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無記) 3

소변무기(所變無記,1391)-뉴사전

소변무기(所變無記,139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유식종에서 무기법(無記法)을 능변무기·소변무기·분위무기·승의무기의 넷으로 나눈 중, 이것은 제8식에서 변현한 근신(根身)·종자·기세간(器世間)이 선악에 속하지 않은 성질임을 말함. 참고 유식종(唯識宗,1949)-뉴사전 : 법상종(法相宗)의 다른 이름. ...법상종(法相宗,820)-뉴사전 : 유식종(唯識宗)·응리원실종(應理圓實宗)·중도종(中道宗)이라고도 한다. 소의경전(所依經典)은「해심밀경」「성유식론」「유가사지론」. 인도에서는 무착·천친이 세우고, 중국에서는 현장(玄奘)이 인도의 계현론사(戒賢論師)에게 배워 가지고 와서 규기(窺基)에게 전하다. 규기는 자은사에 있었으므로 일명 자은종(慈恩宗).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의 원측(圓測)..

무기(無記) 2023.07.27

유부무기(有覆無記,1181)-舊사전

유부무기(有覆無記,1181)-舊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善도 아니고 惡도 아니지만 智慧의 발생을 방해하는 점에서 더럽혀져 있는 것. 煩惱에 가려져 있으나 善·惡이라고 明記할 수 없는 것은 無覆無記. (2) 눈에는 안보이나 가려져 있는 것. (범어 nivrtavyakrta) (無記①) 참고 무기(無記,396)-舊사전 : ① 善도 아니고 不善도 아닌 것. 善 등으로 기록할 수 없다는 뜻이다. 단「無記는 異熟果를 끌어들이지 않아서 異熟果(善惡의 과보)를 기록하지 않으므로 無記라고 한다」는 說도 있으나 이것은 有漏法에만 타당한 해석일 뿐 일반적인 說은 아니다. 無記的인 法을 無記法이라고 하고 이에 대해 善 또는 不善의 法을 有記法이라고 한다. 無記를 有覆·無覆의 二無記로 나눈다. ..

무기(無記) 20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