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란(불교성전) 마음이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이 카샤파에게 말씀하셨다. 「애욕에 물들고 분노에 떨고 어리석음으로 아득하게 되는 것은 어떤 마음인가. 과거인가 미래인가 현재인가. 과거의 마음이라면 그것은 이미 사라진 것이다. 미래의 마음이라면 아직 오지 않은 것.. ㄹ~ㅁ(리을~미음) 2018.08.23
목숨은 호흡 사이에(사십이장경) 목숨은 호흡 사이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이 어떤 사문에게 물었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동안 있느냐?」 사문이 대답했다. 「며칠 사이에 있습니다.」 「너는 아직 도를 모른다.」 부처님은 다른 사문에게 물었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동안 있느냐?」 「.. ㄹ~ㅁ(리을~미음) 2018.08.21
무명업상(無明業相) 무명업상(無明業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細의 하나. 또는 業相. 業은 움직인다는 뜻이다. 아뢰야식의 근본 動相, 곧 主觀·客觀이 대립하기 이전 주관과 객관이 나뉘지 않은 순수한 動的 상태. 이것은 眞如가 無明과 和合하여 차별적인 현상을 내게 되는 첫 걸음.. ㄹ~ㅁ(리을~미음) 2018.08.19
무루과(無漏果) 무루과(無漏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無漏道로 증득한 果得. 四諦 가운데 滅諦의 열반을 말함. 참고 무루도(無漏道) : 出世間道라고 한다. 모든 번뇌의 허물을 여읜 無漏智로써 닦는 觀行. 小乘에서는 見道位 이후의 聖者가 四諦의 이치를 16行相으로써 觀하는 지혜.. ㄹ~ㅁ(리을~미음) 2018.08.18
미리혹(迷理惑) 미리혹(迷理惑)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2惑의 하나. 見惑을 말한다. 세간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한데서 일어나는 情·意의 번뇌인 迷事惑에 대하여, 4諦의 진리에 미혹한 智的인 번뇌. 참고 이혹(二惑) : (1) 見惑. 見은 推度(推測하는 것. 대상을 관찰하여 판단을 이끌.. ㄹ~ㅁ(리을~미음) 2018.08.12
마하살(摩訶薩) 마하살(摩訶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mahasattva. 摩訶薩埵의 약칭. 구역에서는 大心·大衆生이라 하고, 신역에서는 大有情이라 함. 보살의 미칭. 보살은 自利利他의 大願과 大行이 있으므로 마하살이라 하며 부처님을 빼고는 중생 가운데서 맨 윗자리에 있으므.. ㄹ~ㅁ(리을~미음) 2018.08.11
무엇이 최고인가(經集)-불교성전 무엇이 최고인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세상에서 사람들이 훌륭하다고 보는 것들을 흔히 <으뜸가는 것>이라 하고, 그 밖에 다른 것들은 여러 가지 견해에 붙들려 모두 <뒤떨어졌다>고 한다. 그러므로 그는 논쟁을 극복할 수 없다. 그는 본 것, 배운 것, 계율.. ㄹ~ㅁ(리을~미음) 2018.08.09
무상사(無上士) 무상사(無上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의 十號의 하나이다. 범어 anuttara(阿耨多羅)의 번역. 부처님은 有情 가운데 가장 높은 어른으로 더 위가 없는 大士라는 뜻이다. 참고 부처님(佛) : ① 범어 buddha의 音略. 佛陀 · 佛駄 · 浮陀 · 浮屠 · 浮圖 · 浮頭 · 沒.. ㄹ~ㅁ(리을~미음) 2018.08.09
미리욕(未離欲) 미리욕(未離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미 3界의 見惑은 끊었으나, 아직 欲界의 修惑은 끊지 못함을 말함. 預流 · 一來의 2果는 離欲의 聖者이다. 참고 삼계(三界) : 중생이 생사에 流轉하는 迷의 세계. 곧 有情의 경계를 셋으로 나눈 것. 生死輪廻하는 迷惑의 生存.. ㄹ~ㅁ(리을~미음) 2018.08.09
무여수(無餘修) 무여수(無餘修)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4修의 하나. 福德·智慧의 2種 資糧을 모두 닦아서 남은 것이 없는 것. ② 4修의 하나. 한결같이 淨土往生의 5種 正行만을 닦고, 다른 業을 함께 닦지 아니하는 것이다. 참고 사수(四修) : 修行하는 방법을 네 가지로 나눈 것이.. ㄹ~ㅁ(리을~미음) 2018.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