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有) 19

가제(假諦,17)-뉴사전

가제(假諦,1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어떠한 것도 실재하지 않지만, 그 모습은 실제로 확실히 나타나 있는 것.→삼제(三諦) 참고어떠한 것도 실재하지 않지만⇒00어떠한→어떠하다(1595)-국어사전 :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가) 어찌되어 있다. 예) 그곳 날씨는 어떠합니까? 준) 어떻다. ...어찌되다→어찌(1606)-국어사전 : ① 어떻게. 예) 어찌 된 일인고? ② 어떤 까닭으로. 예) 어찌 그리하는가? ③ 어떤 방법으로. 예) 그를 어찌 잡아 올꼬? ④ (감탄 표현의‘-ㄴ지’‘-는지’와 함께 쓰이어) 어떻게 몹시. 예) 어찌 반가운지 눈물이 나더구나. ...되다¹(652)-국어사전 : ① 이루어지다. 예) 일이 제대로 되다. / 다 된 밥. ② 좋은 덕이나 조건을 갖추다...

유(有) 2025.03.14

본래공(本來空,1045)-국어사전

본래공(本來空,104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 세상에 있는 만물은 모두 가짜 존재이며, 본디 아무것도 없는 빈 것이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

유(有) 2024.12.12

유(有,1807)-국어사전

유(有,180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존재함. 있음. (형체가) 있는 것. 예) 무(無)에서 유(有)를 낳다.↔무(無). ② 철학에서 이르는, 존재(存在). ③ 불교에서 이르는, 십이인연의 하나인 미(迷)로서의 존재. 참고존재함. 있음. (형체가) 있는 것⇒00존재함→존재(存在,2046)-국어사전 : ① 거기, 혹은 현실에 있음. 또는, 있다고 생각되는 일. 또, 있는 그것. ② 어떤 인간, 또는 작용을 갖는 능력을 지닌 인간. ③ 독특성이나 가치·능력을 갖고 있음으로써 자립이 인정되는 일. ④ (철)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에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일. ...00있음→있다(1934)-국어사전 : Ⅰ(자) ① 존재하다. ② 사람이 어떤 직장에 계속 다니다. ③ 어떤 상..

유(有) 2024.11.10

악지악각(惡知惡覺,1531)-국어사전

악지악각(惡知惡覺,153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도(佛道)를 얻는 데 방해가 되는 사악한 지식. 참고불도(佛道)를→불도(佛道,1093)-국어사전 : ① 부처의 깨달음에 이르기까지의 가르침이나 수행. 보리. ② 부처의 가르침. 법도(法道). 비) 불법(佛法). ...000부처의→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처(939)-뉴사전 : 불교의 교조 석가모니.→불타 ...석가모니(釋迦牟尼,1301)-뉴사전 : 산, Sakya-muni의 음역. 샤카족출신의 성자라는 뜻...

유(有) 2024.08.04

시왕청(十王廳,1449)-국어사전

시왕청(十王廳,144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저승에서 시왕이 거처한다는 곳. ② 저승. 명부(冥府). 참고저승에서→저승(2017)-국어사전 : 죽은 사람의 영혼이 가서 산다는 세계. 명부(冥府). 명도(冥途). 음부(陰府). 유명(幽冥). 타계(他界). 황천(黃泉).↔이승. ...0영혼(靈魂,1686)-국어사전 : ① 육체가 아니면서 육체에 깃들어 인간의 활동을 지배하며, 죽어서도 육체를 떠나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정신적 실체(實體). 영가(靈駕). 혼령(魂靈).↔육체(肉體). ② 가톨릭에서, 불사불멸의 신령한 정신을 이르는 말. 영신(靈神). 준) 영(靈). ...영혼(靈魂,1779)-뉴사전 : 육체에서 구별된 정신적인 것. 영은 불가사의한 것을 의미함. 단, 불..

유(有) 2024.07.15

망집(妄執,770)-국어사전

망집(妄執,77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망상을 버리지 못하고 그것에 집착함. ② 망령된 고집. 참고 망상을→망상(妄想,769)-국어사전 : ① 있지도 않은 사실을 상상하여 마치 사실인 양 굳게 믿는 일, 또는 그러한 생각. 망념(妄念). ② 정신 장애로 말미암아 생기는 잘못된 판단이나 확신. ...말미암다(762)-국어사전 : 원인이나 이유가 되다. 계기가 되다. 인연이 되다. ...원인(原因,1793)-국어사전 : 사물의 말미암은 까닭, 곧 어떤 일이나 상태보다 먼저 일어나 그것을 일으키는 근본 현상. 원유(原由). ...이유(理由,1887)-국어사전 : 까닭. 사유. ...까닭(383)-국어사전 : ① 어떤 일이 일어나는 이유. 어떤 결론이나 결과에 이른 사정. ②..

