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문(我聞) 아문(我聞)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모든 經의 첫머리에 我聞 2자를 쓴 것은 세상 사람들의 아집과 경쟁을 없애고, 또 친히 들었기 때문에 오류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며, 我는 阿難이 자신을 가리킨 것이다. 注維摩經一에「什이 말하기를 만약 "들었다"고 .. ᄉ~ㅇ(시옷~이응) 2018.02.26
아비달마(阿毘達磨) 아비달마(阿毘達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bhidharma의 음역. 阿毘曇·毘曇이라고도 쓴다. 對法·無比法·向法·勝法, 혹은 단지 論이라고도 번역한다. 經·律과 더불어 三藏(불교성전의 총칭)의 하나로, 阿毘達磨藏·阿毘曇藏·對法藏·論藏이라 불리운다. .. ᄉ~ㅇ(시옷~이응) 2018.02.26
십팔공(十八空) 십팔공(十八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stadasasunyata. 空을 本體와 作用으로 관찰한 것. 內空 · 外空 · 內外空 · 空空 · 大空 · 第一義空 · 有爲空 · 無爲空 · 畢竟空 · 無始空 · 散空 · 性空 · 自相空 · 諸法空 · 不可得空 · 無法空 · 有法空 · 無.. ᄉ~ㅇ(시옷~이응) 2018.02.26
세친(世親) 세친(世親)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天親이라고도 하고 婆藪槃豆 · 伐蘇畔度라 음역. 4~5세기 경의 學僧으로, 북인도 건타라국 부루사부라(지금의 Peshawar) 사람인 바라문족 嬌尸迦의 아들. 처음에 형 무착과 함께 소승의 설일체유부에 출가했으나, 무착이 대승으로 돌.. ᄉ~ㅇ(시옷~이응) 2018.02.26
삼혹(三惑) 삼혹(三惑)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障이라고도 한다. (1) 見思惑. 見道와 修道에서 끊는 見惑과 修惑을 말함. 見惑은 세상의 진리를 알지 못하여 일어나는 煩惱이고, 修惑은 모든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여 일어나는 煩惱이다. (2) 塵沙惑. 塵沙란 많음을 비유한 말이.. ᄉ~ㅇ(시옷~이응) 2018.02.25
십팔천(十八天) 십팔천(十八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色界의 18天. 初禪天의 梵衆天 · 梵輔天 · 大梵天. 二禪天의 少光天 · 無量光天 · 光音天. 三禪天의 少淨天 · 無量淨天 · 遍淨天. 四禪天의 無雲天 · 福生天 · 廣果天 · 無想天 · 無煩天 · 無熱天 · 善見天 · 善現.. ᄉ~ㅇ(시옷~이응) 2018.02.25
이구청정(離垢淸淨) 이구청정(離垢淸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의 自性淸淨의 心體는 모든 번뇌의 더러움을 깨끗이 여의었으므로 離垢淸淨이라 한다. 참고 자성청정(自性淸淨) : 二種淸淨의 하나. 중생이 갖추고 있는 眞如心의 體性은 본래 청정하여 물들거나 거리낌이 없는 것. .. ᄉ~ㅇ(시옷~이응) 2018.02.25
인아견(人我見) 인아견(人我見)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1) 자기에 대한 집착. 常一主宰하는 我가 있다고 고집하는 잘못된 見解. (2) 일반적으로 말하는 五陰假和合으로 人我로 인정하는 我見과는 달리 主로 法身如來藏에 實體를 인정하는 잘못된 見解. 我는 主宰(중심이 되어 책임지.. ᄉ~ㅇ(시옷~이응) 2018.02.25
인연생멸리(因緣生滅理) 인연생멸리(因緣生滅理)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모든 존재는 우리들의 業과 번뇌의 因緣으로 생긴 것이므로 그 因緣을 끊으면, 모든 존재도 또한 滅하여 열반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 참고 업(業) : 범어 karman의 번역. 羯磨라 音譯한다. 造作의 뜻. 行爲 · .. ᄉ~ㅇ(시옷~이응) 2018.02.25
십신(十信) 십신(十信)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보살의 修行階位 52位 가운데 처음의 十信位를 말함. 불법의 진리를 믿어 의심이 없는 지위. 信心 · 念心 · 精進心 · 慧心 · 定心 · 不退心 · 護法心 · 廻向心 · 戒心 · 願心.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 ᄉ~ㅇ(시옷~이응) 2018.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