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뇌! 번뇌(煩惱)가 무엇인가? 51

마군(魔軍,736)-국어사전

마군(魔軍,73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헤살을 부리는 무리. ② 불교에서, 불도를 방해하는‘온갖 번뇌나 악사(惡事)’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참고 헤살을→헤살(2604)-국어사전 : 짓궂게 훼방함, 또는 그 짓. ...짓궂다(2231)-국어사전 : 일부러 남을 귀찮게 하여 곰살갑지 않다. 성미가 심술궂은 데가 있다. ...심술궂다(1484)-국어사전 : 심술이 몹시 많다. ...심술(心術,1484)-국어사전 : ① 온당하지 않게 고집을 부리는 마음. ② 짓궂게 남을 괴롭히거나 남이 잘되는 것을 시기하거나 하는 못된 마음. ...온당하다(穩當-,1719)-국어사전 : 사리에 맞고 무리가 없다. ...무리¹(無理,845)-국어사전 : ① 힘겨운 일을 억지로 우겨서 함. ②..

혜검(慧劍,2619)-국어사전

혜검(慧劍,261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일체의 번뇌를 끊어버리는 지혜’를 날카로운 칼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

지혜화(智慧火,2207)-국어사전

지혜화(智慧火,220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지혜가 번뇌를 태워 없앰을 불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북방 불교..

영원한 자유-49(성철큰스님,20페)

영원한 자유-49(성철큰스님,20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시황- 그 유명한 진시황(秦始皇, 기원전 259-210)의 경우는 또 어떠한 지 봅시다. 그는 춘추전국 시대의 맹상군보다 후대의 사람으로 6국(六國)을 정벌하고 중국 천하를 통일하여 진(秦)나라 대제국을 건설한 만고의 영웅 가운데 영웅입니다. 그가 천하를 통일하고 보니 모든 것이 자기 것으로 보였습니다. 그래서 천하의 좋은 물건, 좋은 음식, 좋은 옷, 미인들을 모두 자기 것으로 만들었습니다. 또 자기가 거처하는 궁궐을 지어 아방궁(阿房宮)이라 불렀는데 집의 길이가 무려 칠백 리에 뻗쳤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한양의 궁궐 둘레가 사십 리라고 하니 진시황의 궁궐 둘레는 천 리가 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뒷날 항우(項羽)라는..

삼혹(三惑,1232)-국어사전

삼혹(三惑,123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도를 닦는 데 장애가 되는 세 가지 번뇌. [견사혹(見思惑)·진사혹(塵沙惑)·무명혹(無明惑).]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

백팔번뇌(百八煩惱,975)-국어사전

백팔번뇌(百八煩惱,97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108가지의 번뇌. 사람의 6가지 감각기관으로 느끼는 고(苦)·락(樂)·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또 여기에 탐(貪)·불탐(不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는데, 이것을 과거·현재·미래에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됨. 참고 번뇌(煩惱,982)-국어사전 : ① 마음이 시달려서 괴로움. ② 불교에서,‘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모든 망념(妄念)’을 이르는 말. [욕망·노여움·어리석음 따위.] ...망념(妄念,768)-국어사전 : 망상(妄想). ...망상(妄想,769)-국어사전 : ① 있지도 않은 사실을 상상하여 마치 사실인 양 굳게 믿는 일, 또는 그러한 생각. 망념(妄念). ② 정신 장애로 말미암아 생기는..

사번뇌(四煩惱,1075)-뉴사전

사번뇌(四煩惱,107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탐(貪)·진(瞋)·만(慢)·치(癡)를 말함. ② 사혹(四惑)을 말함. 유식설에 있어서, 제7식과 항상 결부되어 일어나는 네 가지의 근본번뇌를 말함. (1) 아치(我癡). 무아(無我)의 이치에 미혹한 무명(無明)을 말함. (2) 아견(我見). 비아(非我)인 것을 아(我)라고 간주하는 아집을 말함. (3) 아만(我慢). 아(我)를 믿고 자만하는 것을 말함. (4) 아애(我愛). 아(我)에 깊이 집착하는 것을 말함. 참고 탐(貪,2407)-국어사전 : 의 준말. ...탐욕(貪慾,2408)-국어사전 : ① 탐내는 욕심. 준) 탐(貪). ② 불교에서 이르는 삼독(三毒)의 하나. 자기 뜻에 맞는 사물에 애착하여 만족할 줄 모르는 일. ...

팔만지옥(八萬地獄,2471)-국어사전

팔만지옥(八萬地獄,247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중생이 번뇌 때문에 당하는 수많은 괴로움을 지옥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팔만나락(八萬奈落). 참고 지옥(地獄,2200)-국어사전 : ① 불교에서, 이승에서 악업을 지은 사람이 죽어서 간다고 하는, 온갖 고통으로 가득 찬 세계. 나락(那落).↔극락(極樂). ② 기독교에서, 큰 죄를 지은 사람의 혼이 신의 구원을 받지 못하고 악마와 함께 영원히 벌을 받는다는 곳.↔천국·천당. ③‘못 견딜 만큼 괴롭고 참담한 형편이나 환경’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지옥(地獄,2430)-뉴사전 : 지하에 있는 감옥. 고통이 가득찬 세계. 현세에 악업(惡業)을 행한 자가, 사후 그 보답을 받는 곳. 죄업의 결과로서 받게 된 생존 ..

팔성언(八聖言,2674)-뉴사전

팔성언(八聖言,267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견(不見)·불문(不聞)·불각(不覺)·불지(不知)를 사실대로 보지 않았다고 하며, 듣지 않았다고 하며, 깨닫지 않았다고 하며, 알지 못한다고 함. 또 보고, 듣고, 깨달으며, 알고 있는 것을(所見·所聞·所覺·所知) 보았다고 하며, 들었다고 하며, 깨달았다고 하며, 알고 있다고 하는 것. 참고 성언(聖言,1364)-뉴사전 : ① 부처님의 말. 산, avavada (훈계) ② 실리에 맞는 바른 말. ③ 성전의 말. 또는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의 말. 특히 베다성전을 말함. 세 개의 지식근거의 하나. 산, apta-vacana 불견(不見,954)-뉴사전 : ① 보지 않는 것.→사불견(四不見) 산, adarsana 산, adrsya 산, ..

백팔번뇌(百八煩惱,787)-뉴사전

백팔번뇌(百八煩惱,78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번뇌의 종류가 많은 것을 보이기 위해 백팔(百八)이라는 수를 든 것. 백팔결(百八結)이라고도 한다. 중생의 번뇌 수효가 108이란 말. 2종이 있다. ➀ 6근(根)으로 6진(塵)을 대할 때 저마다 호(好)·오(惡)·평등(平等)의 세 가지가 서로 같지 않아서 18번뇌를 일으키고, 또 고·낙·사(苦·樂·捨)의 3수(受)가 있어 18번뇌를 내니, 모두 합하여 36종. 또 이를 3세(世)에 배(配)하여 108번뇌가 된다. ➁ 3계(界)의 견혹(見惑) 88사(使)에 3계의 수혹(修惑) 10혹과 무참(無慚)·무괴(無愧)·혼침(昏沈)·악작(惡作)·뇌(惱)·질(嫉)·도회(掉悔)·수면(睡眠)·분(忿)·부(覆)의 10전(纏)을 더한 것. 「煩惱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