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三性) 8

상유식(相唯識,1264)-뉴사전

상유식(相唯識,126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성유식(性唯識)·위유식(位唯識)의 상대어. 유식의 모양을 밝힌 부문이란 뜻. 실성인 이체(理體)를 의지하여 성립된 의타기성(依他起性)의 물(物)·심(心)의 모든 법을 밝힌 유식의 부문(部門)을 말함. 참고 상(相,1245)-뉴사전 : ① 모습. 형태. 상태. 양상. 양태. 모양. 외견의 모습. 밖으로 드러나 있는 모습. ② 특질. 특징. ③ 성질. ④ 생각한다고 하는 것. 상(想)과 같음.→상(想) 산, samjna ⑤ 종적을 남기고 싶다고 하는 생각. 산, nimitta-samjna 산, nimitta라 함은 사물의 표상. 불교에서는 이것을 버리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내가, 누구에게, 무엇을 해주었다 라는 세가지의 생각을 떠나..

삼성(三性) 2024.01.15

삼성(三性,1224)-국어사전

삼성(三性,122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세 가지 성품. 곧, 선성(善性)과 악성(惡性)과 무기성(無記性)을 이름. 참고 성(性,1317)-국어사전 : 불교에서, 사람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는 불변의 본질로서의‘법성(法性)’이나‘불성(佛性)’을 이르는 말. ...법성(法性,995)-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본성. 만유(萬有)의 본체. 참) 성(性). ...불성(佛性,1097)-국어사전 : ① 부처의 본성. ② 모든 사람이 본디 지니고 있는, 부처가 될 수 있는 자비스러운 성질. ...법성(法性,822)-뉴사전 : 제법(諸法 : 모든 존재·모든 현상)의 진실한 본성. 만유(萬有)의 본체를 말하고, 불교의 진리를 나타내는 말의 ..

삼성(三性) 2022.06.25

선악무기삼성(善惡無記三性,1323)-뉴사전

선악무기삼성(善惡無記三性,132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선성(善性). 현세와 내세에서 자타(自他)가 모두 순익(順益)이 되는 것. 믿음 등의 선심(善心)과 선심이 일으키는 일체의 선근을 말하는 것. (2) 악성(惡性). 현세와 내세에서 자타가 위손(違損)이 되는 것. 탐욕과 같은 악심과 악심이 일으키는 일체의 악업을 말하는 것. (3) 무기성(無記性).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닌 법으로 또는 순익(順益)이 되며 또는 위손(違損)이 되어 기별(記別)할 수 없는 것. 이 가운데 유복무기(有覆無記)와 무복무기(無覆無記)의 2종이 있다. 망혹의 힘이 미약하여 비록 자타에게 위손(違損)함이 없으나 그 체(體)가 망혹이 되므로 성도(聖道)를 덮는다. 또는 이 혹장(惑障)이 구유(具..

삼성(三性) 2022.02.01

사무기(四無記,1067)-뉴사전

사무기(四無記,106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체 만유의 도덕적 성질의 분류에 3성(性)이 있는 중, 선악이 결정되지 아니하여, 선악의 결과를 불러 올 힘이 없는 무기성을 네가지로 나눈 것. ① 유식가에서 말하는 것. (1) 능변무기(能變無記). 무기의 심(心)·심소(心所). (2) 소변무기(所變無記)니, 무기의 색법(色法)·종자(種子). (3) 분위무기(分位無記)니, 무기의 불상응법(不相應法). (4) 승의무기(勝義無記)니, 허공과 비택멸(非擇滅). ② (1) 이숙무기(異熟無記)니, 선악의 업종자를 증상연(增上緣)으로 하여서 얻는 과보. (2) 위의무기(威儀無記)니, 위의로심(威儀路心)이라고도 한다. 앉고 서고 사는 동작 등을 일으키는 마음의 성질이 선도 아니고, 악도 아..

삼성(三性) 2020.12.14

의타기성(依他起性,2039)-뉴사전

의타기성(依他起性,203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다른 인연에 의한 것. 다른 인연에 의존해 있는 상태. ② 인연화합에 의해 생기고 인연이 없어지면 함께 없어지는 것. 유식설에서 말하는 백법(百法)중 6무위(無爲)를 제외한 다른 유위법(有爲法)을 말한다. 다른 힘에 의해 생기면서 동시에 없어지므로 유(有)이면서도 유(有)가 아니고 또 무(無)도 아닌 것을 가유법(假有法)·비유사유(非有似有)의 법이라고 이름 지었다. 이 가운데에 허망분별의 연(緣)으로 생긴 잡염(雜染)의 법인 염분의타(染分依他)와 무루지(無漏智)의 연으로 생긴 순정(純淨)의 법인 정분의타(淨分依他)가 있다. 정분의타(淨分依他)는 원성실성(圓成實性)에 속하는 경우도 있다. 옛번역에서는 의타성(依他性)이라고 한..

삼성(三性) 2020.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