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도(業道) 업도(業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業이 작용하는 장소가 되는 것(所行의 뜻). 有情을 苦樂의 果報(異熟)로 인도하는 통로가 되는 것(能通의 뜻)을 業道라 한다. 여기에 十善業道·十惡業道가 있다. 有部에선 業道를 所行의 뜻으로 해석하여 十善·十惡 중에서 身語.. ᄉ~ㅇ(시옷~이응) 2018.02.03
사섭법(四攝法) 사섭법(四攝法)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四攝事·四事攝法. 약하여 四攝이라고 한다. 보살이 중생을 攝愛·친애하는 마음을 일으켜 그들로 하여금 보살을 믿게하여 결국은 佛道에 끌어들이는 네 가지 행위. (1) 布施(재물과 법을 베푸는 것). (2) 愛語(부드러운 말을 하.. ᄉ~ㅇ(시옷~이응) 2018.02.03
아수라(阿修羅) 아수라(阿修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阿須羅 · 阿素羅 · 阿素洛 · 阿須倫 · 阿須輪이라고도 쓰고, 略하여 修羅라고도 한다. 非天 · 不端正이라고 번역한다. 不酒 · 不飮酒라 번역하는 수도 있으나, 아마도 잘못된 것일 것이다. 六道의 하나. 八部衆의 1. 十界.. ᄉ~ㅇ(시옷~이응) 2018.02.03
안거(安居) 안거(安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varsa, varsika의 번역으로 雨期의 뜻. 夏行·夏經·夏斷·夏籠·夏坐·座夏·白夏라고도 한다. 인도의 降雨期 3개월간에 실시되는 불교승단의 특수한 연중행사를 말함. 夏季 降雨期중에 一夏九旬, 곧 4월 6일부터 7월 15일에 이.. ᄉ~ㅇ(시옷~이응) 2018.02.03
실유불성(悉有佛性) 실유불성(悉有佛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에게는 모두 佛性이 있다는 實大乘家의 주장. 참고 중생(衆生) : 有情 · 含識이라고도 번역하는데 이것은 心識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含識을 含生 · 含情 · 含靈이라고도 하며, 또 많은 生類라는 뜻으로 群生 · .. ᄉ~ㅇ(시옷~이응) 2018.02.02
사위의(四威儀) 사위의(四威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상의 起居動作인 行 · 住 · 坐 · 臥. 여기에 지켜야 할 제약을 戒律로 정하고 있다. 예컨대, 行法은 女人 혹은 醉人과 더불어 함께 하지 못하고, 손을 드리우지 못하며, 좌우를 돌아보지 말고, 7尺 전방의 땅을 곧바로 보라.. ᄉ~ㅇ(시옷~이응) 2018.02.02
위음왕불(威音王佛) 위음왕불(威音王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Bhismagarjitasvararaja. 法華經 상불경 보살품에 있음. 空劫 때에 가장 먼저 成佛한 부처님. 한없는 오랜 과거. 또 최초란 뜻으로도 쓰고, 宗門에서는 本分向上 實際理地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도 쓴다. 참고 상불경보살품(.. ᄉ~ㅇ(시옷~이응) 2018.02.02
삼계유일심(三界唯一心) 삼계유일심(三界唯一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주만유가 오직 마음이 변한 被造임을 표현한 말. 곧 一切唯心造와 같은 말. 이 一心에 대하여 唯識論 등은 阿賴耶緣起를 말하고, 起信論 등에서는 眞如緣起를 말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 ᄉ~ㅇ(시옷~이응) 2018.02.01
온(蘊) 온(蘊)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舊譯에서는 陰이라 번역한다. 쌓아(積) 모여짐의 뜻으로, 많은 것을 類別에 의해서 한 무더기로 모아 놓은 것. 有爲法을 의미한다. 辯中邊論 卷中에는, 非一(시간적으로도 공간적으로도 質이나 量등이 가지가지임) · 總略(모두가 하나.. ᄉ~ㅇ(시옷~이응) 2018.02.01
살생(殺生) 살생(殺生)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十惡의 제1. 중생의 생명을 끊는 것. 특히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 것은 四波羅夷(追放罪)의 하나가 되고, 또 5戒의 제 1戒로서 엄하게 경계하고 있다. 이런 경우, 손수 죽이는 것도, 자살을 권고해서 죽게 하는 것도 같은 죄이다. 이에 .. ᄉ~ㅇ(시옷~이응) 2018.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