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7

허공십의(虛空十義,2779)-뉴사전

허공십의(虛空十義,277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허공의 열 가지의 뜻. (1) 무장애의(無障礙義). 모든 색법(色法) 가운데 장애가 없음. (2) 주변의(周徧義). 이르지 않는 데가 없음. (3) 평등의(平等義). 여럿 가운데서 선택함이 없음. (4) 광대의(廣大義). 분제(分際)가 없음. (5) 무상의(無相義). 색상(色相)을 초월함. (6) 청정의(淸淨義). 더러운 진루(塵累)가 없음. (7) 부동의(不動義). 이뤄지고 무너지는 성괴(成壞)가 없음. (8) 유공의(有空義). 허공은 멸함이 없음. (9) 의공공(義空空). 공(空)의 집착을 여읨. (10) 무득의(無得義). 능히 가지고 취할 수가 없음. 참고 허공(虛空,2778)-뉴사전 : ① 공간이란 뜻. 너른 하늘. 공..

허공(虛空) 2021.03.22

육대번뇌(六大煩惱,1970)-뉴사전

육대번뇌(六大煩惱,197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종류의 근본 번뇌.→번뇌 참고 탐(貪,2630)-뉴사전 : ① 미혹의 생존의 근원으로서의 탐욕. 욕심. 탐애. 탐하고 집착하는 것. 격렬한 욕망. 팔, raga 탐(貪)이라고 하는 것은 만물을 탐하지만 더 바라는 마음이고, 탐(貪)의 유력(有力)은 위(威)를 취하며, 무력(無力)은 다른이에 쫓아 구한다. 애욕. 탐염(貪染). ② 분노(산, dvesa)에 대함.→진(瞋) ③ 삼독(三毒)의 하나.→삼독 ④ 아비달마에서는 마음의 작용 중 부정지법(不定地法)의 하나. 마음에 꼭맞는 대상을 욕구하는 것. ⑤ 욕심 부리는 자. ⑥ 행음(行陰)을 말함.→행음 진(瞋,2450)..

금강유정(金剛喩定,286)-뉴사전

금강유정(金剛喩定,28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금강에 비유할 만한 견고함과 날카로움을 가지고 모든 미세한 번뇌를 잘라버리는 힘이 있는 선정(禪定). 금강심(金剛心)·금강삼매(金剛三昧)라고 함. 소승에서는 이것을 아라한향(阿羅漢向)의 최후라고 하고 대승에서는 이것을 등각(等覺)의 마음이라고 함. 산, vajra-upama [-samadhi] 참고 금강(金剛,277)-뉴사전 : ① 다이아몬드. 금강석을 말함. 금석(金石)중에서 가장 견고한 것.(일설에는 금이라고도 함.) ② 금강저(金剛杵)의 준말. 옛날 인도의 무기의 일종. 원래 번개를 본딴 것이라고도 함. 불교에서는 상징적으로 사용하며 미혹을 깨부수는 무기를 말함. 보리심(菩提心)을 상징하는 금속성의 법구(法具). ③ 금강유..

선(禪) 2021.03.20

십인(十忍,1590)-뉴사전

십인(十忍,159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보살이 번뇌를 끊고, 모든 법이 본래 적연(寂然)한 줄을 깨달을 때에 생기는 열가지 안주심(安住心). (1) 음성인(音聲忍). 음향인(音響忍)이라고도 함. 여러 부처님네가 설법하는 소리에 의하여, 진리를 깨닫고 안주(安住)함. (2) 순인(順忍). 지혜로 온갖 법을 생각하고 관찰하여, 진리에 수순(隨順)함. (3) 무생인(無生忍). 불생불멸하는 진여법성(眞如法性)을 증득하여 결정 안주하고, 온갖 법의 형상을 여의는 것. (4) 여환인(如幻忍). 온갖 법은 인연으로 생기는 것으로 그 성품이 적멸한 것이 마치 환(幻)과 같은 줄 알고 안주함. (5) 여염인(如焰忍). 물(物)·심(心)의 현상은 다 아지랑이(陽焰)와 같이 잠시적 존재로..

평안한 사람!!! 2021.03.19

인과진실(因果眞實,2105)-뉴사전

인과진실(因果眞實,210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결과와 원인으로 이루어진 진실. 10종진실의 하나. 4성제(四聖諦)를 말함. 사성제는, 현실세계의 결과와 원인(苦·集) 및 이상세계의 결과와 원인(滅·道)을 나타내는데 이 네가지(苦·集·滅·道)가 각각 근본진실인 3자성(三自性)을 밝힌다는 점에서 4성제(四聖諦)가「결과와 원인으로 이루어진 진실」이라고 불려진다. 산, phala-hetu-tattva 산, phala-hetu-mayam-tattvam “산, phala-hetu-ma-yam tattvam tatraiva mula-tattve duhkha-samu-daya-nirodha-marga-satyatvam” 현실(現實,2609)-국어사전 : ① 바로 눈앞에 사실로서 나타나 ..

