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대처(肉食帶妻) 육식대처(肉食帶妻)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蓄妻噉肉 · 持妻食肉이라고도 한다. 出家의 比丘가 妻를 데리고 살며 肉食을 하는 것을 말한다. 출가자는 聚妻食肉(淨肉은 제외)을 戒律로 禁하고 있는데, 大品般若經 卷一등에서는 在家의 보살이 妻子를 거느리고 삶을 .. ᄉ~ㅇ(시옷~이응) 2018.03.06
염법(染法) 염법(染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染汚法의 준말. ① 惡性과 有覆無記와의 諸法을 말함. ② 迷妄의 諸法을 말함. 이것이 淨法을 더럽히기 때문이다. 참고 염오(染汚) : 染汚라 함은 번뇌의 흐림에 물들어 더러워져 있다는 뜻. 또 雜染, 染이라고도 한다. 有漏法중, 깨.. ᄉ~ㅇ(시옷~이응) 2018.03.05
삼반야(三般若) 삼반야(三般若)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반야에 문자반야 ∙ 관조반야 ∙ 실상반야를 세우는 것. (1) 文字般若. 문자로 나타낸 반야경이 반야의 지혜는 아니나, 반야를 詮顯하는 방편이므로 이렇게 이름 함. (2) 觀照般若. 모든 법의 실상을 관조함이 반야 지혜의 .. ᄉ~ㅇ(시옷~이응) 2018.03.05
상속상(相續相) 상속상(相續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자기의 뜻에 맞는 順境에는 즐거움을 느껴 좋아하고, 逆境에는 고통을 느껴 이를 싫어하며, 苦樂의 감정이 相續하여 끊어짐이 없는 것. 참고 순경(順境) : 자기의 뜻에 맞는 境界. 곧 몸과 마음에 알맞은 對境. 이것에 의하여 탐.. ᄉ~ㅇ(시옷~이응) 2018.03.05
습생(濕生) 습생(濕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生의 하나로 濕氣로 나는 生物. 곧 모기·귀뚜라미 등. 참고 사생(四生) : 생물이 태어나는 네 가지 형태. (1) 胎生(母胎에서 태어나는 것으로서 사람이나 짐승류 등). (2) 卵生(알에서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鳥類 등) (3) 濕生(濕氣.. ᄉ~ㅇ(시옷~이응) 2018.03.05
수처작주(隨處作主) 수처작주(隨處作主)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항상 자기의 주체성을 확립하여 어떤 것에도 사로잡히지 않고 언제나 자유자재한 행동을 하는 것. 참고 자유(自由) : ① 개인의 의사 결정에 외부의 구속을 받지 아니하는 상태. ② 일정한 因果系列.. ᄉ~ㅇ(시옷~이응) 2018.03.04
원만(圓滿) 원만(圓滿)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缺滅. 곧 모자람이 없이 周遍充足하다는 뜻. 十八圓滿이라 함은 18종의 事가 圓滿하다는 뜻으로, 또 十八圓淨이라고도 十八具足이라고도 한다. 諸佛(報身佛)이 受用하는 國土에는, 18종의 功德事가 圓滿하다고 함. 곧 (1) 顯色원만. (.. ᄉ~ㅇ(시옷~이응) 2018.03.04
업식(業識) 업식(業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5意의 하나. 眞如의 淸淨一心이 根本無明에 의해 처음으로 움직이는 한 생각을 가리킴. 곧 有情流轉의 根本識. 여기에 두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다른 轉識 · 現識등에 대한 業識으로 阿賴耶識중의 自體分에 해당하고, 다른 하나.. ᄉ~ㅇ(시옷~이응) 2018.03.04
예류과(預流果) 예류과(預流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須陀洹이라 音譯함. 예류과는 初果라고도 하여 見道에서 3界의 見惑을 끊어 버려서 바로 無漏의 聖道에 들어간 자리. 참고 수다원(須陀洹) : 범어 srota-apanna. 성문 4果의 하나. 預流果의 梵名이며, 無漏道에 처음으로 참례하여 .. ᄉ~ㅇ(시옷~이응) 2018.03.04
염부제(閻浮提) 염부제(閻浮提)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須彌山 남쪽에 있는 대륙. 4대주의 하나. 수미산을 중심으로 인간세계를 동서남북 4洲로 나눈 가운데 閻浮提는 南洲이다. 인도는 여기에 속한다고 한다. 여기 16의 대국, 500의 중국, 10萬의 소국이 있다고 하며 이곳에서 주민들.. ᄉ~ㅇ(시옷~이응) 2018.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