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7

참선경어(參禪警語)-1장-35(51페)

참선경어(參禪警語)-1장-35(51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1장. 처음 발심한 납자가 알아야 할 공부 35. 여러 공안을 천착하지 말라 참선할 때에는 하나의 공안(公案)에만 마음을 쏟아야지 여러 공안에다가 알음알이를 지어서는 안된다. 비록 많은 공안을 이해하였다고 생각하더라도 결코 깨달은 것은 아니다. 「법화경(法華經)」에서는“이 법(法)은 사량분별로는 깨달을 수 없다”라고 하였고,「원각경(圓覺經)」에서도“알음알이로 원만하게 깨달은 여래의 경지를 헤아려 보려는 것은 마치 반딧불로 수미산을 태우려는 것과 같아서 결코 될 수 없는 일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동산(洞山)스님께서도 이렇게 말씀하셨다. “알음알이로 묘한 깨달음을 배우려 함은 서쪽으로 가려 하면서 동쪽으로 발을 내딛는 짓과..

정등각무외(正等覺無畏,2279)-뉴사전

정등각무외(正等覺無畏,227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정등각무소외(正等覺無所畏)와 같음. 4무소외(無所畏)의 1. 부처님은 일체 제법을 바르고 평등하게 깨달아 알아서 모름이 없다. 만일 다른 사람이 그렇지 않다고 부정하여 문난하더라도 다시 두려워 할 것이 없으므로 무외라 함. 참고 정등각무소외(正等覺無所畏,2279)-뉴사전 : 또는 일체개무소외(一切皆無所畏)라고도 함. 불(佛)의 사무소외(四無所畏)의 하나.→사무외 .....사무외(四無畏,1068)-뉴사전 : 사무소외(四無所畏)라고도 함. 무외(無畏)란 두려움이 없는 것(산, nirbhayata). 부처님이나 구도자가, 가르침을 설할 때에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 네종류의 지혜. 부처님의 설법에 있어서 흔들림없는 자신. 네종류의 ..

착아(著我,2487)-뉴사전

착아(著我,248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리들의 개인적인 존재는 오온(五蘊)이 설사 화합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곳에 나라는 실재가 있다고 집착하는 것. 아트만(산, atman)이 있다고 고집하는 것. 산, atma-graha 참고 개아(個我,90)-국어사전 : 개인으로서의 자아(自我). 오온(五蘊,1816)-뉴사전 : 5개의 집합. 5종류의 무리의 의미. 온(蘊 산, skandha)은 적집(積集)의 뜻으로 해석되어져, 모임을 말함. ① 각각의 존재의 5개 구성요소(집합). 각각의 존재를 포함해서, 모든 존재를 5개의 모임(五蘊)의 관계에 두고 보는 견해. 물(物)과 심(心)의 모임. 물질과 정신. 오온(五蘊)이란, 불교에서 물질과 정신을 5개로 분류한 것을 말함. 환경을..

오온(五蘊) 2021.02.13

장수천(長壽天,1362)-구사전

장수천(長壽天,1362)-구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色界四禪天의 제4 無想天을 가리킴. 이 하늘의 壽命이 무려 5백 大劫을 살아서 色界天에서 最長壽이므로 이렇게 이름한 것. 참고 색계(色界,1277)-뉴사전 : ① 맑고 깨끗한 물질로 성립되는 세계. 욕계(欲界)의 위에 있는 천계(天界)로 욕계(欲界)의 더러움을 여의고 물질적인 것이 모두 청정한 세계. 물질적인 세계안에서 특히 본능적인 욕망이 성하고 강력한 곳을 욕계라고 부르며, 그 만큼 욕망이 성하지 않은 곳을 단순히 색계(色界)라고 부름. 욕망은 끊었지만 육체를 갖고 있는 자의 세계. 깨끗한 물질의 세계. 이 계(界)의 중생은 여러 가지 욕망을 여의고 남녀의 구별없이 광명을 식(食)으로 하고 언어로 함. 욕계 위에 있는 천계(天..

겁(劫) 2021.02.12

권실이교(權實二敎,254)-뉴사전

권실이교(權實二敎,25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임시 방편설과 진실되고, 궁극적인 가르침을 말함. 권교(權敎)는 사람들을 진실의 가르침에 인도하기 위한 방편으로 설치된 가르침으로 부처님의 깨달음대로를 밝힌 근본적인 가르침에 이르면 버려야 함. ① 법상종(法相宗)에서는 일승교(一乘敎)를 권(權), 3승교(乘敎)를 실(實)로 함. ② 삼론종(三論宗)에서는 2승교(乘敎)를 권(權), 일불승(一佛乘)을 실(實)로 함. ③ 천태종(天台宗)에서는 5시(時) 가운데 처음 4시(時), 4교(敎) 가운데 3교(敎)의 소설을 권(權), 원교(圓敎)를 실(實)로 하고,「법화경」의 가르침을 실(實)로, 다른 모든 것을 권(權)으로 함. ④ 화엄종(華嚴宗)에서는 3승교(乘敎)를 권(權), 1승교(乘..

