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2

욕심(欲心,1868)-뉴사전

욕심(欲心,186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탐하는 마음. 탐하고 바라는 마음. 욕정(欲情). 참고 욕(欲,1865)-뉴사전 : ① 일반적 용례로서는 갈애(渴愛)·탐함·망집(妄執) 등을 가리키는 말로서 쓰여짐. 팔, tanta ② 아비달마 교학에서는 심소(心所)의 하나. 희망. 물사(物事)를 하고 싶다는 욕구. 애락(愛樂)하는 사물에 대해 소망.「구사론」에서는 대지법(大地法)의 하나. 유식(唯識)에서는 오별경(五別境)의 하나. 산, chandas 산, chanda (해석예) 욕(欲)의 심소(心所)는 선(善)도 악(惡)도 무기(無記)도 희망하는 마음임. ③ 욕계(欲界). ④ 남녀의 애욕(愛慾). 음욕(婬欲). ⑤ 의욕(意欲). 명상의 과정에 있어서의 6종류의 결함 중 하나인 해태..

무(無,621)-뉴사전

무(無,62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존재하지 않는 것. 존재 않음. 산, abhava 산, avidyamana 산, nasti 산, asat 산, asambhava ② 없어지다. ③ 성립할 수 없는 것. 있을 수 없음. ④ 이유가 없음. ⑤ 경험 이전, 지식이전의 순수한 인간의 의식. 특히 선(禪)에서 말함. ⑥ 노자(老子)가 설한 무(無). 노자(老子)는「談 無曰 道」이므로, 불교의 공(空)과는 구별해야 한다고 말함. ⑦ 문장의 마지막에 붙으면 의문의 조사(助詞)가 됨.「狗子還有=佛性-也無」 ⑧ 한문에서의「無」의 용례. (1) 문두(文頭)에서 의미없는 조사. (2)「無亦」의 역(亦) (그 정도로). (3) 문장안에서의 허자(虛字)로서 사용함. (4) 모(母 의미없는 문..

무(無) 2020.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