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불경보살(常不輕菩薩) 상불경보살(常不輕菩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常不輕은 범어 Sadapa=ribhuta의 義譯이다. 과거 무량 아승지겁에 한 부처님이 있었는데 威音王如來라 불렀다. 그 부처님이 像法시대를 당하였을 때에 增上慢의 비구가 큰 세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 때에 한 보살비구가 .. ᄉ~ㅇ(시옷~이응) 2018.01.30
유전(流轉) 유전(流轉)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漂流하여 展轉하는 것. 生死(迷의 생존)가 단절되지 않고, 三界 六道를 계속해서 輪廻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해, 다시 迷한 生을 받음이 없이, 열반(깨달음)을 향하여 나가는 것을 還滅이라고 한다. 유전에 속하는 쪽을 流轉門이.. ᄉ~ㅇ(시옷~이응) 2018.01.30
삼연자비(三緣慈悲) 삼연자비(三緣慈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慈悲의 세 가지 구분. 곧 衆生緣慈悲 · 法緣慈悲 · 無緣慈悲가 그것. (1) 중생연자비. 평등한 마음으로 베푸는 慈悲. 이것은 凡夫나 또는 아직 번뇌를 끊어 버리지 못한 이가 일으키는 慈悲. (2) 법연자비. 萬有의 諸法이 5.. ᄉ~ㅇ(시옷~이응) 2018.01.30
생맹천제(生盲闡提) 생맹천제(生盲闡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佛法을 믿지 않고 비방하는 이는 영원히 성불할 수 없는 一闡提라는 뜻으로 이렇게 말함. 나면서부터 눈이 먼 사람(生盲)은 광명을 보지 못하는 것처럼 佛法을 믿지 않고 비방하는 이를 發心시키기 힘든 것을 비유하여 부.. ᄉ~ㅇ(시옷~이응) 2018.01.30
성문승(聲聞乘) 성문승(聲聞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乘의 하나. 聲聞 지위에 있는 이가 證果에 이르기 위하여 닦는 교법. 곧 苦·集·滅·道의 四諦法. 뒤에는 변해져서 성문의 機類도 성문승이라 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 ᄉ~ㅇ(시옷~이응) 2018.01.29
일천제(一闡提) 일천제(一闡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icchantika의 音譯. 一闡底迦라고도 쓰며, 약해서 闡提라고도 한다. 阿顚底迦(atyantika) 및 阿闡提 · 阿闡底迦(acchan=tika) 등은 모두 同類語의 訛音이라고 본다. 원래의 뜻은「欲求를 계속하는 사람」이나 斷善根 · 信不具足 .. ᄉ~ㅇ(시옷~이응) 2018.01.29
유전문(流轉門) 유전문(流轉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이 無始以來로 무명의 번뇌로 선악의 업을 지어 고락의 果를 받는 것. 곧 惑業苦가 차례로 緣起되는 迷惑의 因果를 말함. 四諦 가운데 苦·集의 2諦는 流轉門에 해당하고 滅·道의 二諦는 苦·集을 끊는 還滅門에 속한다. .. ᄉ~ㅇ(시옷~이응) 2018.01.29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여연기라고도 한다. 더러운 것과 맑은 것 등 모든 현상이 여래장에서 연기했다고 설하는 것을 여래장연기설이라 한다. 능가경에서 여래장연기를 설하다. 여래장을 승만경 法身章에는 「如來 法身의 煩惱障을 없애.. ᄉ~ㅇ(시옷~이응) 2018.01.29
일심(一心) 일심(一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우주의 근본원리로서 萬有의 實體인 절대 無二의 心性. 眞如, 如來藏心을 말한다. 舊譯의 화엄경 卷二十五의 十地品에「三界는 허망하여 다만 이 한 마음의 所作이다」라고 說한 것은 이런 뜻에 근거한 것이다. 또 宗密의 화엄.. ᄉ~ㅇ(시옷~이응) 2018.01.29
십이처(十二處) 십이처(十二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十二入 · 十二入處라고도 한다. 處는 범어 ayatana의 번역으로 길러 生長시킨다는 뜻. 곧 心 · 心所(마음의 작용)가 일어나기 위한 의지할 곳(所依 · 所緣)이 되어서 이것을 양육하는 것. 여기에 眼 · 耳 · 鼻 · 舌 · 身 · .. ᄉ~ㅇ(시옷~이응) 2018.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