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8

의정이보(依正二報,2034)-뉴사전

의정이보(依正二報,203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의보(依報)와 정보(正報). 모두 전세의 행위에 대응한 결과이므로 이과이보(二果二報)라고도 한다. 곧 육체는 직접적인 과보이므로 정보(正報), 의·식·주·부모·가족·사회 등은 간접적인 과보로 정보(正報)가 의지하는 바가 되므로 의보(依報)라 한 것. ② 의보는 불국토(佛國土), 정보는 불신(佛身). 참고 의정(依正,2033)-뉴사전 : 의보(依報 : 환경세계)와 정보(正報 : 우리들의 심신). 과거의 업에 의해 받는 심신을 정보(正報)라 하고 그 심신의 의지할 곳이 되는 세상을 의보(依報)라고 한다. 중생이 살고 있는 환경인 산하국토와 그곳에 머물고 있는 중생의 심신. 과거 행위의 과보로서 받은 현재의 심신과 그 심신이 의..

무념(無念,629)-뉴사전

무념(無念,62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유념의 반대. 망념(妄念)이 없는 것. 얽매이지 않는 바른 염려(念慮). (해석예) 법신관(法身觀)임. 부처님의 상호를 생각지 않고, 진리를 염원하는 것. ② 남종선(南宗禪)에서 강조함. 북종선(北宗禪)에서 이념(離念)을 강조하는데 반함.「無念을 세워 宗으로 하고, 無相을 體로 한다」 ③ 정념(正念)을 잃은 모습. 유감스러움. 참고 유념(有念,1934)-뉴사전 : ① 지혜를 가지고 있는 것. 팔, sa-bu-ddhika ② 무념(無念)의 반대. 분별생각이 남아 있는 마음. 차별된 모습에 대해서 분별하는 마음. 망념(妄念,575)-뉴사전 : ① 미혹한 마음. 미망(迷妄)한 집념. 잘못된 생각. 근거도 없이 일어나는 진실하지 않은 생각..

십유(十喩,1584)-뉴사전

십유(十喩,158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대승교에서 우주의 물(物)·심(心) 현상은 모두 공무(空無)하다는 이치를 표시한 열 가지 비유. 환(幻)·염(焰)·수중월(水中月)·허공화(虛空華)·향(響)·건달바성(乾闥婆城)·몽(夢)·영(影)·경중상(鏡中像)·화(化). 참고 대승교(大乘敎,445)-뉴사전 : 대승의 가르침.「화엄경」「법화경」「열반경」등의 대승경전에서 설한 가르침을 말함. 또 법상종(法相宗)의 3시교(時敎)에서는 공교(空敎) 이상을 대승교라 하고, 삼론종(三論宗)의 2장(藏)에서는 보살장을, 천태종의 4교(敎)에서는 통교(通敎) 이상을, 화엄종의 5교에서는 시교(始敎) 이상을, 진언종의 10주심(住心)에서는 타연대승심(他緣大乘心) 이상을 대승교라 한다. 소승교(小乘敎)..

비유(譬喩) 2021.03.11

육대(六大,1970)-뉴사전

육대(六大,197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만물을 성립시킨 만유의 본체인 여섯가지의 근본요소(根本要素). 지대(地大)·수대(水大)·화대(火大)·풍대(風大)·공대(空大)·식대(識大). 이 여섯가지는 각기 널리 차 있는 것이기 때문에 대(大)라고 함. 밀교(密敎)에서는 이 여섯가지를 대일여래(大日如來)의 상징이라고 간주함. (해석예) 지수화풍공식(地水火風空識)임. 참고 만물(萬物,753)-뉴사전 : ① 온갖 물건. ②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 만유(萬有). 성립(成立,1356)-뉴사전 : ① 성립하는 것. 산, siddhi ② 목적을 달성하는 것. ③ (어떤 사물에 존재한다는 것이) 논증되는 것. 산, adhigata .....성립(成立,1321)-국어사전 : (사물이) 이루어..

사대(四大) 2021.03.10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1715)-뉴사전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171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모든 사상(事象)은 여래장(如來藏)에서 연기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설. 참고 사상(事象,1140)-국어사전 : 어떤 사정 밑에서 일어나는 일. 사건이나 사실의 현상. 여래장(如來藏,1714)-뉴사전 : ➀ 여래의 태(胎)라는 뜻으로, 태(胎)란 모태와 태아의 어느 쪽을 의미함. 성장하여 부처님이 될 만한 태아도, 그 태(胎)에 부처님이 머물른 것이라고도 할 수 있으나, 어느 쪽이든 간단히 마음으로써가 아니라 중생을 그 존재 가능성 전체에서 파악한 표현임. 동시에 구조적으로는 객진번뇌(客塵煩惱)가 따라다니고 있는 상태로 부처님과 같지 않다. 범부의 마음속에 존재하고 있는 여래(부처님)가 될 수 있는 가능성. 중생중에 있..

