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性이란? 32

영각(靈覺,1676)-국어사전

영각(靈覺,167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뛰어나게 지혜롭고 총명함. ② 불교에서, 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영묘한 불성(佛性). 참고뛰어나게→뛰어나다(707)-국어사전 : (다른 것보다) 훨씬 낫다. ...훨씬(2681)-국어사전 : 정도 이상으로 차이가 심한 모양. 한결. 작) 활씬. ...한결(2552)-국어사전 : 보다 더. 훨씬. 꽤. ...꽤(402)-국어사전 : 어지간히. 상당히. 제법. 한결. 예) 꽤 재미있다. ...어지간히→어지간하다(1605)-국어사전 : ① (정도가) 어떤 표준에 거의 가깝다. ② 꽤 무던하다. ③ 그저 그만하다. 웬만하다. 예) 어지간한 사람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무던하다(843)-국어사전 : ① 정도가 어지간하다. ..

佛性이란? 2024.09.04

공성(空性,226)-국어사전

공성(空性,22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제법(諸法)이 공(空)이라는 이치를 체득할 때 나타나는 본성을 이르는 말.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000종교(宗敎,2127)-국어사전 :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 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 문화의 한 체계. ...믿다(893)-국어사전 : ① 그렇게 여겨 의심하지 않다. ② (종교나 미신을) 받들고 따르다. ..

佛性이란? 2024.06.09

자가본심(自家本心,2178)-뉴사전

자가본심(自家本心,217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간 각자가 태어나면서 갖추고 있는 불성(佛性)을 말함. 인심·자성·심성이라고도 함.→불성(佛性) 참고 자가(自家,1937)-국어사전 : ① 자기의 집. 자택(自宅). ② 자기. 본심(本心,1047)-국어사전 : ① 본마음. 본의. 본정(本情). ②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마음. ...본의(本意,1047)-국어사전 : ① 본디의 뜻. 본디부터 품어 온 생각. 본뜻. ② 본마음. 본심. 본정(本情). ...본디(1045)-국어사전 : 어떤 사물의 처음. 본래. 본시(本是). 원래. ...본래(本來,1045)-국어사전 : 본디. ...본래(本來,906)-뉴사전 : 원래. 「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B. 산, nitya-nirvrta ..

佛性이란? 2024.01.21

만자(卍字,756)-국어사전

만자(卍字,75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만’자 모양의 무늬나 표지. ② 불교에서, 부처의 가슴·손발·두발(頭髮) 등에 나타난 길상 만덕(吉祥萬德)의 상(相)을 나타내는 표지를 이름. 참고 만(卍,749)-국어사전 : ① 불교의 표지(標識). ② 인도에 전하여 오는 길상(吉祥)의 표상. [불교에서는 불상의 가슴에 그림.] ...표지(標識,2509)-국어사전 : 다른 것과 구별하여 알게 하는 데 필요한 표시나 특징. 표치(標幟). ...구별(區別,276)-국어사전 : ① 종류에 따라 갈라 놓음. ② 차별을 둠. ...차별(差別,2250)-국어사전 : 차가 있게 구별함. ...차(差,2247)-국어사전 : ① 서로 다른 정도. ② 수학에서, 어떤 큰 수효에서 다른 작은 수효..

佛性이란? 2024.01.18

천부인권설(天賦人權說,2283)-국어사전

천부인권설(天賦人權說,228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간은 나면서부터 자유와 평등을 누릴 천부의 권리가 있다는 학설. [18세기의 계몽 사상가들에 의해 제창되었음.] 참고 천부(天賦,2283)-국어사전 : [하늘이 주었다는 뜻으로] 선천적으로 타고남. (주로,‘천부의’의 꼴로 쓰임.) 비) 천래(天來). ...천래(天來,2281)-국어사전 : [하늘로부터 왔다는 뜻으로] 재주가 선천적임을 이르는 말. 비) 천부(天賦). ...하늘(2537)-국어사전 : ① 땅 위에 높이 펼쳐져 있는 공간. 대공(大空). 중천(中天). 천(天). 천공(天空). 태허(太虛). 허공. ② 만물을 지배하는 절대자. 하느님. ③ 만물을 지배하는 절대자나 영혼 등이 살고 있다고 믿는 곳. 천국. 천..

