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意識) 의식(意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六識(眼識· 耳識 · 鼻識 · 舌識 · 身識 · 意識)의 하나. 제6識이라고도 한다. 意根을 의지하는 곳으로 하여 法境을 認識 · 推理 · 追想하는 마음이지만, 실은 과거 · 미래 · 현재의 三世의 一切法에 대해서 작용하기 때문에.. ᄉ~ㅇ(시옷~이응) 2018.01.31
육근청정(六根淸淨) 육근청정(六根淸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眼 등의 六根이 無始 이래로 지은 罪垢를 소멸하고 무량의 공덕으로 이를 장엄함으로써 淸淨潔白케 하는 것. 이 六根의 청정한 공덕으로 말미암아 이 六根이 각각 無礙의 妙用을 일으키고 또 六根互用의 自在를 얻는 .. ᄉ~ㅇ(시옷~이응) 2018.01.31
사지(四智) 사지(四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법상종에서 세운 여래의 네 가지 지혜. 범부의 8識이 변하여 여래의 4智가 된다. (1) 大圓鏡智. 有漏의 제8識을 비쳐서 얻는 無漏의 지혜. 이것은 거울에 한 점의 티끌도 없이 삼라만상이 그대로 비추어 모자람이 없는 것과 같이, .. ᄉ~ㅇ(시옷~이응) 2018.01.31
삼명육통(三明六通) 삼명육통(三明六通)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明과 六通. 아라한이 갖고 있는 불가사의한 힘. (1) 神足通. 자유로이 원하는 곳에 나타날 수 있는 능력. (2) 天眼通. 미래의 상태를 간파하는 능력. (3) 天耳通. 보통인이 듣지 못하는 미세한 소리를 듣는 능력. (4) 他心通. .. ᄉ~ㅇ(시옷~이응) 2018.01.31
삼업(三業) 삼업(三業)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業이라 해도 그 기준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눈다. ① 身業 · 口業 · 意業의 3業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고, ② 받는 果報의 내용이 福인가 罪苦인가에 따라 福業 · 非福業 · 不動業(色界 · 無色界에 태어날 因인 善業), ③ .. ᄉ~ㅇ(시옷~이응) 2018.01.31
시방(十方) 시방(十方)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東 · 西 · 南 · 北 · 四維(東北 · 東南 · 西南 · 西北) · 上 · 下를 말하고, 四維를 빼면 六方이 된다. 四方은 태양이 도는 방위를 따라서 東西南北이라고 하는 순서로 된다. 대승불교에서는 十方에 無數의 세계 및 부처가 .. ᄉ~ㅇ(시옷~이응) 2018.01.31
십계(十界) 십계(十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迷한 者나 깨달은 이까지도 포함해서 모든 境地를 10종류로 나눈 것. 곧 地獄界 · 餓鬼界 · 畜生界 · 修羅界 · 人間界 · 天上界 · 聲聞界 · 緣覺界 · 菩薩界 · 佛界의 10으로, 이 가운데 앞 6은 범부의 세계이고, 뒤 4는 聖者.. ᄉ~ㅇ(시옷~이응) 2018.01.31
오체투지(五體投地) 오체투지(五體投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輪投地 · 五輪着地 · 擧身投地 · 投地禮라고도 한다. 두 무릎과 두 팔꿈치와 이마를 땅에 붙여 禮拜하는 것. 곧 歸依하여 恭敬禮拜하는 形相. 인도에서의 最敬禮法. 참고 五體 : 사람의 온몸. 머리와 四肢(왼손 · 오른.. ᄉ~ㅇ(시옷~이응) 2018.01.31
십팔계(十八界) 십팔계(十八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界는 범어 dhatu의 번역으로 종류 · 種族의 뜻. 一身중에 18종류의 법이 각기 종류를 달리하고, 각기 같은 상태로 계속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곧 眼 · 耳 · 鼻 · 舌 · 身 · 意의 六根(感覺기관 또는 그 기능)과, 그 對境인 色.. ᄉ~ㅇ(시옷~이응) 2018.01.30
십육특승(十六特勝) 십육특승(十六特勝)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十六勝行이라고도 한다. 호흡을 세어 마음의 산란을 더는 정신통일법(數息觀)을 많은 종류에 細分 擴充한 것으로, 16종의 특히 훌륭한 觀法이라는 뜻. 內容細目, 순서, 해석에 不同이 있어 異說이 있다. 지금 成實論 卷十四.. ᄉ~ㅇ(시옷~이응) 2018.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