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有) 25

자리(自利,1945)-국어사전

자리(自利,194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자신의 이익. ② 불도를 닦아서 얻은 공덕을 남에게 돌리지 않고 자기 혼자 차지하는 일. 참고자신의 이익⇒00자신의→자신(自身,1952)-국어사전 : 제 몸. 자기.“네 자신을 알라.”...자기(1940)-국어사전 : 그 사람 자신(自身). 앞에서 이야기된 사람을 다시 가리키는 말. 저. ...저(2013)-국어사전 : ① 나>의 낮춤말. [주격 조사‘가’앞에서는‘제’가 됨.] ② 자기(自己). ...자기(自己,2181)-뉴사전 : 자기자신을 말함. 본래의 자기. 태어나면서 불성(佛性)을 가지고 있는 자기라는 뜻. 산, atman 宋> 碧巖錄 9則> ...불성(佛性,975)-뉴사전 : ① 부처님의 성질. 부처로서의 본성. 각자(..

유(有) 2025.05.10

신토불이(身土不二,1471)-국어사전

신토불이(身土不二,147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몸과 땅은 둘이 아니고 하나라는 뜻으로] 자기가 사는 땅에서 산출된 농산물이 체질에 잘 맞는다는 말. 참고몸과 땅은 둘이 아니고⇒00몸과→몸(831)-국어사전 : ① (사람이나 동물의) 머리에서 발까지 또는 거기에 딸린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신체. 예) 몸에 좋은 약. ② 물건의 원 등걸. ③ 몸엣것>의 준말. ④ (형용사나 관형격 조사‘의’뒤에 쓰이어)‘사람’이나‘신분’등을 이르는 말. 예) 귀하신 몸. ⑤ 잿물을 올리기 전의 도자기의 덩저리. 항태(缸胎). ...신체(身體,1470)-국어사전 : 사람의 몸. ...00땅은→땅¹(696)-국어사전 : ① 바다를 제외한 지구의 겉면. 뭍. 육지. ② →영토(領土). 영지..

유(有) 2025.05.08

속정(俗情,1368)-국어사전

속정(俗情,136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명리(名利) 따위 속사(俗事)에 관한 생각. ② 속세간의 인정. 참고명리(名利) 따위 속사(俗事)에 관한 생각⇒00명리→명리(名利,803)-국어사전 : 명예와 이익. ...명예(名譽,806)-국어사전 : ① 세상에서 훌륭하다고 인정되는 이름이나 자랑. 또는 그런 존엄이나 품위. ② (지위나 직명(職名) 앞에 붙어) 공적을 기리고, 존경의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붙여 주는 호칭. ...명예(名譽,597)-뉴사전 : 명예. 명성. (해석예) 칭찬되어지는 일. 唯信鈔 1. 4> 유명함. 隨聞 70> ...이익(利益,1888)-국어사전 : ① 이롭고 도움이 되는 일. ② 물질적으로 보탬이 되는 것. ③ 기업의 결산 결과 모든 경비를 빼고..

유(有) 2025.05.06

이상-기후→이상(異常,1881)-국어사전

이상-기후→이상(異常,188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상(異常,1881)-국어사전 : ① 정상이 아닌 상태나 현상. 예) 이상한 행동. ② 보통과는 다름. 이제까지와 달리 별남. 예) 기분이 이상하다. ③ 의심스러움. 예) 행동이 이상하여 주의 깊게 살피다. 참) 이상(異狀). ...기후(氣候,375)-국어사전 : ① 어느 지역의 평균적인 기상 상태. 예) 기후가 좋은 지방. ② 일 년의 24기와 72후를 통틀어 이르는 말. 기절(氣節). 참고정상이 아닌 상태나 현상⇒00정상이→정상(正常,2076)-국어사전 : 바른 상태. 이상한 데가 없는 보통의 상태. 예) 정상 활동.↔비정상. ...비정상(非正常,1126)-국어사전 : 정상이 아닌 것. 예) 지능의 발달이 비정상이다..

