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체개공(一切皆空) 19

삼세시방(三世十方,1225)-국어사전

삼세시방(三世十方,122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삼세와 시방. 곧, 끝없는 시간과 공간. 참고불교에서 이르는⇒00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흔히, 석가여래..

무변세계(無邊世界,847)-국어사전

무변세계(無邊世界,84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끝없이 넓고 큰 세계. 참고 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북방 불교를 이루고 있..

식무변처(識無邊處,1503)-뉴사전

식무변처(識無邊處,150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식처(識處)라고도 함. 공무변처(空無邊處)를 넘어 식(識)을 무변(無邊)이라고 관(觀)하는 선정. 인식작용의 무한성에 대한 삼매(三昧)의 경지. 외부의 허공의 상(相)을 멀리하고 내부의 식(識)을 관(觀)하여 식(識)이 무변(無邊)이라는 생각을 이루는 것. (BS) vijnananantyayatana 참고 식처(識處,1507)-뉴사전 : 식무변처(識無邊處)와 같음. 팔, vinnanancayatana 공무변처(空無邊處,142)-뉴사전 : 무량공처(無量空處)라고도 함. 물질적 존재가 절대무(絶對無)인 공간의 무한성에 대한 삼매(三昧)의 경지. 욕계(欲界)와 색계(色界)에서 일체의 물질적인 형태를 벗어나 일체의 작의(作意)가 없고..

삼론(三論,1220)-국어사전

삼론(三論,122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삼론종에서 경론으로 삼는 세 가지 책. 곧, 용수(龍樹)보살이 지은 중론(中論)과 십이문론(十二門論), 그 제자인 제파(提婆)가 지은 백론(百論). 참고 삼론종(三論宗,1220)-국어사전 : 삼론(三論)을 기본 경전으로 하는 대승불교의 한 파. ...삼론(三論,1220)-국어사전 : 삼론종에서 경론으로 삼는 세 가지 책. 곧, 용수(龍樹)보살이 지은 중론(中論)과 십이문론(十二門論), 그 제자인 제파(提婆)가 지은 백론(百論). ...삼론종(三論宗,1173)-뉴사전 : 성종(性宗)·공종(空宗)·파상종(破相宗)이라고도 함. 인도 대승불교의 중관계(中觀系)·유가계(瑜伽系) 중의 중관계에서 시작되어 중국에서 크게 번성한 종파. 용수가 지..

공공적적-하다(空空寂寂-,218)-국어사전

공공적적-하다(空空寂寂-,21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① 우주 만상은 실체(實體)가 없는 공(空)이며, 사유(思惟)를 초월해 있다. ② 아무것도 사로잡히지 아니하고 무아무심(無我無心)이다.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생법이공관(生法二空觀,1285)-뉴사전

생법이공관(生法二空觀,128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생공관(生空觀)과 법공관(法空觀). 인간존재도 공이고 외적대상도 또 공(空)이라고 생각하는 대승(大乘)보살의 견해. 이 견해에 의해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을 끊는 것임. 참고 생(生,1282)-뉴사전 : ① 생성되는 것. 생기(生起)하는 것. (1)…가 생긴다(자동사). (2)…을 생성함(타동사).「法不能生也」 ② 모여서 생기다. 여러 가지 요소가 집합하여 나타나는 것. ③ 생기는 것. 생산자. ④ 미래에 생성되어야 할, 정해져 생성되어야 할 의 뜻. ⑤ 생성되게 하다의 뜻. 생성된 것. ⑥ 생것. 숙(熟)의 반대. ⑦ 유정이 태어나는 것. ⑧ 출생. 태어나 나오는 것. 탄생. 12인연의 제11지(支). ⑨ 태어나는 방..

일체유위(一切有爲,2161)-뉴사전

일체유위(一切有爲,216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주간의 온갖 물심적(物心的)인 여러 현상과 모든 현상의 법칙을 5온(五蘊)이라 한다. 이것이 모두 여러 가지 인연으로 생겨나고 위작(僞作) 또는 조작되는 것이므로 유위(有爲)라 한다. 참고 우주(宇宙,1774)-국어사전 : ① 온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 ② 천문학에서, 천체를 비롯한 만물을 포용하는 물리학적 공간을 이름. ③ 철학에서, 질서있는 통일체로서의 세계를 이름. 온갖(1719)-국어사전 : 모든 종류의. 여러 가지의. 별별(別別). 물심(物心,873)-국어사전 : 물질과 정신. 현상(現象,2512)-국어사전 : ① 관찰할 수 있는 사물의 형상. ② (철) 본질과의 상관적인 개념으로서의 본질의 외면적인 상. ....

인법이공(人法二空,2111)-뉴사전

인법이공(人法二空,211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공(人空)과 법공(法空). 참고 인공(人空,2104)-뉴사전 : 또는 아공(我空)·생공(生空)이라고도 한다. 아견(我見)에 의해 집착하는 것과 같은 인아(人我 : 실체로써의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자기의 주관(主觀)을 버리는 것. 법공(法空)의 반대. 인무아(人無我)와 동일.→인무아 .....아공(我空,1615)-뉴사전 : 또는 생공(生空)·인공(人空)·인무아(人無我)라고도 함. 중생의 몸은 오온(五蘊)의 화합이며, 상(常)·일(一)·주(主)·재(宰)의 아(我)가 없다는 것. (해석예) 상아주재(常我主宰)의 불가득함을 말함. .....생공(生空,1282)-뉴사전 : ① 중생공(衆生空)의 약칭. 또는 아공(我空)·인공..

일체개공(一切皆空,2159)-뉴사전

일체개공(一切皆空,215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우주가 파괴될 때에 모든 물체가 소멸하는 것. ② 모든 현상이나 존재가 공(空)이라는 것. 참고 일체(一切,2159)-뉴사전 : ① 모든. 수가 많음. 전부. 모두. 전체를 포함해서 말하는 전부의 일체와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소분(少分)의 일체가 있다. 산, sarva ② 일체의 법. 즉 5온(五蘊)·12처(處)·18계(界)와 같은 각각의 견해에 있어서 법의 체계를 말한다. 오온(五蘊,1816)-뉴사전 : 5개의 집합. 5종류의 무리의 의미. 온(蘊 산, skandha)은 적집(積集)의 뜻으로 해석되어져, 모임을 말함. ① 각각의 존재의 5개 구성요소(집합). 각각의 존재를 포함해서, 모든 존재를 5개의 모임(五蘊)의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