권실(權 · 實) 2021.02.11

초목국토실개성불(草木國土悉皆成佛,2543)-뉴사전

초목국토실개성불(草木國土悉皆成佛,254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초목과 국토처럼 마음을 소유하지 않은 것 조차도 불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두가 부처가 된다, 라는 의미.「열반경」의 사상에 유래하며,「대승현론(大乘玄論)」「탐현기(探玄記)」등에서 설함. 자기도 환경도 완전한 한 몸이고, 만유가 평등의 진리의 표출이고, 부처님의 모습이라는 사상에 근거하고 있음. 천태종에서 강조하고, 또 진언종에서도 설함. [고래「一佛成道, 觀見法界, 草木國土, 悉皆成佛」이라는 글귀는「중음경(中陰經)」의 문장이라고 전하나, 그것은 잘못이다.] 참고 초목(草木,2543)-뉴사전 : 풀과 수목. 산, vana(수목) 산, osadhi 산, trna-gulam-lata 국토(國土,245)-뉴사전 : ① ..

佛性이란? 2021.02.10

개시오입(開示悟入,47)-뉴사전

개시오입(開示悟入,4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법화경」방편품에서 부처님의 출세본회(出世本懷 : 출현한 목적)의 4특질(四特質)을 요약한 말. 부처님의 출세(出世)의 본회(本懷)는 사는 것을 살 수 있는 것으로 해서 여래(如來)의 지견(知見 산, tathagata-jnana-darsana)을 열고(산, samadapana)·보이고(산, samdarsana)·깨닫게 하고(산, pratibo-dhana)·그 도(道)에 들어가게 하는(산, avatarana)것, 이라고 하는 뜻. ② 개(開)는 개제(開除), 미정(迷情)을 깨뜨리고 제법(諸法)의 실상(實相)을 보임. 시(示)는 현시(顯示), 번뇌가 사라지고 지혜가 나타나 우주의 만덕이 밝게 나타나 보임. 오(悟)는 각오(覺悟), ..

구경열반(究竟涅槃,204)-뉴사전

구경열반(究竟涅槃,20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➀ 깨달음의 극치에 달한 최상의 열반. 또는 무상열반(無上涅槃)·대반열반(大般涅槃)이라고도 함. ➁ 최종적 입적. 이미 재생되지 않는 상태. 산, parinirvana 참고 깨닫다(390)-국어사전 : ① (진리나 이치 따위를) 터득해 환히 알다. ② (모르고 있던 사실을) 알게 되다. ③ 느껴서 알다. .....증오(證悟,2405)-뉴사전 : 깨닫는 것. 진리를 인식하고, 이해함과 동시에, 완전히 몸에 익히는 것. 깨달음. 극치(極致,324)-국어사전 : ① 힘을 다하여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곳. ② 더할 수 없는 풍치·경지. 최상(最上,2557)-뉴사전 : 가장 위. 산, agrya 산, agra 산, uttama 산, par..

한국불교 종단

◁ 한국불교 종단 ▷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대한불교관음종(大韓佛敎觀音宗) ② 대한불교교화종(大韓佛敎敎化宗) ③ 대한불교대승연화종(大韓佛敎大乘蓮華宗) ④ 대한불교대승종(大韓佛敎大乘宗) ⑤ 대한불교미륵종(大韓佛敎彌勒宗) ⑥ 대한불교미타종(大韓佛敎彌陀宗) ⑦ 대한불교법상종(大韓佛敎法相宗) ⑧ 대한불교법화종(大韓佛敎法華宗) ⑨ 대한불교보문종(大韓佛敎普門宗) ⑩ 대한불교본원종(大韓佛敎本願宗) ⑪ 대한불교불입종(大韓佛敎佛入宗) ⑫ 대한불교삼론종(大韓佛敎三論宗) ⑬ 대한불교선교종(大韓佛敎禪敎宗) ⑭ 대한불교열반종(大韓佛敎涅槃宗) ⑮ 대한불교영산법화종(大韓佛敎靈山法華宗) ⑯ 대한불교용화종(大韓佛敎龍華宗) ⑰ 대한불교원융종(大韓佛敎圓融宗) ⑱ 대한불교원효종(大韓佛敎元曉宗) ⑲ 대한불교유마종(大韓..

대한불교종단 2021.02.07

유심연기(唯心緣起,1951)-뉴사전

유심연기(唯心緣起,195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모든 것은 일심(一心)의 연기(緣起)에 의해 현현(顯現)한 것이라고 하는 생각. 참고 제법(諸法,2317)-뉴사전 : 개체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 존재하는 모든 것. 모든 사물. 모든 것. 제사상(諸事象). 현상(現象)하고 있는 것. 모든 존재하는 것. 모든 물체. (해석예) 모든 불법. 일심(一心,2147)-뉴사전 : ① 궁극적 근저로서의 마음. 만유의 실체진여(實體眞如)를 말함. 일(一)이란 평소절대의 의미. 심(心)은 견실성을 나타낸다. 또 중생의 근저에 있는 일심식(一心識). 모든 현상의 근원에 있는 마음. 우주 사상의 기본에 있는 절대적인 진실.「화엄경」(25권)에「삼계는 허망하여, 단지 이 일심(一心)이 만든다」라고..

唯心이란? 2021.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