무념정종(無念正宗)-(禪門正路-6,성철큰스님,79페)-2

무념정종(無念正宗)-(禪門正路-6,성철큰스님,79페)-2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6. 무념정종-2 悟此法者는 即是無念이니 無憶無著하야 不起誑妄하고 用自眞如性하야 以智慧觀照하야 於一切法에 不取不捨하나니 即見性成佛道니라(壇經) 이 法을 了悟한 者는 即是 無念이니 憶念과 執著이 없어서 誑妄이 일어나지 않고, 自己의 眞如本性을 사용하여 智慧로써 觀照하여 취하지도 버리지도 않나니, 이것이 見性이며 佛道를 성취함이니라. ◎ 妄滅證眞한 究竟無心을 또한 無念이라 한다. 이 無念이 즉 無生이니 即 頓悟이며 見性이며 成佛이다. 悟無念法者는 萬法에 盡通하며 悟無念法者는 見諸佛境界하며 悟無念法者는 至佛地位니라.(壇經) 無念法을 徹悟한 者는 萬法에 전부 通達하며 諸佛의 甚深한 境界를 洞見하며 佛陀의 地位에 ..

무념정종(無念正宗)-(禪門正路-6,성철큰스님,79페)-1

무념정종(無念正宗)-(禪門正路-6,성철큰스님,79페)-1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6. 무념정종-1 悟此法者는 即是無念이니 無憶無著하야 不起誑妄하고 用自眞如性하야 以智慧觀照하야 於一切法에 不取不捨하나니 即見性成佛道니라(壇經) 이 法을 了悟한 者는 即是 無念이니 憶念과 執著이 없어서 誑妄이 일어나지 않고, 自己의 眞如本性을 사용하여 智慧로써 觀照하여 취하지도 버리지도 않나니, 이것이 見性이며 佛道를 성취함이니라. ◎ 妄滅證眞한 究竟無心을 또한 無念이라 한다. 이 無念이 즉 無生이니 即 頓悟이며 見性이며 成佛이다. 悟無念法者는 萬法에 盡通하며 悟無念法者는 見諸佛境界하며 悟無念法者는 至佛地位니라.(壇經) 無念法을 徹悟한 者는 萬法에 전부 通達하며 諸佛의 甚深한 境界를 洞見하며 佛陀의 地位에 ..

팔난(八難,2664)-뉴사전

팔난(八難,266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부처님을 보지 못하고, 불법을 들을 수 없는 경계(境界)가 8종류 있는 것을 말함. (1) 지옥(地獄), (2) 아귀(餓鬼), (3) 축생(畜生)(이상 삼악도(三惡道)는 고통이 심하기 때문), (4) 장수천(長壽天)(장수를 즐겨 구도심(求道心)이 일지 않는다), (5) 변지(邊地)(산, Uttara-kuru 이곳은 즐거움이 과다함), (6) 맹롱음아(盲聾瘖瘂)(감각기관에 결함이 있기 때문), (7) 세지변총(世智辨聰 : 世俗智가 뛰어나 正理에 따르지 않음), (8) 불전불후(佛前佛後)(부처님이 세상에 안계신 때)임. 부처님과 법과 무연(無緣)한 8종의 장소. 그 원어는 보통 산, asta aksanah 또는 산, asta aksa..

육난(六難) 2021.03.07

견애번뇌(見愛煩惱,77)-뉴사전

견애번뇌(見愛煩惱,7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실한 이법(理法)에 헤매이는 지적인 번뇌와 구체적인 개개의 사상(事象)에 사로잡혀 방황하는 정의(情意)의 번뇌. 견(見)은 견혹(見惑)으로 미리(迷理)의 혹(惑), 견도(見道)로 끊어진 번뇌. 애(愛)는 수혹(修惑)으로 미사(迷事)의 혹(惑), 견도(見道)의 다음의 수도(修道)로 끊어진 번뇌. 견도(見道)는 보살의 초지(初地), 수도(修道)는 그 이후. 참고 견애(見愛,76)-뉴사전 : 견(見)은 일체의 견혹(見惑), 애(愛)는 일체의 수혹(修惑)을 말함. 견애이행(見愛二行,77)-뉴사전 : ① 견행(見行)과 애행(愛行)의 두가지. 행은 행업(行業)이라는 뜻. 견행(見行)은 다른 이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자기 소견대로 하려는 ..

업유(業有,1707)-뉴사전

업유(業有,170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는 행유(行有). 7유(有)의 1. 업을 말함. 몸·입·뜻으로 지은 선악의 행위는 반드시 미래에 선악의 과보를 받게 되어 인과가 어지럽지 않다는 뜻으로 유(有)라 한다. 참고 업(業,1703)-뉴사전 : ① 이루는 움직임. 작용. 산(산스크리트어), karman ② 인간이 하는 행위. 행동. 행위의 움직임. 동작. 보통, 몸·입·뜻의 3업(業)으로 분할. 몸과 입과 뜻이 이루는 일체의 행위. 즉, 신체의 동작, 입으로 하는 말, 마음의 의사나 생각 모두를 총칭함. 의지·동작·언어의 역할의 총칭. 의지에 근거한 신심의 활동. ③ 행위가 남기는 잠재적인 업력(業力). 몸·입·뜻에 의해 이루어지는 선악의 행위가, 나중에 어떠한 결과를 초..

유(有) 2021.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