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진여(三眞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1) 無相眞如. 모든 법의 體가 遍計所執의 虛相임을 말함. (2) 無生眞如. 모든 법은 인연이 生하므로 實生함이 없다고 말하는 것. (3) 無性眞如. 모든 법의 진실한 體는 말도 없고 생각도 끊어진 것이므로 妄情이 집착할 實性이 없다는 것. 이 三眞如는 유식론에서 설한 三無에 의하여 세운 것.
② (1) 善法眞如. 진여가 인연을 따라 善法이 되는 것을 말함. (2) 不善法眞如. 진여가 인연을 따라 不善法이 되는 것을 말함. (3) 無記法眞如. 진여가 인연을 따라 無記가 되는 것을 말하는 것. (雜集論)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상(有相) (0) | 2018.02.04 |
---|---|
사념주(四念住) (0) | 2018.02.04 |
업감연기(業感緣起) (0) | 2018.02.04 |
십력(十力) (0) | 2018.02.03 |
사대(四大) (0) | 2018.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