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독(三毒) 18

진에(瞋恚,2218)-국어사전

진에(瞋恚,221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노여움. 분노. ② 불교에서 이르는, 삼독(三毒)의 하나. 자기 뜻에 어긋남에 대하여 성내는 일. 준) 진(瞋).  참고노여움. 분노⇒00노여움→노여움(479)-국어사전 : 노여운 감정. 노혐(怓嫌). 예) 할아버지의 노여움을 사다. 준) 노염. ...노엽다(479)-국어사전 : 섭섭하고 분하다. 예) 노엽게 여기다. ...00분노→분노(憤怒,1081)-국어사전 : 분하여 몹시 성을 냄. ...성내다(1320)-국어사전 : ➀ 성을 내다. 노여움을 드러내다. ➁ (흥분하여) 거친 기운을 내다. ➂ (잘못하다가 종기가) 덧나다. ...분노(忿怒,943)-뉴사전 : ① 노여움. 出曜經 16권 忿怒品, 法句經 下권, 忿怒品 : Dhp..

삼독(三毒) 2025.01.24

삼독(三毒,1220)-국어사전

삼독(三毒,122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착한 마음을 해치는‘탐욕·진에·우치’의 세 가지 번뇌를 아울러 이르는 말. 삼구(三垢).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

삼독(三毒) 2024.12.08

우치(愚痴,1775)-국어사전

우치(愚痴,177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어리석고 못남. ② 불교에서 이르는 삼독(三毒)의 하나. 사상(事象)에 의혹되어 진리를 분별하지 못하는 일. 참고어리석고 못남→00어리석다(1598)-국어사전 : 슬기롭지 못하고 둔하다. ...슬기(1430)-국어사전 : 사리를 바르게 판별하고 일을 잘 처리해 나가는 능력. 지혜(智慧). 두뇌. ...0둔하다(鈍-,662)-국어사전 : ① (말이나 행동이) 느리고 미련하다. ② (깨우침이) 늦고 재주가 모자라다. 이해가 늦다. ③ (날붙이의 날이) 무디다. ④ (감수성이) 모자라다. ⑤ (글이나 말로 표현하는 힘이) 부족하다. ⑥ (비판하는 정도가) 날카롭지 못하다. ⑦ (소리가) 무겁고 흐리다. ...느리다(506)-국어사전 ..

삼독(三毒) 2024.10.20

자비관(慈悲觀,2187)-뉴사전

자비관(慈悲觀,218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오정심관(五停心觀)의 제2. 일체 중생을 관(觀)하여 자비의 생각을 일으키고, 분노를 없애는 관법. 참고 자비(慈悲,1949)-국어사전 : ① (고통 받는 이를) 사랑하고 불쌍히 여김. ② 부처가 중생을 불쌍히 여겨 고통을 덜어 주고 안락하게 해 주려고 함, 또는 그 마음. 자비심. ...자비(慈悲,1890)-국어사전 : ① 사랑하고 가엾게 여김. ② (불) 부처나 보살이 중생에게 고통을 덜어 주고 안락하게 해 주려는 일. .....자비(慈悲,2187)-뉴사전 : ① 불·보살이 중생을 측은히 여기고 동정하는 마음. 불쌍히 여기는 마음. 만인에 대한 사랑, 측은과 동정. 산, maitra-cittata 산, karupa 산, mai..

삼독(三毒) 2022.12.02

삼장(三障,1228)-국어사전

삼장(三障,122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도 수행이나 선근(善根)을 행하는 데 있어서의 세 가지 장애. 탐욕(貪慾)·진에(瞋恚)·우치(愚痴) 등의 번뇌장(煩惱障)과, 오역(五逆)·십악(十惡) 등의 업장(業障)과, 지옥(地獄)·아귀(餓鬼)·축생(畜生) 등의 보장(報障). 참고 불도(佛道,1093)-국어사전 : ① 부처의 깨달음에 이르기까지의 가르침이나 수행. 보리. ② 부처의 가르침. 법도(法道). 비) 불법(佛法). ...불도(佛道,961)-뉴사전 : 부처님의 도. 부처가 되기 위한 가르침. 깨달음에 이르러야 할 도. 부처님의 깨달음.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 불교. 불교의 수행. 깨달음. 부처님이 설한 실천 방법. 불법과 동일. 산, agra-bodhi(최고의 깨달음)...

삼독(三毒) 2022.05.13

무진(無瞋,683)-뉴사전

무진(無瞋,68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마음 작용의 한가지. 미움이 없는 것. 성내지 않는 것. 오히려 적극적으로 타인을 불쌍히 여기는 것을 말함. 삼선근(三善根)의 하나. 소승의 아비달마에서는 대선지법(大善地法)의 한가지이고, 유식설(唯識說)에서는 11선심소(善心所)의 하나. 산, apratigha 산, advesa 산, advesa 티, shesdan med pa (해석예) 무진(無瞋)의 심소라고 하는 것으로 마음으로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것, 내게 등진 사람이 있어도 조금도 성내는 일이 없는 자비로운 마음이다. 참고 진(瞋,2450)-뉴사전 : ① 분노. 노여움. 미워하는 것. 증오. ② 삼독의 하나. [산, dvesa의 속어형[팔리어 등]은 dosa이며, 이것을 산..

