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승외도(小乘外道) 소승외도(小乘外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소승을 卑下시키는 말로 쓰기도 하고 小乘과 外道라는 두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대승의 敎義에 어긋난다는 점에서는 小乘이나 外道가 다 같기 때문이다. 참고 소승(小乘) : 소승불교에 대해서는 아래의 대승불교를 참조.. ᄉ~ㅇ(시옷~이응) 2018.02.28
수면(睡眠) 수면(睡眠)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心所(마음의 작용)의 이름. 俱舍宗에선 不定地法의 하나라고 하고 唯識宗에선 四不定의 하나. 혹은 眠이라고도 한다. 몸을 부자유하게 하고 마음을 闇昧케 만들어 睡眠에 떨어지게 하는 정신작용을 말함. 大煩惱地法의 하나이다. &.. ᄉ~ㅇ(시옷~이응) 2018.02.27
위의(威儀) 위의(威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規律에 들어 맞는 起居動作. 위엄이 있는 모습·태도. 몸에는 대체로 行·住·坐·臥의 四威儀가 있다. ② 비구·沙彌 등의 출가 및 재가자의 規律에 대한 別名. 비구·比丘尼에게는 지녀야 할 수많은 作法이 있는 데서, 「三千.. ᄉ~ㅇ(시옷~이응) 2018.02.27
심외무별법(心外無別法) 심외무별법(心外無別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주의 모든 법은 마음 속에 있는 것이요, 마음 밖에 있는 것은 아니라는 말. 참고 심외(心外) : 마음의 밖, 생각 밖이란 뜻. 우주(宇宙) : 1. 무한한 시간과 온갖 사물을 포괄하는 공간. 2. 대기권 밖의 공간. 3. 모든 천체.. ᄉ~ㅇ(시옷~이응) 2018.02.27
사종악인(四種惡人) 사종악인(四種惡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律家에서 말한 것. (1) 다른 사람의 허물을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 (2) 因果의 도리를 무시하는 옳지 못한 견해를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 (3) 말은 그럴 듯 하게 하나 마음이 惡한 사람. (4) 일은 적게 하고 많이 했다고 말하는 .. ᄉ~ㅇ(시옷~이응) 2018.02.27
여색(女色) 여색(女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여자와의 성관계, 혹은 여자의 자태를 말함. 訶欲經에「여색은 세간의 목과 발에 끼우는 형틀과 같다. 범부는 거기에 애착하여 헤어나오지 못한다. 여색은 세상의 重患이다. 범부는 거기에 얽매어 죽을 때까지 벗어나지 못한다. 여.. ᄉ~ㅇ(시옷~이응) 2018.02.27
소욕지족(少欲知足) 소욕지족(少欲知足)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喜足少欲·無欲知足이라고도 한다. 욕망을 적게 갖고 분에 맞는 것으로 족한 줄 알고 만족하는 것. 아직 얻지 못한 것에 대해서 과분한 탐욕을 생각지 않는 것을 少欲, 이미 가진 것이 적어도 뉘우치지 않는 것이 知足이다.. ᄉ~ㅇ(시옷~이응) 2018.02.27
성인(聖人) 성인(聖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범어 arya의 번역으로 聖者 · 聖이라고도 한다. 聖智를 깨달은 見道 이상의 사람. ② 불 · 보살 또는 權化人(거짓으로 사람의 모습을 한 聖德이 있는 사람). 참고 견도(見道) : [修道] · [無學道] 修行의 한 階位. 합하여 三道라고.. ᄉ~ㅇ(시옷~이응) 2018.02.26
아마라식(阿摩羅識) 아마라식(阿摩羅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阿摩羅는 범어 amala의 音譯. 阿末羅識, 菴摩羅識이라고도 쓰고, 無垢識 · 淸淨識이라고 번역한다. 阿賴耶識이 迷惑을 버리고 깨달음의 모습으로 轉換한 청정한 位에 이른 것을 말한다. 곧 우리들의 마음은 본연의 모습에 .. ᄉ~ㅇ(시옷~이응) 2018.02.26
아귀(餓鬼) 아귀(餓鬼)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preta의 번역. 薜荔(벽려)多라 음역하고 鬼라고도 번역한다. 三塗·五趣(五道)·六趣(六道)의 하나. 전생에 惡業을 짓고, 탐욕을 부린 자가 아귀로 태어나, 항상 飢渴에 괴로워 한다. 順正理論 권三十一에 3종의 아귀를 .. ᄉ~ㅇ(시옷~이응) 2018.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