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경(法華經) 41

사화(四華,1192)-국어사전

사화(四華,119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① 석가가 법화경을 설할 때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네 가지 연꽃. 곧, 만다라화·마하만다화·만수사화·마하만수사화. ② 무량수경에서 이르는 네 가지 연꽃. 참고 불교에서→에서(1626)-국어사전 : ① 체언에 붙어 쓰이는 부사격 조사. ㉠ 어떤 행위의 처소를 나타냄. 예) 방에서 공부한다. ㉡ 어떤 행동의 출발점을 나타냄. 예) 학교에서 집까지 걸었다. ②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에 붙어)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주격 조사. 예) 우리 학교에서 이겼다.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

영산회상(靈山會相,1680)-국어사전

영산회상(靈山會相,168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석가가 영취산(靈鷲山)에서 법화경 등을 설법하던 자리. ② 조선 세종 때 만들어진 불교 음악의 한 가지. 영산회의 불보살(佛菩薩)을 노래한 것이라 함. 참고 석가(釋迦,1290)-국어사전 : ① 크샤트리아 계급, 곧 왕족에 딸린 종족의 하나. 석가모니는 이 종족에서 났음. ② 의 준말. ...석가(釋迦,1301)-뉴사전 : ① 석존이 속해있던 부족의 이름을 팔, Sakiya 팔, Sakiya 산, Sakya라고 하는데, 그 음역이 변하여 석존, 고타마·붓다라 함. ② 팔, Sakka의 음역. 제석천(帝釋天)이라고 하는 것. 티, brgya byin →서가 ...서가(釋迦,1292)-뉴사전 : 석가모니의 약칭.→석가모니→서..

영취산(靈鷲山,1686)-국어사전

영취산(靈鷲山,168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인도(中印度) 마갈타국(摩竭陀國)의 왕사성(王舍城) 동북쪽에 있는 산. 석가여래가 이곳에서 법화경(法華經)과 무량수경(無量壽經)을 강(講)하였다 함. 참고 마갈타(摩竭陀,542)-뉴사전 : 산, Magadha 또는 마갈타(摩揭陀). 중인도에 있던 옛 왕국의 이름. 그 나라의 성(城)은 둘레 8백 마일. 북쪽은 항하에 이르고, 서쪽은 Benares, 동쪽은 Hiranya Parvata(지금의 Mongir), 남쪽은 Kirana Savarna(지금의 Si-nghum)에 이른다. 불교와 가장 관계가 깊은 나라로, 석존이 생존시에는 빈바사라왕이 왕사성(王舍城)에서 서울을 정하고 이 나라를 다스려 문화가 크게 발달하였다. 석존은 이 나..

법화사법(法華四法,841)-뉴사전

법화사법(法華四法,84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법화경」보현권발품에 부처님이 보현보살에게 말씀하시기를「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4법을 성취하면 여래의 멸 후에 마땅히 이「법화경」을 얻으리라. 그 4법(四法)은 (1) 모든 부처님을 호념(護念)함이요, (2) 모든 덕의 근본을 심으며, (3) 정정취(正定聚)에 들어감이고, (4) 일체 중생을 구하려는 마음을 내는 것이다.」고 하였다. 참고 법화경(法華經,840)-뉴사전 : ① 최고의 법. 산, agra-dharmah ② 경전의 이름. 산, saddharma-pundarika-sutra「묘법연화경」의 약칭.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614)-뉴사전 : 이 경의 범어명은 sad-dharma-pundarika-sutra로 sad는 정(正..

개적현본(開迹顯本,49)-뉴사전

개적현본(開迹顯本,4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붇다가야에서 깨달은 역사적 인물로서의 석존(釋尊)은 수적(垂迹)의 몸이라는 것을 밝히고, 이 몸은 영원한 옛날에 완성된(久遠實成) 본불(本佛)임을 드러낸 것을 말함.「법화경」후반 14품에서 밝힌 것임. 참고 부다가야(922)-뉴사전 : 산, Buddha Gaya. 부타가야(佛陀伽耶)라 음역. 인도의 북동부의 비하르주 가야의 남쪽 약 10km에 있는 불교의 성지. 갠지스강 지류인 팔구다디강에 있다. 석가모니가 도를 깨달은 땅으로, 석존의 4대 성지의 하나. 석존이 6년 고행 후에 이 곳의 보리수 밑에서 정좌하여 사유한 끝에 마침내 크게 깨달아 불타가 되었다고 한다. 불멸(佛滅) 후 아쇼카왕이 여기에 큰 탑과 정사를 지었다. 4세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