ᄉ~ㅇ(시옷~이응)

삼반야(三般若)

근와(槿瓦) 2018. 3. 5. 02:26

삼반야(三般若)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반야에 문자반야  관조반야  실상반야를 세우는 


(1) 文字般若문자로 나타낸 반야경이 반야의 지혜는 아니나반야를 詮顯하는 방편이므로 이렇게 이름 .
(2) 觀照般若모든 법의 실상을 관조함이 반야 지혜의 작용이고관조하는  지혜는 반야이므로 이렇게 이름 .
(3) 實相般若모든 법의 실상과 無相  空寂 반야가 아니나반야의 지혜를 내는 것이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식대처(肉食帶妻)  (0) 2018.03.06
염법(染法)  (0) 2018.03.05
상속상(相續相)  (0) 2018.03.05
습생(濕生)  (0) 2018.03.05
수처작주(隨處作主)  (0) 2018.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