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별리고(愛別離苦) 애별리고(愛別離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八苦의 하나. 사랑하는 이와 死別生離하는 것. 또는 좋아하던 것을 잃는 경우의 苦. 참고 팔고(八苦) : 生苦·老苦·病苦·死苦·愛別離苦(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苦)·怨憎會苦(怨憎하는 사람을 만나는 苦)·求不得苦.. ᄉ~ㅇ(시옷~이응) 2018.02.06
이숙(異熟) 이숙(異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범어 vipaka의 번역으로, 果報라고도 번역하고, 毘播迦라 音譯한다. 善 또는 惡의 業因에 의해서 이것과 성질이 다른 無記(非善非惡)인 결과를 産出하는 것. 또 그 결과를 말함. 그와 같은 無記를 異熟無記라고 한다. ② 異熟의 果.. ᄉ~ㅇ(시옷~이응) 2018.02.06
오음성고(五陰盛苦) 오음성고(五陰盛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盛陰苦라고도 한다. 8苦의 하나. 중생을 이루어 놓은 5陰이 熾盛하여서 생기는 고통을 말함. 또는 5陰이 모든 괴로움을 담았다고 하기도 한다. 참고 오음(五陰) :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 범소유상(凡所有.. ᄉ~ㅇ(시옷~이응) 2018.02.05
응공(應供) 응공(應供)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arhat, 應受供養의 뜻. ① 阿羅漢과 같음. 가치있는 사람. 존경할만한 사람. 세상에서 供養 · 尊敬을 받을 수 있는 사람. 世人의 供養에 相應할 수 있는 사람. 모든 번뇌를 끊어서 他人으로부터 供養을 받을만한 자격이 있는 사.. ᄉ~ㅇ(시옷~이응) 2018.02.04
유상(有相) 유상(有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형상이나 모습이 있는 것(형상이 없는 것을 無相이라고 한다). 有相은 有形으로 다른 것과 구별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生滅變化하는 것 곧 有爲法을 가리키고, 無相은 有相에 相對하는 말인데, 많은 경우 有無의 相을 뛰.. ᄉ~ㅇ(시옷~이응) 2018.02.04
사념주(四念住) 사념주(四念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念處라고도 한다. 三十七道品중 첫 번째의 실천수행하는 방법. 念處·念住는 smrty-upasthana의 번역으로 곧, 身·受·心·法의 넷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여 身은 부정이고, 受는 고이며, 心은 無常(非常)이고, 法은 無我(非我)라.. ᄉ~ㅇ(시옷~이응) 2018.02.04
삼진여(三眞如) 삼진여(三眞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1) 無相眞如. 모든 법의 體가 遍計所執의 虛相임을 말함. (2) 無生眞如. 모든 법은 인연이 生하므로 實生함이 없다고 말하는 것. (3) 無性眞如. 모든 법의 진실한 體는 말도 없고 생각도 끊어진 것이므로 妄情이 집착할 實性이.. ᄉ~ㅇ(시옷~이응) 2018.02.04
업감연기(業感緣起) 업감연기(業感緣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小乘의 緣起論으로 4종 緣起의 하나. 세계의 삼라만상 일체현상이 변화해마지 않는 모습은 중생의 業因에 따라서 生起하는 것이란 世界觀·人生觀. 곧 惑·業·苦의 三道가 展轉하여 因果가 상속됨을 말한다. 惑은 心의 .. ᄉ~ㅇ(시옷~이응) 2018.02.04
십력(十力) 십력(十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力은 범어 bala의 번역. ① 如來의 十力. 如來만이 갖춘 10종의 智力. 佛의 十八不共法중의 10. (1) 處非處智力(智是處非處智力, 是處不是力, 是處非處力). 如實히 모든 理와 非理를 아는 힘. (2) 業異熟智力(智業報智力 · 知三世業智力.. ᄉ~ㅇ(시옷~이응) 2018.02.03
사대(四大) 사대(四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地·水·火·風을 말함. 大(범어 maha-bhuta)는 元素란 뜻. 네 가지 元素. 萬有의 물질을 구성하는 4대원소. (1) 견고한 것을 본질로 하고 그 본질을 보존하여 유지하는 작용을 가진 地大. (2) 濕性을 본질로 하는 작용을 가진 水大. (3).. ᄉ~ㅇ(시옷~이응) 2018.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