佛性이란? 2023.11.22

평등관(平等觀,2489)-국어사전

평등관(平等觀,248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불교에서, 모든 법(法)의 진상(眞相)은 평등하기가 한결같다는 견해. ② 일체의 것에 구별이나 차별을 두지 아니하는 견해.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

佛性이란? 2023.11.16

보장(寶藏,890)-뉴사전

보장(寶藏,89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보물창고. (가르침의) 보물창고, 법장(法藏). ② 본래의 자기·불성. (해석예) 어연서(御延書)에「보물창고」라 되어 있음. 참고 보(寶,994)-국어사전 : ① 보배. 보물. ② 보배로 여기다. 소중히 여기다. ③ ㉠ 옥새. 제왕의 인(印). ㉡ 전하여, 천자에 관한 사물의 관칭(冠稱)으로 쓰임. ④ 부처에 관하여 이름. 보물창고→보물(寶物,1025)-국어사전 : 보배로운 물건. 썩 드물고 귀한 물건. 보재(寶財). 보화(寶貨). ...창고(倉庫,2265)-국어사전 : ① 곳집. ② 창고업자가 남의 화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설비. ...곳집(庫-,216)-국어사전 : ① 곳간으로 지은 집. 고사(庫舍). 창고(倉庫). 창름..

佛性이란? 2023.09.23

삼인불성(三因佛性,1217)-뉴사전

삼인불성(三因佛性,121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천태종에서 말하는 불성설(佛性說)로 삼불성이라고도 함. 성불해야 할 세 종류의 인연종자. 즉 정인불성(正因佛性 : 모든 것에 본래 갖추어져 있는 진여의 이(理)). 요인불성(了因佛性 : 이(理)를 비춰서 나타내는 지혜). 연인불성(緣因佛性 : 지혜를 일으키는 인연이 될 모든 선행)의 3가지를 말함. 참고 천태종(天台宗,2290)-국어사전 : 법화경(法華經)을 기본 경전으로 하는 대승불교의 한 파. [고려 시대에 성하였음.] ...법화경(法華經,997)-국어사전 : 의 준말.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837)-국어사전 : 대승경전의 한 가지. 석가가 영원한 부처임을 설한 것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 준) ..

佛性이란? 2023.09.22

영원한 자유-48(성철큰스님,73페)

영원한 자유-48(성철큰스님,73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질문과 답- 물음 : 불성(佛性)이란 무엇인가? 답 : 이것은 불교의 독특한 용어(用語)인데, 부처님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불성(佛性)이라 하고, 일체법계(一切法界)를 말할 때는 법성(法性)이라 하는데 일체만법의 본 모습이라는 말입니다. 이 법성을 바로 안 사람이 바로 부처님입니다. 그것은 변동이 없으므로 진여(眞如)라 하기도 하고, 그 내용은 중도(中道)이므로 중도라 하기도 하고, 활동하는 자체는 연기에 따라 움직이므로 연기법(緣起法)이라고도 합니다. 이들은 모두 같은 내용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희한하고 희한하구나, 모든 중생이 두루 불성을 갖고 있구나.”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

佛性이란? 2023.05.15

영원한 자유-47(성철큰스님,170페)

영원한 자유-47(성철큰스님,170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질문과 답- 물음 : 기독교에서는 그것을 믿는 자는 융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망한다고 하여 절대자인 창조주가 화복(禍福)을 정한다고 합니다. 불교에서는 업(業)에 따라서 착한 일을 하면 행복하게 되고 악한 일을 하면 불행하게 된다고 하는데 이해가 어렵습니다. 답 : 예수교에서 주장하는 것은 모든 것을 만든 이도 하나님이고 따라서 구원도 그에게 매달려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누가 만든 사람이 따로 없고 누가 따로 구원해 주지 않습니다. 순전히 자아(自我) 본위입니다. 예수교는 철두철미 남을 의지하는 것이니 두 관점이 정반대입니다. 요즘의 과학적 증명에 의하면 남이 만들어 주었다는 것은 거짓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佛性이란? 2023.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