四聖諦 2021.03.18

이종훈(二種薰,2090)-뉴사전

이종훈(二種薰,209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유식설(唯識說)에서 칠전식(七轉識)이 그 식 자체의 힘에 의해 제8식(아라야식)에 종자를 훈습할 때 상분훈(相分薰)과 견분훈(見分薰)의 두종류가 있는 것을 말함. 참고 훈(熏,2892)-뉴사전 : 습관이 남는 것. 훈습(熏習). 산, vasana 산, vasana 산, bhavita 산, vasita 「能熏心古」산, citta-vasanat (해석예) 훈(熏)이라 하는 것은 그 자신이 기분을 남겨두는 것이라. 훈(薰,2892)-뉴사전 : 여향(餘香)이 향기가 나고 남아 있는 것. 유식(唯識,1947)-뉴사전 : 산, vijnapti-matrata [티 rnam par rig pa tsam(nid)]의 한역. 단지, 표상일 뿐. 산..

훈습(熏習) 2021.03.17

청정식(淸淨識,2533)-뉴사전

청정식(淸淨識,253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9의 아마라식(阿摩羅識)의 구역(舊譯). 또는 무구식(無垢識)이라고도 함. 수행에 의해 깨끗해진 마음. 더러움이 없어진 아뢰야식. 산, amala-vijnana 참고 제구식(第九識,2313)-뉴사전 : 아마라식(阿摩羅識)을 말함.→아마라식 아마라식(阿摩羅識,1627)-뉴사전 : 아마라는 산, amala-vijnana의 전반 산, amala의 음역. 식(識)은 산, vijnana의 한역. 또는 산, amala는 아말라(阿末羅)·암마라(庵摩羅)라고도 음역. 무구식(無垢識)·청정식(淸淨識)이라고 번역. 아뢰야식이 미혹을 버리고 깨달음의 모습으로 전환한 위(位)에 이른 것을 말함. 곧 우리들의 마음은 본연의 모습에 있어서 미망을 여읜 ..

일불승(一佛乘,2141)-뉴사전

일불승(一佛乘,214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단 하나의 부처가 되는 실천법. 일승(一乘)과 같음. 산, ekam…yanam…buddha-yanam [산스크리트 원전에는, 처음에 산, eka-yana(一乘)라 나타나고, 또 그것이 산, buddha-yana(佛乘)로 환언되고 있는 경우와 산, eka-bu-ddha-yana로 나타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부처가 되기 위한 유일한 탈 것, 하나의 부처의 입장이란 뜻. 유일한 성불의 가르침. 일불승이란 불교의 진실한 가르침은 유일하고, 그 가르침에 의해 모든 사람이 동일하게 부처가 된다고 설하는 가르침을 말한다. 중생의 능력 성질에 따라 세워진 3승(부처가 되기 위한 3종의 실천법)도, 궁극적으로는 이 일불승(一佛乘)에 인도되기 위..

의정과 하나가 되라(참선경어-1장-7,30페)

의정과 하나가 되라(참선경어-1장-7,30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참선하는 납자는 죽어서 살아나지 못할까 두려워하지 말고 오직 살아만 있고 죽지 않을까 두려워해야 한다. 그리고는 결단코 의정(疑情)과 완전히 하나가 되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들떠 움직이는 경계를 굳이 떨어버리려 하지 않아도 저절로 떨어지고, 허망한 마음도 억지로 맑히려고 하지 않아도 자연히 맑아진다. 그리하여 6근(六根)이 자연히 텅 비어 자유로와진다. 이런 경지에서는 움찔했다 하면 벌써 마음먹은 곳에 가 있고 입만 벙긋했다 하면 벌써 반응이 있게 되니, 살아나지 못할까 근심할 일이 있겠는가? 참고 의정(疑情,2033)-뉴사전 : (해석예) 의심하는 마음. 의심하는 죄. 육근(六根,1968)-뉴사전 : 여섯 개 기..

의정이보(依正二報,2034)-뉴사전

의정이보(依正二報,203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의보(依報)와 정보(正報). 모두 전세의 행위에 대응한 결과이므로 이과이보(二果二報)라고도 한다. 곧 육체는 직접적인 과보이므로 정보(正報), 의·식·주·부모·가족·사회 등은 간접적인 과보로 정보(正報)가 의지하는 바가 되므로 의보(依報)라 한 것. ② 의보는 불국토(佛國土), 정보는 불신(佛身). 참고 의정(依正,2033)-뉴사전 : 의보(依報 : 환경세계)와 정보(正報 : 우리들의 심신). 과거의 업에 의해 받는 심신을 정보(正報)라 하고 그 심신의 의지할 곳이 되는 세상을 의보(依報)라고 한다. 중생이 살고 있는 환경인 산하국토와 그곳에 머물고 있는 중생의 심신. 과거 행위의 과보로서 받은 현재의 심신과 그 심신이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