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無記) 4

소변무기(所變無記,1391)-뉴사전

소변무기(所變無記,139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유식종에서 무기법(無記法)을 능변무기·소변무기·분위무기·승의무기의 넷으로 나눈 중, 이것은 제8식에서 변현한 근신(根身)·종자·기세간(器世間)이 선악에 속하지 않은 성질임을 말함. 참고 유식종(唯識宗,1949)-뉴사전 : 법상종(法相宗)의 다른 이름. ...법상종(法相宗,820)-뉴사전 : 유식종(唯識宗)·응리원실종(應理圓實宗)·중도종(中道宗)이라고도 한다. 소의경전(所依經典)은「해심밀경」「성유식론」「유가사지론」. 인도에서는 무착·천친이 세우고, 중국에서는 현장(玄奘)이 인도의 계현론사(戒賢論師)에게 배워 가지고 와서 규기(窺基)에게 전하다. 규기는 자은사에 있었으므로 일명 자은종(慈恩宗).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의 원측(圓測)..

무기(無記) 2023.07.27

유부무기(有覆無記,1181)-舊사전

유부무기(有覆無記,1181)-舊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善도 아니고 惡도 아니지만 智慧의 발생을 방해하는 점에서 더럽혀져 있는 것. 煩惱에 가려져 있으나 善·惡이라고 明記할 수 없는 것은 無覆無記. (2) 눈에는 안보이나 가려져 있는 것. (범어 nivrtavyakrta) (無記①) 참고 무기(無記,396)-舊사전 : ① 善도 아니고 不善도 아닌 것. 善 등으로 기록할 수 없다는 뜻이다. 단「無記는 異熟果를 끌어들이지 않아서 異熟果(善惡의 과보)를 기록하지 않으므로 無記라고 한다」는 說도 있으나 이것은 有漏法에만 타당한 해석일 뿐 일반적인 說은 아니다. 無記的인 法을 無記法이라고 하고 이에 대해 善 또는 不善의 法을 有記法이라고 한다. 無記를 有覆·無覆의 二無記로 나눈다. ..

무기(無記) 2022.02.17

이숙과(異熟果,2065)-뉴사전

이숙과(異熟果,206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숙인(異熟因)의 결과. 선 또는 악의 업력(業力)에 의해 생겨난 무기(無記)의 결과. 원인은 선 또는 악이지만, 그 성숙해져 얻어진 결과는 무기이므로 이숙(異熟)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우리들의 존재는 무기이고, 선악의 업력에 의해 생기는 까닭에 신체의 주체는 이숙과라고 한다. 이것은 종자에서 싹이 나와 과실이 익을 때까지 시간이 걸리듯이, 원인으로부터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후 생긴다. 5과(五果)의 하나. 산, vipaka-phala 참고 이숙인(異熟因,2066)-뉴사전 : 이숙의 원인의 뜻. 6인(六因)중 하나. 도덕적 의미에서의 원인. 이전에 없었던 선 혹은 악의 행위에 의해 후에 선, 악의 과보를 인과 관계에 있어서, ..

무기(無記) 2020.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