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지(佛智) 불지(佛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의 지혜란 뜻. 곧 범어 anu-ttarasamyaksambodhi 곧 阿耨多羅三藐三菩提의 번역인 無上正等正覺을 일컫는 말. 공간적으로는 十方, 시간적으로는 三世를 다한 全知全能한 깨달음을 일컫는 말. 참고 부처님(佛) : ① 범어 buddha의 音略. .. ᄇ(비읍) 2018.06.16
법왕(法王) 법왕(法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dhamaraja. ① 부처님을 찬탄하는 말. 왕은 가장 수승하고 자재하다는 뜻. 부처님은 법문의 주인이며, 중생을 교화함에 자유자재한 妙用이 있으므로 이렇게 부름. ② 冥界에 있는 염라대왕의 다른 이름. 法에 의하여 죄를 결정하.. ᄇ(비읍) 2018.06.13
불성론(佛性論) 불성론(佛性論)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4~5세기경 인도의 論師 天親菩薩이 짓고 眞諦三藏이 번역하다. 총 4권. 즉 여래장을 체계적으로 설명한 대승불교의 論書. 唯識說의 입장에서 無佛性을 인정하는 說에 대하여 이 불성론은 일체 중생은 모두 불성을 갖고 있다는 .. ᄇ(비읍) 2018.06.10
법을 얻는 방법-대보적경-840-168 법을 얻는 방법-대보적경-840-168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만일 나의 법 가운데 능히 이러한 허물 여의고 부지런히 닦아 게으르지 않으면 이 법 얻기가 어렵지 않으리라. 이롭거나 또는 이롭지 않거나 칭찬하고 흉보고 괴롭고 즐거운 것 등 이러한 세상 법에 동요되지 않.. ᄇ(비읍) 2018.06.09
불생불멸(不生不滅)-돈오입도요문론강설 불생불멸(不生不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경에서 이르기를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는다’고 하시니 어떤 법이 나지 아니하며 어떤 법이 없어지지 아니하는 것입니까?” “착하지 않음이 나지 않음이요, 착한 법은 없어지지 아니하느니라.” 問 經云 不生不.. ᄇ(비읍) 2018.06.08
범어(梵語) 범어(梵語)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도아리안어 계통으로 고대인도의 표준 문장어. 원어로는 상스크리트라고 하여 「완성된 언어」·「순수한 언어」를 의미함. 언어학상으로 인도유럽어족(Indo-European)이라 불리는 일군의 언어가 있는 바, 이 어군에는 인도이란어.. ᄇ(비읍) 2018.06.08
분별과 집착 그리고 無我와 空(대보적경-995-199) 분별과 집착 그리고 無我와 공(대보적경-995-199)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991 / 3476] 쪽 ...이며, 모든 법은 내 것이 아니니 내 것을 여읜 까닭이며, 모든 법을 가히 분별할 수 없나니 마음[心]·뜻[意]·의식[識]을 여읜 까닭이며, 모든 법은 애착의 갈무리[愛藏]가 없나니 .. ᄇ(비읍) 2018.06.07
불생불생불가설(不生不生不可說) 불생불생불가설(不生不生不可說)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열반경에서 설한 四不可說의 하나. 理는 본래 생기는 것이 아니며, 事는 곧 다스리는 것이므로 事도 不生하다. 이것을 不生不生이라 한다. 이 理는 현묘하므로 설명할 수 없다고 하며, 천태종에서 圓敎를 설명.. ᄇ(비읍) 2018.06.07
바라문교(婆羅門敎) 바라문교(婆羅門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brahmanism. 인도의 고대 종교. 인도 최고의 종교인 吠陀敎에서 근원하여 베다 경전의 歌頌과 經文상의 哲理를 해석하며, 梵天을 觀하여 아는 방법을 말한 敎이다. 근본 베다 성전(sruti : 啓示聖典)으로는 리그베다(Rg-Veda).. ᄇ(비읍) 2018.06.07
불교미술(佛敎美術) 불교미술(佛敎美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미술의 기원은 석존께서 성도하신 후 건립한 기원정사나 죽림정사와 같은 건축물들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를 반드시 본격적인 조형활동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본격적인 불교미술의 전개는 敎主 석가모.. ᄇ(비읍) 2018.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