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인연(十二因緣) 십이인연(十二因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십이연기(十二緣起)와 같으며, 無明·行·識·名色·六處(六入)·觸·受·愛·取·有·生·老死의 12支를 한 곳으로 모았음. (1) 무명(無明) 범어 avidya의 번역. 사물의 있는 그대로를 보지 못하는 不如實智見을 말함. 곧 .. ᄉ~ㅇ(시옷~이응) 2018.02.14
오제(五諦) 오제(五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5종의 진리라는 뜻. 瑜伽論 권46에는 因·果·智·境·勝의 五諦를 說하고, 顯揚聖敎論 권八에는 因· 果·能知·所知·至의 五諦를 說함. 어느 것이나 앞의 넉자는 일반적으로 苦·集·滅·道의 四諦에 해당하고, 최후의 勝諦·.. ᄉ~ㅇ(시옷~이응) 2018.02.14
심소(心所) 심소(心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心數라고도 번역하여 心에 속한 것이란 뜻. 자세히는 心所有法·心所法·心數法이라 함. 5位의 하나. 心과 相應하여 心과 동시에 존재하고 心에 종속하는 가지가지의 정신작용을 말함. 心所는 心을 따라다니므로 심소에 대해 심을.. ᄉ~ㅇ(시옷~이응) 2018.02.13
사선(四禪) 사선(四禪)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新譯에서는 四靜慮라고도 함. 初禪(新譯에서는 初靜慮이하 이에 동일) · 第二禪 · 第三禪 · 第四禪의 총칭. 色界의 禪定에 네 개의 계층이 있다. 이를 모두 定靜慮라고도 한다. 이에 대해 이를 닦는 바에 따라서 각기 色界의 四.. ᄉ~ㅇ(시옷~이응) 2018.02.13
애론(愛論) 애론(愛論)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온갖 사물에 대해서 情意的으로 구애되고 집착하는 言說을 愛論이라 하고, 知的으로 구애되어 고정한 견해를 갖는 言說을 見論이라고 한다. 다 함께 진리에 어긋나서 道를 닦는데 無益한 言說이기 때문에, 그런 의미에서 또 이 둘.. ᄉ~ㅇ(시옷~이응) 2018.02.13
수도(修道) 수도(修道)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三道의 하나. 見道位에서 온갖 知的인 迷惑을 벗어나고, 다음에 情 · 意로부터 일어나는 온갖 번뇌의 속박을 벗어나려는 수양을 쌓는 기간. 소승에서는 四向 四果 중에서 一來向 · 一來果 · 不還向 · 不還果 · 阿羅漢向의 기.. ᄉ~ㅇ(시옷~이응) 2018.02.13
사바라이(四波羅夷) 사바라이(四波羅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修行僧이 지켜야 할 戒律 가운데, 가장 중대한 네 가지. 이 戒를 犯하면 승려의 자격을 잃게 된다. (1) 大婬戒는 不淨行戒 · 非梵行戒 · 不淨行學處라고도 한다. 이 戒는 온갖 婬行을 禁制한 것이다. (2) 大盜戒는 .. ᄉ~ㅇ(시옷~이응) 2018.02.13
오근(五根) 오근(五根)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다섯의 뿌리. 根이라 함은 훌륭한 작용이 있다(이것을 增上이라고 한다)는 뜻. ① 眼·耳·鼻·舌·身의 五根. 視覺·聽覺·嗅覺·味覺·觸覺의 다섯을 감각하는 五官, 또는 그 기능. 여기에 意根(心)을 더하여 六根이라고 한다. .. ᄉ~ㅇ(시옷~이응) 2018.02.13
아란야(阿蘭若) 아란야(阿蘭若)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阿練若 · 阿蘭拏라고도 쓰고, 약하여 蘭若 · 練若라고도 한다. 山林 혹은 荒野라고 번역하고, 比丘가 居住하며 수행하는데 적당한 마을에서 떨어진 조용한 장소를 의미한다. 漢譯에서는 遠離處 · 寂靜處 · 空閑處 · 意樂.. ᄉ~ㅇ(시옷~이응) 2018.02.12
염(念) 염(念)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범어 smrti의 번역으로 憶이라고도 번역함. 心所(마음의 작용)의 名. 일찍이 경험한 것을 밝게 기억하여 잊지 않는 것(明記不忘의 뜻). 俱舍宗에서는 十大地法의 하나로 하고, 唯識宗에서는 五別境의 하나로 한다. 뛰어난 힘을 가지고 .. ᄉ~ㅇ(시옷~이응) 2018.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