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행무상(諸行無常) 32

중제(中諦,2175)-국어사전

중제(中諦,217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삼제(三諦)의 하나. 일체의 제법이 불공(不空)·불유(不有)의 중정 절대(中正絶對)라는 진리.  참고불교에서 이르는 삼제(三諦)의 하나⇒00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

제행무상(諸行無常,2100)-국어사전

제행무상(諸行無常,210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우주 만물은 항상 돌고 변하여 잠시도 한 모양으로 머무르지 않음’을 이르는 말.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

원칙(原則,1795)-국어사전

원칙(原則,179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근본이 되는 법칙. 본칙(本則). 예) 문장 수련의 3대 원칙. ② 여러 사물이나 일반 현상에 두루 적용되는 법칙. 예) 웃어른께 먼저 여쭙는 것이 원칙이다. 원리(原理). 참고근본이 되는 법칙 본칙(本則)⇒00근본이→근본(根本,336)-국어사전 : ① 초목의 뿌리. ② 사물이 생겨나는 데 바탕이 되는 것. 근저. 기본. 기초. 기근(基根). ③ 자라 온 환경이나 경력. ...근본(根本,271)-뉴사전 : ① 뿌리. 산, mula 中論 26·8> ② 일어난 곳. 中論 23·7> ③ 근본업도(根本業道)를 말함. 행위의 그것. ④ 인간존재의 기초가 되어, 윤회의 과정에 있어서 변하지 않는 것. 十八空論 ㊅ 49권 19下> ...00..

시무외(施無畏,1444)-국어사전

시무외(施無畏,144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보호하여 두려움을 없게 하는 일. 참고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보호하여⇒00부처나→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도(浮屠,1059)-국어사전 :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③‘중’을 달리 일컫는 말. ...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이 되는 도리.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유가(瑜加yoga범,1807)-국어사전

유가(瑜加yoga범,180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주관·객관의 모든 사물이 서로 응하여 융합하는 일.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흔히, 석가여래를 이름.] ..

생자필멸(生者必滅,1274)-국어사전

생자필멸(生者必滅,127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생명이 있는 것은 반드시 죽을 때가 있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000종교(宗敎,2127)-국어사전 :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 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 문화의 한 체계. ...믿다(893)-국어사전 : ① 그렇게 여겨 의심하지 않다. ② (종교나 미신을) 받들고 따르다. ③ ..

염념생멸(念念生滅,1670)-국어사전

염념생멸(念念生滅,167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만물은 잠시도 멈추지 않고 변화하고 있음을 뜻하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북부 인도·중국·일본 등의 북방..

법멸(法滅,994)-국어사전

법멸(法滅,99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불법(佛法)이 멸망하는 일을 이름. [정법(正法) 5백 년, 상법(像法) 1천 년, 말법(末法) 1만 년이 지나면 불법이 멸망한다고 함.]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

영원한 자유-54(성철큰스님,14페)

영원한 자유-54(성철큰스님,14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영원한 행복- 불교는 기독교, 이슬람교와 함께 세계 삼대 종교의 하나라고 일컬어집니다. 이들 종교는 저마다 내세우는 교조(敎祖)가 다르므로 그 내용이 서로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그 교조와 내용은 서로 다르다 할지라도 종교가 갖는 궁극적인 목표는 다 같다고 봅니다. 이를테면, 서울로 간다고 할 때에 북쪽에서 가든 남쪽에서 가든 바다에서 가든 육지에서 가든 비록 그 방향과 수단은 제각기 다르지만 서울에 간다고 하는 근본 목표는 다 같듯이, 종교가 지향하는 목표는 어느 종교에서나 다 같습니다. 그러면 그 공통되는 종교의 목표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사람들로 하여금 상대(相對)적이고 유한(有限)한 세계에서부터 절대(絶對..

영원한 자유-43(성철큰스님,20페)

영원한 자유-43(성철큰스님,20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정한 행복- -맹상군- 호화코 부귀코야 맹상군만 하련마는 백년이 못다하여 무덤 위에 밭을 가니 하물며 여남은 장부야 일러 무삼하리요. 맹상군은 중국 춘추전국(春秋戰國) 시대의 사람인데, 왕자(王子)로서 정승을 지낸 이로, 천하의 부귀와 영화를 한 몸에 지녔던 사람이라고 합니다. 역사에서 가장 호화롭게 산 사람이 누구냐고 하면 누구나 이구동성으로 맹상군이라고 말할 만큼 참으로 세상의 행복을 누리며 산 사람의 표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한 맹상군도 백 년을 못 살고 일흔이 가까와서 죽고 말았습니다. 살았을 적의 그의 공명에 따라 장례를 후히 지내고 그 무덤도 산과 같이 거창하게 만들어 놓았지만,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