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유생연(中有生緣,中有) 27

유명(幽冥,1813)-국어사전

유명(幽冥,181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그윽하고 어두움. ② 저승. 참고그윽하고 어두움→00그윽하고→그윽하다(329)-국어사전 : ① 깊숙하고 아늑하다. 예) 산수화의 그윽한 정경. ② 뜻이나 생각이 깊다. 예)그윽한 애정. ③ 은근하다. 예) 방 안에 국화 향기가 그윽하다. ...0깊숙하다(381)-국어사전 : 깊고 으슥하다. 예) 깊숙한 골짜기. ...깊다(381)-국어사전 : ① 겉에서 안까지, 또는 위에서 밑까지의 사이가 멀다. ② 마음이 침착하고 듬쑥하다. ③ 정이나 사귐이 가깝고 두텁다. ④ 어떤 상태가 오래되어 정도가 더하다. ⑤ 어떤 수준이나 정도가 높다. ...듬쓱하다(683)-국어사전 : 됨됨이가 가볍지 않고 속이 깊게 차 있다. 예) 사람이 듬쑥하..

소문(疏文,1351)-국어사전

소문(疏文,135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나 명부전(冥府殿) 앞에, 죽은 이의 죄복(罪福)을 아뢰는 글. 참고부처나→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000대도를→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이 되는 도리. ...대도(大道,420)-뉴사전 : ① 커다란 도(道). 산, maha-patha 俱舍論 11권 6 : AKbh. p. 163> ② 위대한 도의 뜻. 원어는 산, carya로 행(行)·..

삼도내(三途-,1219)-국어사전

삼도내(三途-,121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사람이 죽어서 저승으로 가는 길에 건너게 된다는 내를 이르는 말. 삼도천(三途川). 참고 불교에서→에서(1626)-국어사전 : ① 체언에 붙어 쓰이는 부사격 조사. ㉠ 어떤 행위의 처소를 나타냄. 예) 방에서 공부한다. ㉡ 어떤 행동의 출발점을 나타냄. 예) 학교에서 집까지 걸었다. ②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에 붙어)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주격 조사. 예) 우리 학교에서 이겼다.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

변조(遍照,1008)-국어사전

변조(遍照,100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의 광명이 온 세상과 사람의 마음을 두루 비침. 참고 부처의→의²(1855)-국어사전 :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에 붙어, 그 말이 관형어의 구실을 하게 하는 관형격 조사. ①‘가진 사람(소유)’‘딸린 바(소속)를 뜻함. 예) 나의 책. ② 그 말이 다음 말의 내용의 주체임을 뜻함. 예) 온 겨레의 염원. ③‘있는 곳(데)’‘범위’‘시간’등을 뜻함. 예) 강원도의 경승지. ④‘성질’‘상태’‘수량’등을 뜻함. 예) 빨간 빛깔의 모자. ⑤ 뒤의 체언이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의‘목표’또는‘대상’임을 뜻함. ⑥‘관계’를 뜻함. 예) 나의 스승. ⑦‘(지은) 대상, 내용상의 관련’을 뜻함. 예) 가을의 노래. ⑧‘나는 데(생산지)’를 뜻함..

중유(中有,2093)-국어사전

중유(中有,209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 사람이 죽어서 다음의 생(生)을 받을 때까지의 동안. 곧, 죽어 49일 동안. 참고 중유(中有,2174)-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사유(四有)의 하나. 사람이 죽어서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의 중간 존재. 중음(中陰). ...중유(中有,2392)-뉴사전 : 또는 중음(中陰)·중온(中蘊)이라고도 함. 의식을 가진 살아있는 것이 죽음의 순간(死有)부터 다음 생을 받기(生有)까지의 시기로 영혼신(靈魂身)이라고 할 수 있는 신체를 갖는다. 태어나기 전의 잠정적인 신체. 또는 이 기간에 49일이다라는 설에서 사람의 사후 7일 정도에 경전을 독송하고 7번째의 49일을 만중음(滿中陰)으로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습관이 발생해서 일반적..

사유(四有,1108)-뉴사전

사유(四有,110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유정(有情)이 태어나 죽고, 또 태어나는 과정을 4종류로 나눈 것. (1) 생유(生有). 어딘가에 태어나는 일찰나. (2) 본유(本有). 태어나서 죽기까지의 존재. (3) 사유(死有). 죽을 때의 최후의 일찰나. (4) 중유(中有). 죽고나서 또 다시 태어나기까지의 중간의 존재. 산, bhava-catustaya. 참고 유정(有情,1821)-국어사전 : ① 정이 있음. 사랑이나 동정심이 있음.↔무정(無情). ② 불교에서, 감정의 움직임이 있는 동물. 특히‘중생’을 이르는 말. ...유정(有情,1959)-뉴사전 : ① 생명을 가지고 존재하는 것. 살아있는 것. 생(生)이 있는 것. 감정이나 의식을 가진 것. 옛날에는 중생이라 번역하고,..

중유생연(中有生緣,2392)-뉴사전

중유생연(中有生緣,239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욕계(欲界)의 태(胎)·난(卵) 2생(二生)은 중유(中有)의 당유(當有)가 된다. 도심(倒心)에 의한 것으로 비록 먼 곳에 머물지라도 업력이 일으킨 안근(眼根)을 따라 태어날 곳의 부모가 교회(交會)하는 것을 보고 도심(倒心)을 일으킨다. 만일 남자가 되려면 어머니에게 남자가 될 욕심을 일으키고, 만일 여자가 되려면 아버지에게 여자가 될 욕심을 일으킨다. 이 인연이 뒤바뀌어 둘다 함께 진심(瞋心)을 일으킬 때에 건달바(健達婆 : 中有)가 이 2종의 도견(倒見)이 일어남에 따라 자기의 몸이 사랑하는 것과 합하게 되고, 미워하는 사람은 부정(不淨)만 쏟아지게 하여 태(胎)에 이를 때를 기유(己有)라 하며 문득 기쁨과 안도의 마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