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인업보(業因業報) 업인업보(業因業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업인은 과보를 받을 원인으로 善業은 樂果의 因이 되고, 惡業은 苦果의 因이 된다는 것. 업보는 業果와 같은 말로서, 業과 果報의 두 단어의 並稱으로 보기도 하고, 또 善惡의 행위(業)를 하면 반드시 그 果報로서 苦樂의 .. ᄉ~ㅇ(시옷~이응) 2018.03.08
안심(安心) 안심(安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수행의 체험이나 敎法의 領解에 의해서, 마음을 不動의 경지에 安住시키는 것. 또 그것에 의해서 얻은 경지를 말한다. ① 智顗의 摩訶止觀 卷五上에는 「善巧安心이라 함은 止觀으로서 法性에 잘 契合함으로 편안한 것이다」라고 .. ᄉ~ㅇ(시옷~이응) 2018.03.08
석가협시(釋迦夾侍) 석가협시(釋迦夾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문수 · 보현의 두 보살은 二夾侍가 되고, 혹은 문수 · 보현 · 아난 · 가섭을 四夾侍라 한다. 이는 가섭과 아난의 차례는 臘夏의 上下에 의한다. 또한 보현과 문수의 차례는 밀교의 태장계 만다라의 금강부에서는 왼쪽.. ᄉ~ㅇ(시옷~이응) 2018.03.07
오력(五力) 오력(五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十七道品중의 하나. ① 信(信仰)力·勤(努力)力·念(憶念)力·定(禪定)力·慧(智慧)力의 다섯가지. 이것은 惡을 쳐부수는 힘이 있으므로 力이라 한다. 내용은 5無漏根과 같이 불교의 실천도를 가리킨다. 대체로 실천상으로 전자.. ᄉ~ㅇ(시옷~이응) 2018.03.07
삼선도(三善道) 삼선도(三善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惡道에 대하여 三善道를 세운 것. 善業에 따라 가는 것이므로 善道라 이름함. (1) 天道. 上品의 善을 따라 가는 것. (2) 人道. 中品의 善을 따르는 것. (3) 阿修羅道. 下品의 善을 따르는 것. 智度論三十에「善에는 상·중·하가 .. ᄉ~ㅇ(시옷~이응) 2018.03.07
육대체대(六大體大) 육대체대(六大體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密敎에서는 地 · 水 · 火 · 風 · 空 · 識의 6大가 일체 諸法의 體性이라고 말한다. 이 여섯가지는 전 우주에 두루하여 털끝 하나 티끌 하나라도 반드시 이 6大를 갖추었고 이것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한 물건도 없.. ᄉ~ㅇ(시옷~이응) 2018.03.07
사백사병(四百四病) 사백사병(四百四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사람의 병을 모두 합하여 4백 4가지로 말한 것. 사람의 몸은 地·水·火·風의 네 元素로 구성되어 있고 이 四大(네 元素)의 조화가 맞지 않는 것이 병인데 4大에 각각 백하나의 病이 있으므로 4백 4병이 된다고 한 것. 곧 風.. ᄉ~ㅇ(시옷~이응) 2018.03.07
사등(四等) 사등(四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慈, 悲, 喜, 捨의 四無量心이다. 마음으로 인식하는 대상인 所緣의 境界를 따르면 無量이 된다 하고, 능히 일어나는 마음을 따르면 等이 된다고 한다. 평등에서 이 마음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大部補註 六에「四等은 慈·悲·喜.. ᄉ~ㅇ(시옷~이응) 2018.03.07
연각승(緣覺乘) 연각승(緣覺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2因緣을 觀하여 眞空의 원리를 깨닫는 緣覺의 法. 또 그런 사람. 乘은 탈 것으로 여기서 敎法이란 뜻. 보살·獨覺과 함께 三乘의 하나. 또 獨覺과 함께 二乘의 하나. 참고 십이인연(十二因緣) : 凡夫로서의 有情의 生存이 12의 .. ᄉ~ㅇ(시옷~이응) 2018.03.06
앙굴마라(央掘魔羅) 앙굴마라(央掘魔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央掘摩羅 · 央仇魔羅 · 央崛鬘 · 鴦崛利摩羅 · 鴦窶利摩羅 · 央掘이라고도 한다. 指鬘 · 一切世間現이라 번역. 부처님 제자. 12세에 마니 발타라 바라문을 스승으로 섬기다. 스승이 출타하였을 적에 스승의 아내에게.. ᄉ~ㅇ(시옷~이응) 2018.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