유(有) 2025.05.04

관세(關稅,246)-국어사전

관세(關稅,24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한 나라의 세관을 통과하는 상품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 예) 관세를 인하하다. 참고한 나라의 세관을 통과하는 상품에⇒00한→한(2551)-국어사전 : ①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앞에 쓰이어)‘하나’의 뜻으로 쓰이는 말. 예) 한 사람. / 한 자루. / 한 덩이. ② (수량을 나타내는 말 앞에서)‘대략’의 뜻으로 쓰이는 말. 예) 글쎄, 한 열흘 걸릴까. / 한 백만 원이면 살 거야. ③ (누군지 모르거나 초들어 말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어떤’‘어느’의 뜻으로 쓰는 말. 예) 옛날에 한 가난한 선비가 살았다. ...하나(2536)-국어사전 : (수) (사물의 수를 세는) 수의 처음. (명) ① 한가지. 일체(一體). 예) ..

유(有) 2025.04.26

예심(穢心,1692)-국어사전

예심(穢心,169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더러운 마음. 부정(不淨)한 마음. 범부(凡夫)의 마음. 참고불교에서 이르는⇒00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흔히..

유(有) 2025.04.18

가제(假諦,17)-뉴사전

가제(假諦,1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어떠한 것도 실재하지 않지만, 그 모습은 실제로 확실히 나타나 있는 것.→삼제(三諦) 참고어떠한 것도 실재하지 않지만⇒00어떠한→어떠하다(1595)-국어사전 :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가) 어찌되어 있다. 예) 그곳 날씨는 어떠합니까? 준) 어떻다. ...어찌되다→어찌(1606)-국어사전 : ① 어떻게. 예) 어찌 된 일인고? ② 어떤 까닭으로. 예) 어찌 그리하는가? ③ 어떤 방법으로. 예) 그를 어찌 잡아 올꼬? ④ (감탄 표현의‘-ㄴ지’‘-는지’와 함께 쓰이어) 어떻게 몹시. 예) 어찌 반가운지 눈물이 나더구나. ...되다¹(652)-국어사전 : ① 이루어지다. 예) 일이 제대로 되다. / 다 된 밥. ② 좋은 덕이나 조건을 갖추다...

유(有) 2025.03.14

본래공(本來空,1045)-국어사전

본래공(本來空,104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 세상에 있는 만물은 모두 가짜 존재이며, 본디 아무것도 없는 빈 것이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

유(有) 2024.12.12

유(有,1807)-국어사전

유(有,180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존재함. 있음. (형체가) 있는 것. 예) 무(無)에서 유(有)를 낳다.↔무(無). ② 철학에서 이르는, 존재(存在). ③ 불교에서 이르는, 십이인연의 하나인 미(迷)로서의 존재. 참고존재함. 있음. (형체가) 있는 것⇒00존재함→존재(存在,2046)-국어사전 : ① 거기, 혹은 현실에 있음. 또는, 있다고 생각되는 일. 또, 있는 그것. ② 어떤 인간, 또는 작용을 갖는 능력을 지닌 인간. ③ 독특성이나 가치·능력을 갖고 있음으로써 자립이 인정되는 일. ④ (철)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에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일. ...00있음→있다(1934)-국어사전 : Ⅰ(자) ① 존재하다. ② 사람이 어떤 직장에 계속 다니다. ③ 어떤 상..

유(有) 2024.11.10

악지악각(惡知惡覺,1531)-국어사전

악지악각(惡知惡覺,153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도(佛道)를 얻는 데 방해가 되는 사악한 지식. 참고불도(佛道)를→불도(佛道,1093)-국어사전 : ① 부처의 깨달음에 이르기까지의 가르침이나 수행. 보리. ② 부처의 가르침. 법도(法道). 비) 불법(佛法). ...000부처의→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처(939)-뉴사전 : 불교의 교조 석가모니.→불타 ...석가모니(釋迦牟尼,1301)-뉴사전 : 산, Sakya-muni의 음역. 샤카족출신의 성자라는 뜻...

유(有) 2024.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