅三藐三菩提는 無上正覺 또는 無上正遍知等으로 번역되나니, 正覺의 내용이 正遍知에 있으므로 同一한 의미이다. 이 無上正覺인 正遍知는 佛敎의 最後 究竟目標이다. 見性을 하면 正覺을 얻고 正覺을 얻으면 見性을 한다 함은, 見性 즉 正覺이요 正覺 즉 見性임을 宣說한 것이다. 그러므로 見性이 즉 無上正覺이며 成佛이다. 我性者는 如來秘密之藏이니 若得成就阿耨多羅三藐三菩提하..

무상정각(無上正覺)-(禪門正路-4,성철큰스님,45페)-1

무상정각(無上正覺)-(禪門正路-4,성철큰스님,45페)-1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4. 무상정각-1 即見佛性하야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니라(大涅槃經 二) 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하야 得見佛性이니라(大涅槃經 二十) 곧 佛性을 正見하여 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證得하느니라. 반드시 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證得하여서 佛性을 正見함을 얻느니라. ◎ 阿耨多羅三藐三菩提는 無上正覺 또는 無上正遍知等으로 번역되나니, 正覺의 내용이 正遍知에 있으므로 同一한 의미이다. 이 無上正覺인 正遍知는 佛敎의 最後 究竟目標이다. 見性을 하면 正覺을 얻고 正覺을 얻으면 見性을 한다 함은, 見性 즉 正覺이요 正覺 즉 見性임을 宣說한 것이다. 그러므로 見性이 즉 無上正覺이며 成佛이다. 我性者는 如來秘密之藏이니 若得成就阿耨多羅三藐三菩提하..

번뇌망상(煩惱妄想)-(禪門正路-3,성철큰스님,39페)

번뇌망상(煩惱妄想)-(禪門正路-3,성철큰스님,39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 번뇌망상 以根本無明이 動彼眞如하야 成於三細를 名爲梨耶요 又以境界緣故로 動彼心海하야 起於六麁를 名爲意識이니라(賢首 起信論別記) 根本無明이 眞如本性을 皷動하여 三種의 微細한 妄想을 結成하니 阿賴耶라 한다. 그리고 各種의 境界攀緣으로 妄心業海를 起動하여 六箇의 麁重煩惱를 添起하니 이를 意識이라 한다. ◎ 煩惱妄想에 無分別인 三種微細와 有分別인 六種麁重이 있어 八萬四千의 無量煩惱를 派生한다. 三細는 根本無明으로 阿梨耶 阿陀那 및 第八識等으로 부르고 六麁는 意識 혹은 第八識이라 한다. 그리고 第七末那는 計內爲我하야 屬前三細하고 計外爲我所하야 屬後六麁일새 畧不論(賢首 起信論義記)이라 하였다. 諸師의 論疏에 三細를 ..

일승(一乘,2144)-뉴사전

일승(一乘,214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하나의 타는 물건. 또 일불승(一佛乘)이라고 한다. 일(一)은 유일무이(唯一無二), 승은 탈것으로, 중생을 실어 깨달음으로 향하게 하는 교리를 비유한 말. 불교의 갖가지 교설(敎說)은 어떤 것이나 그 존재의의가 있고, 각각 부처님이 중생을 인도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설한 것으로, 실은 유일한 진실의 가르침이 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것에 의해 어떠한 중생도 모두 부처가 될 수 있다고 설한다. 일승의 사상은「법화경」「승만경」「화엄경」등에서 설해지고 있지만, 특히「법화경」에서 강조되어진다. 사람의 자질이나 능력에 따라, 성문·연각·보살 각각의 고유한 실천법이 있다고 하는 삼승(三乘)의 견해에 대하여, 삼승은 일승(一乘)으로 나가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