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지(十地) 7

공용(功用,149)-뉴사전

공용(功用,14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노력. 산, abhisamakara 산, abhoga 산, karan-iya 산, kara 팔, prayatna 산, vyayama 산, yatna ② 신(身)·구(口)·의(意)의 동작을 말한다. 산, vyapara ③ 기능. 작용. 공능(功能)과 같음. 산, samarthya ④ 선문(禪門)에서는 일반적으로 수행의 효과를 말한다. 참고 공능(功能,139)-뉴사전 : ① 결과를 낳는 작용. 잠재적인 힘. 작용과는 거의 같은 뜻이지만, 작용은 직접적인 기능으로, 공능(功能)은 간접적인 기능으로 구별되는 경우도 있다. 흔히는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데에 쓴다. ② 작용. 공용(功用). ③ 능력이 있는 것. ④ 효과. ⑤ 유식설(唯識說)에..

십지(十地) 2021.01.10

견도(見道,72)-뉴사전

견도(見道,7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사제(四諦)를 관찰하는 단계. 견소단(見所斷)의 번뇌를 잘라버리는 과정. 무루성도(無漏聖道)를 처음으로 발견하여, 성자의 무리에 든 위(位)로 견제도(見諦道)라고도 함. 최후의 깨달음의 과정. 소승에서는 예류향(預流向), 대승에서는 초지(初地)를 말함. 각각 이 이상(以上)을 성자라고 함.「구사론」에서는 사선근(四善根)의 제4인 세제일법(世第一法)의 직후에 무루(無漏)의 정지(正智)를 일으키고, 십육심(十六心)에 의해 점차로 욕(欲)·색(色)·무색(無色)의 삼계(三界)의 사제(四諦)를 깨닫는 가운데에 앞의 십오심(十五心)을 견도(見道)라고 함. 유식설(唯識說)에서는 오위(五位)의 제삼(第三)인 통달위(通達位)를 견도(見道)라고 함. ..

십지(十地) 2020.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