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정혜(戒定慧, 三學) 32

십재일(十齋日,1488)-국어사전

십재일(十齋日,148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가(佛家)에서 이르는, 재계(齋戒)하여 재앙과 죄벌을 피하는 열 날. [매달 1일, 8일, 14일, 15일, 18일, 23일, 24일, 28일, 29일, 30일.] 십재. 참고불가(佛家)에서→불가(佛家,1089)-국어사전 : ① 불교를 믿는 사람, 또는 그 사회. 불문(佛門). 불법계. 석가. 석문(釋門). 석씨(釋氏). 승문(僧門). ② 절. ...불문(佛門,1095)-국어사전 : →불가(佛家). 석문(釋門). ...불가(佛家,1089)-국어사전 : ① 불교를 믿는 사람, 또는 그 사회. 불문(佛門). 불법계. 석가. 석문(釋門). 석씨(釋氏). 승문(僧門). ② 절. ...절(2053)-국어사전 : 중들이 불상(佛像)을 모..

수계(授戒,1385)-국어사전

수계(授戒,138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문(佛門)에서, 입문한 모든 불자에게 계법을 일러 줌. 참고불문(佛門)에서→불문(佛門,1095)-국어사전 : →불가(佛家). 석문(釋門). ...불가(佛家,1089)-국어사전 : ① 불교를 믿는 사람, 또는 그 사회. 불문(佛門). 불법계. 석가. 석문(釋門). 석씨(釋氏). 승문(僧門). ② 절. ...석씨(釋氏,1293)-국어사전 : ① →석가모니. ② →불가. 승려. 입문한→입문(入門,1930)-국어사전 : ① 스승을 따라 그 제자가 됨. ② 어떤 학문을 배우려고 처음 들어감, 또는 그 과정. 예) 역사학 입문. ③ 입문서>의 준말. ④ 왕조 때, 과거 보는 유생이 과장(科場)에 들어가던 일. 모든(812)-국어사전 : 여러..

위의(威儀,1804)-국어사전

위의(威儀,180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위엄이 있는 몸가짐이나 차림새. ② 불교에서 이르는, 규율에 맞는 기거 동작. 행(行)·주(住)·좌(坐)·와(臥)의 네 가지 위의가 있음. 참고 위엄이→이6 (1863)-국어사전 : 자음으로 끝난 일부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에 붙는 조사. ① 그 말이 주어의 자격을 가지게 하는 주격 조사. 예) 하늘이 맑다. 높) 께서. ② (동사‘되다’앞에 쓰이어)‘(무엇이) 변하여 그것으로 됨’을 뜻하는 보격 조사. 예) 검던 머리가 백발이 되다. ③ (형용사‘아니다’앞에 쓰이어) 그 말이‘부정의 대상이 됨’을 뜻하는 보격 조사. 예) 그 동물은 말이 아니다. 참) 가³...위엄(威嚴,1804)-국어사전 : 의젓하고 엄숙함, 또는 그러한 태..

보살계(菩薩戒,1026)-국어사전

보살계(菩薩戒,102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대승(大乘)의 보살들이 받아 지니는 계율. 참고 대승(大乘)의→대승(大乘,580)-국어사전 : 이타주의에 의하여 널리 인간 전체의 구제를 주장하는 적극적인 불법. [‘승(乘)’은 피안으로 타고 가는 수레라는 뜻으로, 곧‘교리’나‘진리’를 뜻함. 기원전 1~2세기경, 북부 인도에서 일어난 진보적 불교 세력이 스스로의 교리·교설을 이르던 말. 종래의 출가자 위주의 교의를 반대하고, 재가(在家)의 대중을 두루 교화할 교리를 주장하였음.]↔소승(小乘). ...000이타주의에→이타주의(利他主義,1892)-국어사전 : →애타주의.↔이기주의. ...애타주의(愛他主義,1564)-국어사전 : 윤리학에서, 다른 사람의 행복의 증진을 도덕적 행위의..

