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착번뇌(外着煩惱) 외착번뇌(外着煩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貪·瞋·痴 등의 번뇌는 바깥 경계에 집착하여 일어나므로 이렇게 이름. 참고 탐진치(貪瞋痴) : 욕심·성냄·어리석음. 이 셋은 수행인을 해롭게 함이 가장 심하므로 3毒이라 한다. 내착번뇌(內着煩惱) : 2번뇌의 하나. 마.. ᄉ~ㅇ(시옷~이응) 2018.03.04
인연생사(因緣生死) 인연생사(因緣生死)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7종 生死의 하나. 十地 가운데 歡喜地 이후의 보살이 진리를 因으로 하고 지혜를 緣으로 하여 無明 번뇌를 끊었으나,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다시 生死하는 모양을 나타내 보이는 것. 참고 칠종생사(七種生死) : 여기에 諸.. ᄉ~ㅇ(시옷~이응) 2018.03.03
십이망상(十二妄想) 십이망상(十二妄想)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言說 망상. (2) 所說事 망상. (3) 相 망상. (4) 利 망상. (5) 自性 망상. (6) 因果 망상. (7) 見 망상. (8) 威 망상. (9) 生 망상. (10) 不生 망상. (11) 相續 망상. (12) 縛不縛 망상을 말함.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ᄉ~ㅇ(시옷~이응) 2018.03.03
오식(五食) 오식(五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善根을 양성하는 5種의 法食. (1) 念食. 언제나 正念에 머물러 일체의 善根을 기름. (2) 法喜食. 妙法을 사랑하여 마음에 기쁨을 내어 慧命을 기름. (3) 禪悅食. 禪定에 의하여 心身에 기쁨을 내어 慧命을 기름. (4) 願食. 誓願에 의하여 .. ᄉ~ㅇ(시옷~이응) 2018.03.03
음주삼십오과(飮酒三十五過) 음주삼십오과(飮酒三十五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술을 마시므로 일어나는 過誤를 말함. (1) 재물을 낭비하여 家産을 탕진함. (2) 여러가지 病을 얻게 됨. (3) 남과 싸우는 근본이 된다. (4) 옷을 벗어도 부끄러움이 없어진다. (5) 이름이 醜(추)해져서 남이 공경하지 않.. ᄉ~ㅇ(시옷~이응) 2018.03.03
시주(施主) 시주(施主)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danapati의 번역으로 흔히 音譯하여 檀越이라 한다. 布施主 곧 布施한 주인공이란 말의 뜻이다. 참고 단월(檀越) : 범어 danapati. 施主라 번역하며, 布施를 행하는 사람을 뜻한다. 시주걸립(施主乞粒) : 탁발승이 시주의 곡식이나 .. ᄉ~ㅇ(시옷~이응) 2018.03.02
안락행(安樂行) 안락행(安樂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惡世에 법화경을 널리 펴고자 하는 보살이, 자신을 위해서도 다른 이를 가르치기 위해서도 마음을 쏟아야 할 身心上의 行法을 말한다. 법화경 안락행품에 나온다. 여기에는 (1) 身. (2) 口. (3) 意의 三業의 허물을 여의는 것과 (4).. ᄉ~ㅇ(시옷~이응) 2018.03.01
사미니(沙彌尼) 사미니(沙彌尼)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ramanerika. 출가한 나이 어린 여자. 新譯에는 室羅摩拏理迦라 하며 여성의 사미를 말함. 室羅摩拏理迦는 번역하여 勤策女라 한다. 참고 출가(出家) : 범어 pravrajita의 번역으로 波吠儞野라 음역하며 번뇌에 얽매인 世俗.. ᄉ~ㅇ(시옷~이응) 2018.03.01
일수사견(一水四見) 일수사견(一水四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一境四心·一處四見이라고도 한다. 같은 대상이라도 보는 사람에 따라 틀리는 것. 마치 같은 물을 아귀(餓鬼)는 膿血로 보고, 물고기는 住居로 보고, 天의 有情들은 여러 가지 보물로 장엄된 땅으로 보고, 사람은 물로 보.. ᄉ~ㅇ(시옷~이응) 2018.02.28
선지식마(善知識魔) 선지식마(善知識魔)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十魔의 하나. 자기가 얻은 敎法에 執着心을 내어, 他人에게 말해 주지 않는 魔軍. 참고 선지식(善知識) : 바른 도리를 가르치는 자를 善知識(善友·親友·勝友·善親友 등이라고도 한다), 그릇된 길로 인도하는 자를 惡知.. ᄉ~ㅇ(시옷~이응) 2018.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