유(有) 2024.01.25

영원한 자유-40(성철큰스님,18페)

영원한 자유-40(성철큰스님,18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정한 행복- -록펠러- 첫 번째로 록펠러 Rockefeller(1839~1937)의 경우를 봅시다. 미국의 록펠러 1세는 당대에 자수성가(自手成家)하여 세계적인 갑부가 되어 아흔아홉살까지 산 사람입니다. 그만하면 누가 보든지 참으로 행복하게 산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재산도 많아 세계적인 재벌이라는 소리를 들었을 뿐더러 나이 아흔아홉이 되도록 장수하였으니 무엇 하나 부러울 것이 있었겠습니까? 그런데 사람의 욕심이란 그렇지 않은가 봅니다. 록펠러는 만년에 이르러 위암에 걸려 죽게 되었습니다. 암이란 지금의 발달된 현대의학으로도 웬만해서는 고치지 못하는 병인데 지금보다 오십 년 전인 그 때에는 더 말할 것도 없었습니다...

유(有) 2023.05.07

본유(本有,1047)-국어사전

본유(本有,104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본디부터 있음. 태어나면서부터 지니고 있음. (주로,‘본유의’의 꼴로 쓰임.) ② 의 준말. ③ 불교에서 이르는 사유(四有)의 하나. 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의 몸. 참고 본디(1045)-국어사전 : 어떤 사물의 처음. 본래. 본시(本是). 원래. 있다(1934)-국어사전 : (자동사) ① 존재하다. 높) 계시다. ② 사람이 어떤 직장에 계속 다니다. ③ 어떤 상태를 유지하다. ④ 얼마의 시간이 경과하다. ⑤ (무슨 일이) 벌어지다. 진행되다. (형용사) ① 존재하거나 소유한 상태(상황)임을 나타냄. ② 재물이 넉넉하거나 많다. ③ 가능하다는 뜻을 나타냄. ④ 어떤 사실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⑤ 어떤 상태에 처하거나 놓이다. ..

유(有) 2022.04.14

최후신(最後身,2561)-뉴사전

최후신(最後身,256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최후유(最後有)라고도 함. ① 최후의 신체의 뜻. 생사의 세계에 있어서 최후의 생존. 아라한(阿羅漢 산, arhat)을 말함. 이미 아라한위(阿羅漢位)에 도달하여 이 세상에 다시 돌아올 수 없기에 이렇게 말함. 산, antima-deha 산, antima-sarira 팔, antima-sarira ② 최후신의 보지자(保持者), 생사윤회를 반복하지 않는 사람. 즉 성자. 산, antima-deha-dharino 「最後有菩薩」 ③ 이미 부처님의 자리에 올라 다시 세상에 돌아와 살 수 없는 위치. ④ 이 세상에서 깨달음을 열어 이미 다시 태어날 수 없는 것. 보살에 대해 말함. 산, antya-janman ⑤ 다음에 태어날 때는 부처님..

유(有) 2022.01.08

인유(人有,2122)-뉴사전

인유(人有,212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간계(人間界)를 말함. 칠유(七有)의 한가지. 유는 미(迷)의 결과를 이름한 것. 중생이 과거에서 인계(人界)에 날 인을 닦아서, 현재의 과를 얻는 것으로, 생사가 상속하여 인과가 없어지지 않고 존재하는 것. 인간계를 말함.→칠유 산, manusya-bhava 참고 인(人,2102)-뉴사전 : ① 인간을 이름. 오취(五趣)의 하나. 팔, jantu ② 신들(하늘)에게 말함. ③ 사생(四生)의 하나로.→사생 ④ 육도(六道)의 하나.→육도 ⑤ 자기(自己). 실체로서의 개인(個人). 영혼. ⑥ 상캬철학에서 말하는 푸루자(산, purusa)를 이름. ⑦ 개인에 대한 집착(執着). ⑧ 특히, 한정해서 수행자(修行者)를 말함. ⑨ 임제(臨濟)..

유(有) 2021.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