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과 죽음(마음,청담스님) 믿음과 죽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어느 종교를 막론하고 그 종교에 대한 순교의 가치와 순교자의 위치는 그 종교사에 있어서 지극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것은 한 종교가 위기를 당했을 때 그 위기를 극복하고 또는 그 종교의 첫 발생시에 필연코 따르.. ㄹ~ㅁ(리을~미음) 2018.07.08
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 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無漏根의 하나. 見道位에서 일어나는 意 · 樂 · 喜 · 捨 · 信 · 勤 · 念 · 定 · 慧의 9根을 말함. 16心 가운데서 앞 15心은 見道, 제16心 이하는 修道에 딸림. 지금 見道位의 사람은 일찍 알지 못하던 4諦의 이치를 .. ㄹ~ㅁ(리을~미음) 2018.07.08
무상과(無想果) 무상과(無想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4不相應行法의 하나. 色界四禪天의 제4禪에 8天이 있고, 그 중 제3의 廣果天에 無想天이 있는데, 이 無想天은 無想定을 닦아 얻은 과보로 태어난다고 한다. 이 하늘은 처음 날 적과 죽어서 다른 곳에 태어나려고 할 때만 마음이.. ㄹ~ㅁ(리을~미음) 2018.07.07
밀의(密意) 밀의(密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숨겨진 의도를 말한다. 부처님의 眞意는 중생의 표면적인 이해로부터 숨겨졌기 때문에 密이라 한다. 있는 그대로 진실을 說하더라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처님의 진실을 깊숙이 감추고 겉으로 方便의 敎를 거짓으로 說하신 .. ㄹ~ㅁ(리을~미음) 2018.07.04
문사수(聞思修) 문사수(聞思修)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聞은 聞慧로서 들어서 얻는 지혜, 思는 思慧로서 생각하는 지혜, 修는 修慧로서 실천 수행하는 지혜. 이를 三慧라고 한다. 참고 문혜(聞慧) : 3慧의 하나. 교법을 듣고 얻은 지혜. .....문(聞)→귀로 듣는 것. 思 · 修의 對語. 경전 .. ㄹ~ㅁ(리을~미음) 2018.07.01
무자성(無自性) 무자성(無自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모든 것은 고정적인 실체라고 할 수 있는 自性이 없고 대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것이므로 無自性이며 그에 따라 空하므로 無自性空이라 함. 참고 실체(實體) : 생멸 변화하는 현상의 배후에 있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 본체.(국.. ㄹ~ㅁ(리을~미음) 2018.07.01
무질애(無質礙) 무질애(無質礙)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색법에 있어야 할 성질이 없는 것. 참고 색법(色法) : 일체법을 크게 나누어 色法 · 心法 · 心所法 · 心不相應行法 · 無爲法의 五位로 하는 가운데 하나이다. 色法은 넓은 의미의 色으로 물질적 존재를 말한다. 약간의 예외.. ㄹ~ㅁ(리을~미음) 2018.07.01
무아수(無我修) 무아수(無我修)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0聲聞乘이 수행하는 三修의 하나. 나도 없고 내것도 없다는 것을 觀하는 것. 참고 무아(無我) : 非我라 번역하기도 한다. 我는 영원히 변하지 않고(常), 독립적으로 自存하며(一), 핵심적인 所有, 곧 주인공으로서(主), 지배적 능.. ㄹ~ㅁ(리을~미음) 2018.06.28
무지(無知) 무지(無知)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알지 못하는 것. 이것을 染汚無知와 不汚無知의 두 無知로 나눈다. 染汚無知는 染無知라고도 하며, 그 성질이 染汚(不善과 有覆無記)된 無知라는 뜻이니 곧 진리를 덮어 지혜를 방해하는 번뇌로서의 無知를 말하고 無明을 體로 한.. ㄹ~ㅁ(리을~미음) 2018.06.27
마등가선인(摩蹬伽仙人) 마등가선인(摩蹬伽仙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옛 仙人의 이름으로 얼굴은 극히 추하나 五通을 얻었고 山中에서 坐禪을 하였다 한다. 二十唯識述記下에「한 婬女가 왕을 화나게 하여 궁궐에서 쫓겨나와 산에서 마등가선인을 보고 자신의 不祥事를 돌이켜 吉事를 .. ㄹ~ㅁ(리을~미음) 2018.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