출가계(出家戒,2341)-국어사전

출가계(出家戒,234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삼계(三戒)의 하나. 출가한 중이 지켜야 하는 계. 참) 재가계·도속공수계. 참고 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

삼무루학(三無漏學,1180)-뉴사전

삼무루학(三無漏學,118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계·정·혜의 3학을 범부의 몸에 있어서는 유루(有漏)라 하고, 성자의 몸에 있어서는 무루(無漏)라 함.「능엄경(楞嚴經)」6에「섭심(攝心)이 계(戒)가 되며 계로 인하여 정(定)이 생기며, 정(定)으로 인하여 혜(慧)가 일어난다. 이를 삼무루학(三無漏學)이라 이름한다」하였음. 참고 계정혜(戒定慧,114)-뉴사전 : 계(戒)와 정(定)과 혜(慧). 삼학(三學)이라고도 함. 불도수행자가 반드시 수학실천해야 할 근본의 일. 비(非)를 방지하고, 악을 그만두는 것을 계(戒), 사려분별의 의식을 닦는 것을 정(定), 의혹을 깨고, 진실을 증거하는 것을 혜(慧)라고 함. 팔, silam samadhi panna 삼학(三學,1232)-국어사..

삼혜(三慧,1232)-국어사전

삼혜(三慧,123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경전을 들어서 아는 문혜(聞慧), 진리를 생각하여 아는 사혜(思慧), 실천 수행하여 아는 수혜(修慧)의 세 가지 지혜. 참고 혜(慧,2619)-국어사전 : 불교에서, 사리를 밝게 분별하는‘지혜’를 이르는 말. ...사리(事理,1164)-국어사전 : 일의 이치. ...사리(事理,1060)-뉴사전 : ① 사(事)와 이(理). 사(事)는 상대·차별의 현상. 이(理)는 절대 평등의 진리. 현상 세계와 구극의 경지. ② 사항과 도리. 중국 불교에서는 사(事)와 이(理)는 서로 대립하는 개념으로 생각되어 왔음.「事理自通」(사항이 저절로 도리에 맞음) ...혜(慧,2809)-뉴사전 : ① 도리를 선별할 수 있는 판단을 하는 마음 작용..

삼학(三學,1232)-국어사전

삼학(三學,123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불교를 배워 도를 깨달으려는 이가 반드시 닦아야 할 세 가지. 곧, 계학(戒學)·정학(定學)·혜학(慧學). ② 조선 시대에, 음양과에서 과거를 보이던 천문·지리·명과(命課)의 세 학문. ③ 도학(道學)·유학(儒學)·불학(佛學).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

계정혜(戒定慧,114)-뉴사전

계정혜(戒定慧,11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계(戒)와 정(定)과 혜(慧). 삼학(三學)이라고도 함. 불도수행자가 반드시 수학실천해야 할 근본의 일. 비(非)를 방지하고, 악을 그만두는 것을 계(戒), 사려분별의 의식을 닦는 것을 정(定), 의혹을 깨고, 진실을 증거하는 것을 혜(慧)라고 함. 팔, silam samadhi panna 참고 계(戒,102)-뉴사전 : ① 삼가함. 교훈. 행동을 삼가하기 위한 계율. 계를 지킨다. 불교에 귀의한 자가 지켜야 할 규칙. 도덕. 원어는 보통 팔, sila 산, sila(尸羅라 음역)임. 산, sila란 본래는 습성이나 반복 습관적으로 수습해야 할 행지(行持)라는 뜻이고, 그 행위는 신지(身持)에 위용있는 것이어야 하므로 위의라고도 한..

혜(慧,2809)-뉴사전

혜(慧,280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도리를 선별할 수 있는 판단을 하는 마음 작용. 분별판단.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 작용. 사물이나 도리를 지식·판단·추리하는 정신작용. 후의 주석에서는「법에 있어서 능히 간택(揀擇)한다」라고 함.「구사론」에서는 심소법(心所法)중의 10대지법(十大地法)의 하나. ② 검토해야 할 사물에 대한 의미를 궁구하고 분별함. 유식설에서는 별경(別境)의 심소(心所)의 하나. 사리를 분별·결정하여 의심하는 마음을 끊는 마음의 작용. 또 사리에 통달하는 작용. ③ 인식작용(산, jnana). 일상생활에 나타나는 인식작용으로, 후천적인 세속의 지혜를 말하며, 진실을 뚜렷이 나타내는 역할이 있다. ④ 예지(叡智). 지혜. 깨달음. 지적이해. 깨달음을 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