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識) 36

삼능변(三能變,1167)-뉴사전

삼능변(三能變,116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유식설(唯識說)에서 8식(識)을 능변(能變)이라 하고, 이것을 3종류로 나누어 말함. (1) 초능변(初能變). 아뢰야식(第八識). (2) 제2능변(第二能變). 사량식(思量識 : 제7식, 마나식). (3) 제3능변(第三能變). 요별경식(了別境識 : 대상을 인식하는 식(識), 즉 안(眼) 등의 6식(六識)). 참고 유식설(唯識說)→유식(唯識,1817)-국어사전 : 불교에서, 일체의 제법(諸法)은 오직 식(識)이 변하여 이루어진 것이라는 말. [법상종(法相宗)의 근본 원리임.] ...유식(唯識,1947)-뉴사전 : 산, vijnapti-matrata [티 rnam par rig pa tsam(nid)]의 한역. 단지, 표상일 뿐. 산,..

식(識) 2023.09.12

육식(六識,1829)-국어사전

육식(六識,182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육경(六境)의 대상을 육근(六根)에 따라 인식하는 여섯 가지 마음의 작용, 곧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 참고 식(識,1456)-국어사전 : 불교에서, 대상을 식별하여 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르는 말. ...식(識,1501)-뉴사전 : 산, vijnana 팔, vinnana의 한역. ① 인식작용. 식별작용. 작용하는 마음. 식별의 작용을 이루는 것. 인식하는 마음. 인식기능. 시(視)·청(聽)·후(嗅)·미(味)·촉각(觸覺)의 기관 및 사고력을 매개로 하는 6종의 인식기능.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의 6종의 인식작용이 색(色)·형(形)·성(聲)..

식(識) 2022.03.05

팔식체별(八識體別,2674)-뉴사전

팔식체별(八識體別,267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팔식체일(八識體一)의 반대. 팔식(八識)의 체(體) 그 자체가 각각 별개라고 하는 설(說). 호법(護法) 계통의 유식설(唯識說)에서는 정통설(正統說)로 삼지만, 유식설(唯識說)의 발전사 전체에서 보면, 하나의 특수한 설임. 호법(護法) 계통의 유식교학(唯識敎學)에서만 설명되는 설로 다른 데에는 예(例)가 없음. 참고 팔식체일(八識體一,2675)-뉴사전 : 팔식체별(八識體別)의 반대. 팔식(八識)의 체(體) 그 자체는 하나이며, 팔식(八識)은 일식(一識)의 나누어진 작용이라고 함. 진제역(眞諦譯)「攝論」에 설명되어 있는 사상임. ...섭론(攝論,1345)-뉴사전 :「섭대승론(攝大乘論)」의 약칭. ...섭대승론(攝大乘論,1344)..

식(識) 2021.12.02

여래식(如來識,1713)-뉴사전

여래식(如來識,171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 불식(佛識)을 말함. 제9아마라식(第九阿摩羅識)을 말함.→아마라식 참고 여래(如來,1711)-뉴사전 : ① 팔, 산, tathagata의 한역. 팔, 산, tatha(이와 같이)+팔, 산, gata(갈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한역자는 팔, 산, tatha+팔, 산, agata(올 수 있다)라고 해석하여「여래」라 하였다. 수행을 완성한 사람. 인격완성자. 완전한 사람. 향상에 전념한 사람. 향상하여 오는 사람. 진리의 체현자. 불교뿐만 아니라 당시 인도의 일반제종교에서 널리 시용되었던 호칭임. 자이나교에서는 알마다가디어로 수행완성자를 tathagaya라고 함. ② 부처님이라는 뜻. 부처님의 십호(十號)의 하나. 깨달음의 완성에..

식(識) 2021.10.14

요별식(了別識,1860)-뉴사전

요별식(了別識,186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요별경식(了別境識)과 동일. 산, khyati-vijnana 참고 요별경식(了別境識,1860)-뉴사전 : 경(境 : 대상)을 요별(了別 : 인식)하는 식(識)의 의미. 유식설(唯識說)에서 육식(六識)을 말함. 대상을 인식하는 것을 주로하는 기능이므로 이렇게 말함.「能了別境名爲識」 .....경(境,89)-뉴사전 : ① 대상. 외계의 존재. 현상. 물(物). 사물. 외계의 사물. 감관(感官)과 마음에 의해 지각되고 사려되는 대상. 일반적으로는 귀·눈·코·혀·몸·의(意)의 6기관이 감각작용을 일으키는 대상, 즉 6경(六境)을 말함. 이들은 인간의 마음을 더럽히기 때문에 진(塵)이라 함. 산, visaya 산, gocara(원뜻은 마음을..

