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想) 상(想)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僧若이라고 音譯한다. 心所(마음의 작용)의 名. 五蘊의 하나. 俱舍宗에서는 十大地法의 하나. 唯識宗에서는 五遍行의 하나. 對境의 모습(곧 像)을 마음에 잡아서 構畵하는(곧 取함) 정신작용. 表象 또는 知覺에 해당하고, 受(印象感覺)의.. ᄉ~ㅇ(시옷~이응) 2018.02.12
수(受) 수(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痛·覺이라고도 번역함. 心所(마음의 작용)의 이름. 五蘊의 하나. 俱舍宗에서는, 모든 마음을 따라 일어나는 心所(十大地法)의 하나로서, 唯識宗에서는 五遍行의 하나. 받아들인다(領納)는 뜻으로, 外界의 대상을 받아들여서, 거기에.. ᄉ~ㅇ(시옷~이응) 2018.02.12
색(色) 색(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rupa의 번역. ① 五蘊의 하나로 色蘊이라 하고 五位의 하나로 色法이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에서의 色으로 물질적 존재의 총칭. 變壞하고(변화하고 부서지고) 變礙하는 것(質礙라고도 한다. 일정의 空間을 占有하여 다른 물.. ᄉ~ㅇ(시옷~이응) 2018.02.12
실상반야(實相般若) 실상반야(實相般若)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2般若의 하나. 般若는 지혜 또는 밝음(明)이라 번역한다. 文字般若와 함께 般若에 대하여 觀照되는 境界로서, 지혜로 證得한 바 理體 곧 萬有의 本體를 말한다. 참고 이반야(二般若) : 반야를 두 가지로 분류한 것. ① 智度.. ᄉ~ㅇ(시옷~이응) 2018.02.11
원증회고(怨憎會苦) 원증회고(怨憎會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8苦의 하나. 憎惡하고 있는 사람과 만나서 살아야 하는 고통. 또는 싫은 환경이나 일을 하게 되는 고통. 참고 팔고(八苦) : 生苦·老苦·病苦·死苦·愛別離苦(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苦)·怨憎會苦(怨憎하는 사람을 만.. ᄉ~ㅇ(시옷~이응) 2018.02.11
삼승기(三僧祇) 삼승기(三僧祇)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菩薩이 成佛하려고 수행하는 시간을 말함. 阿僧祇는 無數, 또는 無央數라 번역한다. 아주 오랜 시간인 阿僧祇를 세 번 거듭한 것을 3僧祇라 한다. 50位의 階位 가운데 10信·10住·10行·10廻向의 40位에 이르는 동안에 제1大阿僧.. ᄉ~ㅇ(시옷~이응) 2018.02.11
위음왕이전(威音王已前) 위음왕이전(威音王已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威音王佛이 출세하기 이전. ① 威音王佛은 과거 莊嚴劫전의 佛. 곧 최초의 佛을 뜻한다. 곧 우주창조 이전. 父母未生前, 天地未分前이란 말과 같음. ② 祖庭事苑卷五에 위음왕불 이전은 實際理地를 밝힌데 대해 위음.. ᄉ~ㅇ(시옷~이응) 2018.02.10
생사(生死) 생사(生死)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輪廻라고도 번역한다. 業因에 의해서 六道의 迷界에 태어나서 죽기를 거듭하면서 윤회하는 것으로서, 涅槃(깨달음)의 逆. 生死가 끝이 없는 것을 밑바닥을 알 수 없는 바다에 비유해서 生死海라고 하고, 번뇌의 세계이기 때문에 生.. ᄉ~ㅇ(시옷~이응) 2018.02.10
의정이보(依正二報) 의정이보(依正二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依報·正報의 二報를 말함. 과거의 宿世에 지은 業에 따라 받는 果報를 2종으로 구별한 것. 곧 육체는 직접적인 과보이므로 正報, 衣·食·住·父·母·가족·사회 등은 간접적인 과보로 正報가 의지하는 바가 되므로 依.. ᄉ~ㅇ(시옷~이응) 2018.02.09
오개(五蓋) 오개(五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5障이라고도 한다. 蓋는 蓋覆의 뜻. 마음을 덮어서 善法을 내지 못하게 하는 5종의 번뇌. 곧 貪欲蓋 · 瞋恚蓋 · 惛眠蓋(睡眠蓋라고도 한다. 惛沈과 睡眠. 身心을 어둠에 잠기게 하여 적극적으로 작용을 못하게 하는 것.. ᄉ~ㅇ(시옷~이응) 2018.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