삼독(三毒) 2021.12.31

탐번뇌(貪煩惱,2631)-뉴사전

탐번뇌(貪煩惱,263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리들의 심신을 뇌란하게 하는 탐욕의 정. 육대(六大)번뇌의 하나. 참고 탐(貪,2630)-뉴사전 : ① 미혹의 생존의 근원으로서의 탐욕. 욕심. 탐애. 탐하고 집착하는 것. 격렬한 욕망. 팔, raga 탐(貪)이라고 하는 것은 만물을 탐하지만 더 바라는 마음이고, 탐(貪)의 유력(有力)은 위(威)를 취하며, 무력(無力)은 다른이에 쫓아 구한다. 애욕. 탐염(貪染). ② 분노(산, dvesa)에 대함.→진(瞋) ③ 삼독(三毒)의 하나.→삼독 ④ 아비달마에서는 마음의 작용 중 부정지법(不定地法)의 하나. 마음에 꼭맞는 대상을 욕구하는 것. ⑤ 욕심 부리는 자. ⑥ 행음(行陰)을 말함.→행음 ...미혹(迷惑,719)-뉴사전 : ① 방..

삼독(三毒) 2021.12.01

치(癡,2582)-뉴사전

치(癡,258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우미(愚迷). 사물의 도리를 모르는 것. 어리석은 마음의 어두움. 미혹. 우치(愚). 미혹의 작용. 어리석음. 무지. 아비달마에서는 마음의 작용가운데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의 하나. 유식설(唯識說)에서는 근본번뇌(根本煩惱)의 하나. 무명(無明)과 동일. 또는 삼독(三毒)·십수면(十隨眠)의 하나. 대번뇌지법.→번뇌.→근본번뇌→무명→삼독→십수면(十隨眠) ② 십이인연(十二因緣)의 제일. 무명(無明)과 동일.→무명 팔, avijja ③ 학문이 없는 것. ④ 성(性)의 교제. ⑤ 상캬철학에서 어둡게 하는 작용. 예질(산, tamas)의 능력. ⑥ 상캬철학에 있어서 삼덕(三德)의 하나. 예질(翳質). ⑦ 상캬철학에서 미망(迷妄). 의도(疑倒)의..

삼독(三毒) 2020.06.12

진(瞋,2450)-뉴사전

진(瞋,245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분노. 노여움. 미워하는 것. 증오. ② 삼독의 하나. [산, dvesa의 속어형[팔리어 등]은 dosa이며, 이것을 산스크리트로 고친 것이 dosa이다.] ③ 아비달마에서는 심작용 중 부정법의 하나. 증오. 마음에 맞지 않는 대상을 증오하는 것. 자기의 감정에 어긋나는 사물에 대하여 증오하고 노여워하여 심신을 평안치 않게 하는 심작용을 말함. ④ 유식설에서는 6번뇌의 하나. 증오. 살아있는 것에 대한 냉혹한 마음. ⑤ 얼굴의 분노. 안면에 나타난 분노. 눈을 부라려 화를 내는 것. 참고 분노(忿怒,943)-뉴사전 : ① 노여움. ② 진언밀교(眞言密敎)에서 말하는 삼십이종(三十二種)의 맥관(脈管)의 하나. 증오(憎惡,2102)-국어사..

삼독(三毒) 2020.06.11

탐(貪,2630)-뉴사전

탐(貪,263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미혹의 생존의 근원으로서의 탐욕. 욕심. 탐애. 탐하고 집착하는 것. 격렬한 욕망. 팔, raga 탐(貪)이라고 하는 것은 만물을 탐하지만 더 바라는 마음이고, 탐(貪)의 유력(有力)은 위(威)를 취하며, 무력(無力)은 다른이에 쫓아 구한다. 애욕. 탐염(貪染). ② 분노(산, dvesa)에 대함.→진(瞋) ③ 삼독(三毒)의 하나.→삼독 ④ 아비달마에서는 마음의 작용 중 부정지법(不定地法)의 하나. 마음에 꼭맞는 대상을 욕구하는 것. ⑤ 욕심 부리는 자. ⑥ 행음(行陰)을 말함.→행음 참고 미혹(迷惑,719)-뉴사전 : ① 방황. 도리에 어두운 것. 마음이 (도리에 대해) 어찌할 바를 모르고 망설이는 것. 미(迷)는 사리를 속이고, ..

삼독(三毒) 202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