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物) 물(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반적으로 의식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모든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런 의미에서는 事物·사실 또는 대상과 거의 같은 뜻이다. 좁은 뜻으로는 實在的 사물 즉 外界에 존재하는 個物을 의미한다. 개물은 온갖 속성의 종합이기 때문에 시.. ㄹ~ㅁ(리을~미음) 2018.07.24
무부무기(無覆無記) 무부무기(無覆無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煩惱에 가려져 있으나 善·惡이라고 明記할 수 없는 것을 말함. 淨無記라고도 하며 聖道를 덮어 가리거나 방해하거나 마음을 不淨하게 하거나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참고 무부(無覆) : 번뇌에 더럽혀지지 아니한 순수한 .. ㄹ~ㅁ(리을~미음) 2018.07.19
무번천(無煩天) 무번천(無煩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色界 十八天의 제14天. 제4禪天의 제5天. 이 하늘은 欲界의 괴로움과 色界의 즐거움을 다 버려서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는 일이 없으므로 이같이 말함. 참고 색계십팔천(色界十八天) : 色界에 있는 하늘을 크게 나눈 수로, 初禪.. ㄹ~ㅁ(리을~미음) 2018.07.14
멸제사상(滅諦四相) 멸제사상(滅諦四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열반의 경지는 (1) 오온(五蘊)을 단절하기 때문에 멸(滅)이다. (2) 오래 삼독(三毒)을 여의기 때문에 정(靜)이다. (3) 일체의 고환(苦患)이 없기 때문에 묘(妙)이다. (4) 재난을 여의기 때문에 이(離)이다, 라는 네 가지로 멸제(滅.. ㄹ~ㅁ(리을~미음) 2018.07.13
멸쟁건도(滅諍犍度) 멸쟁건도(滅諍犍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二十犍度의 하나. 律藏중에서 七滅諍을 밝힌 篇章. 比丘의 諍論을 없애는 七種의 作法을 기록한 것. 참고 이십건도(二十犍度) : 犍度는 章篇의 뜻. 戒律 가운데 善行을 권하는 적극적인 戒의 부문을 20종류로 나눈 것. (1) 受.. ㄹ~ㅁ(리을~미음) 2018.07.12
무학도(無學道) 무학도(無學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道의 하나. 모든 번뇌를 끊고 진리를 證得하여, 다시 더 배울 것이 없는 圓滿하고 샘(漏)이 없는 智慧. 참고 무학(無學) : 범어 asaiksa의 번역. 極果란 뜻이다. 모든 煩惱를 끊어 없애고, 小乘證果의 極位인 阿羅漢果를 얻은 이를 .. ㄹ~ㅁ(리을~미음) 2018.07.11
무상수(無常修) 무상수(無常修)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修의 하나. 聲聞이 法身常住의 德을 알지 못하고, 오직 모든 有爲法이 無常한 줄만을 觀하는 것. 참고 삼수(三修) : 3가지 法을 觀하는 방법. 여기에 勝劣 2種의 3修가 있다. 劣三修라 함은 無常修(모든 有爲法은 無常이라고 觀.. ㄹ~ㅁ(리을~미음) 2018.07.11
멸상(滅相) 멸상(滅相)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四相의 하나. 여러 가지로 生滅變化하는 物 · 心 諸法에 生 · 主 · 異 · 滅의 4種 현상이 있는 가운데서, 현재의 상태가 쇠하여 없어져서 과거로 돌아가는 모양. 참고 사상(四相) : ① 有部의 說. 生 · 住 · 異 · 滅의 네 가지를 .. ㄹ~ㅁ(리을~미음) 2018.07.11
문수삼세과위(文殊三世果位) 문수삼세과위(文殊三世果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문수가 비록 석가의 교화를 돕고자 하여 잠시 보살의 因位를 나타냈으나, 삼세에 모두 果上의 여래가 되었다. 과거에는 龍種上佛·大身佛·神仙佛이라 하였고 현재에는 觀喜藏摩尼寶精佛, 미래에는 普現佛이 된.. ㄹ~ㅁ(리을~미음) 2018.07.11
미현진실(未顯眞實) 미현진실(未顯眞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직 진실한 진리를 드러내지 않았다는 뜻. 법화경의 「無量義經」에 「衆生의 性欲이 不同하므로 여러 가지의 법을 설한다. 갖가지의 법을 설하는데는 방편의 힘을 베풀어야 한다. 40여년인데도 아직 진실을 나타내지 못.. ㄹ~ㅁ(리을~미음) 2018.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