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의 권함(勸結) 수행의 권함(勸結)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바라노니 수도하는 사람들은 이 말을 잘 음미하여 다시는 의심을 내어 스스로 물러서는 일이 없도록 하라. 만일 대장부의 뜻을 갖추어 위 없는 불도를 구하는 이라면 이 길을 버리고 어찌하리요? 부디 문자에 집착하지 말.. 수심결(修心訣) 2015.12.19
마음 닦는 법(修心訣) 마음 닦는 법(修心訣)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중생세계의 번뇌가 불타는 집과 같거니, 어찌 오래 머물러 괴로움을 길이 받을 것인가? 만일 그 괴로움의 윤회를 면하려면 모름지기 부처를 찾을 것이며, 부처를 구하려면 부처가 곧 마음이니 마음을 어찌 멀리서 찾겠는.. 수심결(修心訣) 2015.12.18
선정과 지혜를 함께 닦으라(수심결) 선정과 지혜를 함께 닦으라(수심결)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질문) 깨달은 뒤에 닦는 법문 가운데 선정(定)과 지혜(慧)를 고루 가진다는 이치를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다시 자세히 설명하여 의혹을 풀고 해탈의 문으로 들어가도록 이끌어 주소서. (대답) 법과 이치를 말한다면, 이치에 들.. 수심결(修心訣) 2015.10.29
신통 변화 신통 변화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질문) 앞에서 말씀한 견성(見性)이 진정한 견성이라면 그는 바로 성인입니다. 그는 마땅히 신통 변화를 나타내어 보통 사람과는 다른 점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요즘 수도인들은 어째서 한 사람도 신통 변화를 부리지 못합니까? (대답) 그대는 .. 수심결(修心訣) 2015.10.21
수심결(修心訣) 수심결(修心訣)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고려 보조국사 지음. 참선하여 마음 닦는데 필요한 것을 말한 책.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수심결(修心訣) 2015.10.21
돈오 점수(頓悟漸修) 돈오 점수(頓悟漸修) (질문) 돈오(頓悟)와 점수(漸修) 두 문이 모든 성인이 의지할 길이라고 말씀하셨는데, 깨달음이 단박 깨달음(頓悟)이라면 왜 차츰 닦을(漸修) 필요가 있으며, 닦음이 차츰 닦는 것이라면 어째서 단박 깨달음이라고 합니까? 돈오와 점수 두 가지 뜻을 거듭 말씀하여 의.. 수심결(修心訣) 2014.03.01
깨치기 전은 참 수행이 아니다 깨치기 전은 참 수행이 아니다(수심결) (질문) 스님의 판단에 따르면, 깨달은 뒤 닦는 문 가운데 선정과 지혜를 고루 가지는 뜻에 두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자성(自性)의 선정과 지혜이고, 둘째는 상(相)을 따르는 선정과 지혜입니다. 자성의 문에서는 '걸림없는 고요와 앎이 원래 무위(無.. 수심결(修心訣) 2014.02.25
불성은 어디에 불성은 어디에(修心訣) (질문) 만약 불성(佛性)이 지금 이 몸에 있다고 한다면, 이미 몸 안에 있으면서도 범부를 벗어나지 못한 것이니, 어째서 나는 지금 불성을 보지 못합니까? 다시 해설하여 깨닫게 하소서. (대답) 그대의 몸 안에 있는데도 그대 자신이 보지 못할 뿐이다. 그대가 배고프.. 수심결(修心訣) 2014.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