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수(三受) 삼수(三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세 가지 감각. 樂 · 苦 · 不苦不樂을 感受하는 것. 곧 快樂(樂受=바깥경계와 접촉하여 즐거움을 느낌) · 不快感(苦受=바깥경계와 접촉하여 몸과 마음에 받는 괴로움) · 不苦不樂(捨受=苦受와 樂受에 속하지 않는 느낌. 괴롭지도 .. ᄉ~ㅇ(시옷~이응) 2018.03.14
사박(四縛) 사박(四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結이라고도 한다. 네 가지의 煩惱. (1) 欲愛身縛. 欲界의 중생이 사랑하는 5欲 境界에 執着하여 가지가지 煩惱 惡業을 일으켜 3界에 流轉하는 苦痛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 (2) 瞋恚身縛. 欲界의 중생이 자기의 마음에 들지 않아 .. ᄉ~ㅇ(시옷~이응) 2018.03.14
음주(飮酒) 음주(飮酒)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술을 마시는 것. 大智度論 十三卷에는, 술을 마시면 35가지 過失, 또는 36가지 過誤를 범한다고 한다. ② 술을 마시면 범죄의 원인이 되므로 佛敎에서는 이것을 制止하기 위해 五戒의 하나로 하고 있다. 참고 주(酒) : 범어 sura의 .. ᄉ~ㅇ(시옷~이응) 2018.03.14
수증불이(修證不二) 수증불이(修證不二)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修即證·證即修를 뜻하는 말로 修行과 證이 둘이 아니라는 뜻으로 修證一等이라 한다. 禪宗에서 坐禪의 깊은 뜻은 “本來成佛과 取道力量”에 있고 깨달음을 얻기 위한 방편이라고만 하는데 있지 않음을 뜻한다. 참고 수.. ᄉ~ㅇ(시옷~이응) 2018.03.13
아나함(阿那含) 아나함(阿那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nagamin 阿那伽彌·阿那伽迷라 音譯한다. 聲聞 제4果 중의 하나로, 줄여서 那含이라 하고, 不還·不來라 번역한다. 欲界에서 죽어 色界·無色界에 나고는 煩惱가 없어져서 다시 돌아오지 아니한다는 뜻이다. 참고 불환과(.. ᄉ~ㅇ(시옷~이응) 2018.03.12
용맹정진(勇猛精進) 용맹정진(勇猛精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용맹하게 나아가 행하기 어려운 일을 닦는 것을 말함. 법화경 序品에 「보살이 용맹정진하려고 深山에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라고 하였다. 참고 정진(精進) : 범어 virya의 번역으로 6바라밀 · 10바라밀의 하나. 毘梨耶 · .. ᄉ~ㅇ(시옷~이응) 2018.03.12
사도(四道) 사도(四道)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번뇌를 끊고 진리를 깨닫는 과정을 4가지로 나눈 것. 加行道(번뇌를 끊는 것을 希求하여 닦는 예비적인 수행으로 方便道라고도 한다). 無間道(직접 번뇌를 끊는 道도 無礙道라고도 한다). 解脫道(확실히 진리를 깨닫고 해탈을 얻는 .. ᄉ~ㅇ(시옷~이응) 2018.03.12
삼불선근(三不善根) 삼불선근(三不善根)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탐·진·치의 三毒을 말함. 新譯仁王經에 「탐·진·치의 세 가지 不善根을 다스리고, 施·慈·慧의 3종 善根을 일으킨다」하였음. 참고 삼독(三毒) : 貪欲 · 瞋恚 · 愚癡(貪 · 瞋 · 癡라고도 婬 · 怒 · 癡라고도 한.. ᄉ~ㅇ(시옷~이응) 2018.03.12
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陀羅尼) 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陀羅尼)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까리 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니라간타 나막하리.. ᄉ~ㅇ(시옷~이응) 2018.03.12
신심명(信心銘) 신심명(信心銘)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1권. 중국 선종의 제3조인 僧璨 지음. 본문은 구절마다 네 글자, 146句, 584字의 韻文體로 된 1편. 간단하고 명료하며, 直截하게 禪理의 극치를 노래한 책. 참고 승찬(僧璨) : 徐州사람으로 禪宗 제 3祖인 중국 스님. 선종 제 2조 慧.. ᄉ~ㅇ(시옷~이응) 2018.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