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생(四生) 사생(四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생물이 태어나는 네 가지 형태. (1) 胎生(母胎에서 태어나는 것으로서 사람이나 짐승류 등). (2) 卵生(알에서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鳥類 등) (3) 濕生(濕氣에서 태어나는 것. 벌레 등) (4) 化生(다른 물건에 기생하여 그것으로부터 태.. ᄉ~ㅇ(시옷~이응) 2018.03.11
수(壽) 수(壽)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yus의 번역. 命 · 命根이라는 말과 같고 또 壽命이라고도 한다(단, 壽와 命을 구별하는 說도 있다). 곧 과거에 한 행위 곧 業의 힘에 의해서, 이 세상에 태어나 죽음에 이를 때까지의 기간을 지속하고, 우리들의 신체의 체온(煖)과 .. ᄉ~ㅇ(시옷~이응) 2018.03.11
소승삼장(小乘三藏) 소승삼장(小乘三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部의 아함경 등이 經藏이 되고, 四分·五分·十誦律 등이 律藏이 되고, 六足論·發智論 등이 論藏이 된다. 이 3장의 근본은 모두 부처님이 말씀한 것이며, 부처님이 입멸할 때에 部帙을 나누어 결집한 것. 부처님이 말씀.. ᄉ~ㅇ(시옷~이응) 2018.03.09
아함시(阿含時) 아함시(阿含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天台宗에서 세운 世尊一代의 5시기 중 제2時. 참고 아함(阿含) : 범어 agama의 音譯. 阿鋡ㆍ阿伽摩ㆍ阿笈摩ㆍ阿含暮라고도 쓰고, 敎ㆍ傳來ㆍ法歸라고 번역한다. 스승으로부터 제자에게로 차례로 傳承하여 온 敎說, 또는 聖典의 .. ᄉ~ㅇ(시옷~이응) 2018.03.09
오온개공(五蘊皆空) 오온개공(五蘊皆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몸과 마음은 모두 五蘊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정한 본체가 없이 無我인 것을 말함. 참고 오온(五蘊) : 五陰이라고도 한다. 蘊은 범어 skandha의 번역. 塞建陀라 音譯하며 모인다는 뜻. 가지가지의 종류를 일괄해서 聚說한다.. ᄉ~ㅇ(시옷~이응) 2018.03.09
십행(十行) 십행(十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보살이 수행하는 52階位중 10信 · 10住 다음의 位인 제21位로부터 제30位까지의 보살위. 곧 10住位의 마지막인 灌頂住에서 진정한 佛子임을 印可받아 확인한 뒤 더 나아가 利他行을 완수하고자 중생교화의 실천을 위해 정진하는 地.. ᄉ~ㅇ(시옷~이응) 2018.03.09
생불일여(生佛一如) 생불일여(生佛一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佛凡一體·生佛不二라고도 한다. 凡聖一如·生佛平等과 같은 말이다. 生은 迷惑의 중생, 一如는 평등·무차별의 뜻. 중생과 부처가 평등하다고 하는데 있어서, 천태종에서는 諸法實相의 이론을 따르고 밀교에서는 六大.. ᄉ~ㅇ(시옷~이응) 2018.03.09
인(因) 인(因)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狹義로는 결과(果)를 가져오는 직접 내적 원인을 因(內因)이라 하고, 이것을 외부에서 도우는 간접적 원인을 緣(外緣)이라 하지만, 廣義로는 두 가지를 합해서 因이라고도 하고 緣이라고도 한다. 因을 여러 가지로 분류한다. ① 能生.. ᄉ~ㅇ(시옷~이응) 2018.03.08
십회향(十廻向) 십회향(十廻向)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보살이 수행해 나아가는 52階位중 제31位로부터 제40位까지를 일컫는다. 곧 10信 · 10住의 20位를 거쳐 10行의 位에서 닦은 自利 · 利他의 行을 일체 중생을 위해 널리 돌려주는 공덕으로 佛果를 향해 나아가는 地位. 救護一切衆.. ᄉ~ㅇ(시옷~이응) 2018.03.08
유심정토(唯心淨土) 유심정토(唯心淨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自性彌陀·唯心淨土라 하여 내 마음 밖에는 따로 아미타불도 淨土도 없다고 하는 것. 참고 자성미타(自性彌陀) : 己心彌陀唯心淨土. 己心淨土唯心彌陀라고도 한다. 마음 가운데 갖추어 있는 성품. 중생의 본래의 성품이 .. ᄉ~ㅇ(시옷~이응) 2018.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