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타(佛陀,부처님) 238

금강지(金剛智,342)-국어사전

금강지(金剛智,34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여래(如來)의 지혜. 금강처럼 번뇌를 부수는 지혜라는 뜻.  참고여래(如來)의 지혜⇒00여래의→여래(如來,1633)-국어사전 : [교화(敎化)를 위하여 진여(眞如)에서 이 세상으로 왔다는 뜻으로]‘부처’를 높이어 이르는 말. ...0진여(眞如,2218)-국어사전 : [진실함이 언제나 같다는 뜻으로] 대승불교의 이상 개념의 한 가지. 우주 만유의 실체로서, 현실적이며 평등 무차별한 절대의 진리. 진성(眞性). 참) 실성(實性). ...진여(眞如,2464)-뉴사전 : 산, tathata. 대승불교의 이상개념(理想槪念)의 하나. 우주 만유에 보편(普遍)한 상주 불변하는 본체. 이것은 우리의 사상 개념(思想槪念)으로 미칠 수 없는 진실한..

삼각(三覺,1216)-국어사전

삼각(三覺,121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가 갖춘 깨달음의 세 가지 상(相). 곧 자각(自覺)·각타(覺他)·각행원만(覺行圓滿)을 아울러 이르는 말. 참고부처가 갖춘 깨달음의 세 가지 상(相)⇒00부처가→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도(浮屠,1059)-국어사전 :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③‘중’을 달리 일컫는 말. ...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

정도(正道,2071)-국어사전

정도(正道,207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올바른 길. 바른 도리. 정경(正逕). 정로(正路).↔사도(邪道). 참고올바른 길⇒00올바른→올바르다(1723)-국어사전 : 옳고 바르다. ...0옳다(1725)-국어사전 : ① 틀리지 않다. ② 도덕이나 규칙 등에 벗어남이 없다. ③ 사리에 맞다. ④ 격식에 벗어남이 없이 제대로이다. ...제대로(2091)-국어사전 : ① 제 격식(규격)대로. 예) 제대로 만든 물건. ② 마음 먹은 대로. 예) 화가 나서 말도 제대로 못 한다. ③ 마땅한 정도로. 채. 예) 비가 제대로 오지 않아 농사가 걱정이다. ...0바르다(905)-국어사전 : ① 비뚤어지거나 굽지 않고 곧다. ② 도리나 사리에 맞아 어긋남이 없다. ③ 정직하여 남을 속이는..

옥호(玉毫,1719)-국어사전

옥호(玉毫,171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의 삼십이상(三十二相)의 하나. 곧, 백호(白毫). 참고부처의→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도(浮屠,1059)-국어사전 :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③‘중’을 달리 일컫는 말. .....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이 되는 도리.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

여의주(如意珠,1638)-국어사전

여의주(如意珠,163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모든 소원을 뜻대로 이루어지게 준다는 신기한 구슬. [중생의 소원을 성취시켜 주는 부처의 공덕을 상징함.] 여의보주. 보주(寶珠).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000종교(宗敎,2127)-국어사전 :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 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 문화의 한 체계. ...믿다(893)-국어사전 : ① 그렇..

여래십호(如來十號,1633)-국어사전

여래십호(如來十號,163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의 공덕을 기리는 열 가지 칭호. 참고부처의→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000대도를→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이 되는 도리. ...대도(大道,420)-뉴사전 : ① 커다란 도(道). 산, maha-patha 俱舍論 11권 6 : AKbh. p. 163> ② 위대한 도의 뜻. 원어는 산, carya로 행(行)·수행(修行)의 의미. 法..

약사여래(藥師如來,1575)-국어사전

약사여래(藥師如來,157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을 병이나 재난에서 건져 준다는 부처. 왼손에는 약병을 들고, 오른손으로는 시무외(施無畏)의 인(印)을 맺고 있는 것이 보통임. 약사유리광여래. 준) 약사² 참고중생을→중생(衆生,2171)-국어사전 : ① 많은 사람들. ② 불교에서,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불자(佛子). 제유(諸有). ...000모든(812)-국어사전 : 여러 가지의. 여러 종류의. 전부의. ...전부(全部,2039)-국어사전 : 모두 다. 모조리. 온통. ...모조리(819)-국어사전 :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처음부터 끝까지 죄다. ...빠짐없다(1141)-국어사전 : 하나도 빼놓지 않고 모두 다 있다. ..

여래(如來,1633)-국어사전

여래(如來,163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교화(敎化)를 위하여 진여(眞如)에서 이 세상으로 왔다는 뜻으로]‘부처’를 높이어 이르는 말.  참고교화(敎化)를→교화(敎化,268)-국어사전 : ① (주로 교양·도덕 따위를) 가르치어 감화시킴. ② 불법(佛法)으로 사람을 가르치어 착한 마음을 가지게 함. ...가르치어→가르치다(13)-국어사전 : ① (지식·기능 따위를) 일깨워서 알게 하다. 교육하다. ② (사람의 도리나 바른길을) 깨닫게 하다. ③ (그릇된 것을) 올바르게 바로잡다. ④‘가리키다’의 잘못. ...가리키다(14)-국어사전 : ① (말·표정·동작 따위로) 집어서 이르다. 알리다. ② (기호나 기구 따위로) 방향이나 시각 따위를 나타내어 알리다. ③ (주로,‘-을(..

불천(佛天,1102)-국어사전

불천(佛天,110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불자(佛者)가‘부처’를 하늘같이 높여 일컫는 말. ② 부처와 천신(天神). 참고 불자(佛者)가→가³(1)-국어사전 : ① 모음으로 끝난 체언에 붙는 격조사. ㉠ 앞말이 주어의 자격을 가지게 하는 주격 조사. 예) 아기가 웃는다. ㉡ (‘되다’를 뒤따르게 하여)‘무엇이 변하여 그것으로 됨’을 뜻하는 보격 조사. 예) 강물이 모여 바다가 된다. ㉢ (‘아니다’를 뒤따르게 하여) 그 말이 부정의 대상임을 뜻하는 보격 조사. 예)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② 일부 어미에 붙어, 그 말의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 예) 어쩐지 처음부터 예사롭지가 않더라니. 참) 이. ...이6 (1863)-국어사전 : 자음으로 끝난 일부 체언이나 용언의 명..

보생여래(寶生如來,1026)-국어사전

보생여래(寶生如來,102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밀교에서 이르는 금강계의 오불(五佛)의 하나. 보생불. 참고 밀교에서→에서(1626)-국어사전 : ① 체언에 붙어 쓰이는 부사격 조사. ㉠ 어떤 행위의 처소를 나타냄. 예) 방에서 공부한다. ㉡ 어떤 행동의 출발점을 나타냄. 예) 학교에서 집까지 걸었다. ②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에 붙어)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주격 조사. 예) 우리 학교에서 이겼다. ...밀교(密敎,893)-국어사전 : ① 불교에서, 해석이나 설명을 할 수 없는 가르침이나 경전. 주문·진언(眞言) 따위. ② 후기 대승불교의 한 파. 대일경과 금강정경에 의하여 일어났음. 비교(秘敎). ③ 임금이 생전에 종친이나 중신에게 남모르게 뒷일을 부탁하여 내린 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