식(識) 2021.05.01

업식(業識,1707)-뉴사전

업식(業識,170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방황하는 세계에 유전하여 왔다는 것에 의해 일어나는 의식작용. ② 진여의 법이 본래 평등일미(平等一味), 무차별이라는 것을 있는 그대로 지각할 수 없는 무명 때문에, 불각망상심(不覺妄想心)이 가동하는 것을 말함. 5의(意)의 하나. ③ 숙업(宿業)의 인(因)에 의해 감득(感得)한 심식(心識)을 말하는 것으로, 범부의 마음을 말함. 선업·악업에 의해서 초래된 과보로서의 식(識). (해석예) 기신론(起信論)의 업식(業識)이라고 하는 것은 근본무명의 힘에 의해서 방황의 근본을 일으키는 것. 업은 동작이라는 뜻으로 움직이는 것. 12인연 중의 식(識).「구사론(俱舍論)」에서는 결생(結生)의 식(識)이라고 함. 과거로부터 금생에 태어나옴...

식(識) 2020.10.09

의식(意識,2029)-뉴사전

의식(意識,202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알고 사고하는 마음. 생각하는 마음. 현대의「의식」과 반드시 같지는 않다. 의식은 과거·미래의 대상에 대해서도 작용한다. 즉, 과거를 추억하고 미래를 예상할 수가 있다. 제6식. ② 뜻에 의해 생기는 집착. 의식은 상속식(相續識)과 다르지 않지만, 상속식은 세(細), 의식은 추(麤), 즉 상속식이 실제상 작용하는 것이 의식이다. ③ 의식의 영역.

식(識) 2020.08.16

신식(身識,1520)-뉴사전

신식(身識,152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촉각의 인식, 촉각적 인식작용의 뜻. 촉각하는 마음. 신체(身體)로 대상을 지각하는 작용. 참고 촉각(觸覺,2322)-국어사전 : 오감(五感)의 하나. 온도나 아픔 따위를 분간하는 피부의 감각. 촉감(觸感). .....오감(五感,1695)-국어사전 :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의 다섯 감각. 오각(五覺). 인식(認識,2114)-뉴사전 : (1) 사물을 확실히 알고 그 의의(意義)를 옳게 이해하는 것. (2) 의식(意識)하여 아는 작용의 총칭. .....인식(認識,1903)-국어사전 : ① 사물을 깨달아 아는 일. ② 사물의 의의를 바르게 이해하고 판별하는 마음의 작용. 작용(作用,2210)-뉴사전 : ① 일. 활동. 사물에 갖추어 있..

식(識) 2020.08.15

설식(舌識,1340)-뉴사전

설식(舌識,134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미각하는 마음. 혀의 감각. 6식(六識)·8식(八識)의 하나. 혀에 따라 맛을 알아차리는 의식(인식작용), 설근(舌根)을 근거로 함.→육식 (해석예) 맛을 아는 마음. 참고 미각(味覺,879)-국어사전 : 오감(五感)의 하나. 혀 따위로 맛을 느끼는 감각. [단맛·짠맛·쓴맛·신맛 따위의 감각.] 미감(味感). 심(心,1540)-뉴사전 : ① 마음. 우주의 존재 일반에 대한 인간의 정신. 심왕(心王)이라고도 함. 산, citta 「마음을 허적(虛寂)하게 가라앉히다」② 지의(智顗)는 산, citta를 산, ci(겹쳐 쌓는다)라는 어근(語根)으로부터 왔다고 이해하고,「積聚精要」로 해석하고 있음. 이것은 인도에서의 통속어원해석을 받고 있는 ..

식(識) 2020.08.14

비식(鼻識,1023)-뉴사전

비식(鼻識,102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코의 감각. 후각기관에 의한 식별 작용. 후각하는 마음. (해석예) 향을 맡는 마음. 참고 코(2377)-국어사전 : ① 척추동물의 오관(五官)의 하나. 호흡기로 통하는 기도(氣道)가 몸 밖으로 열려 있는 부분. 숨을 쉬고 냄새를 맡는 구실을 하며, 발성(發聲)에도 관계됨. ② 코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진득진득한 액체. 콧물. ③ 고무신이나 버선 등의 앞쪽 끝에 오똑하게 내민 부분. 감각(感覺,56)-국어사전 : ① 눈·귀·코·혀·살갗 등을 통하여 어떤 자극을 받아들임. ② 사물의 가치나 변화 등을 알아내는 정신 능력. 후각기(嗅覺器,2673)-국어사전 : 냄새를 느끼는 감각기관. 척추동물은 코, 곤충류는 촉각임. 후관. 식별(識別,1..

식(識) 2020.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