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아귀심(發餓鬼心) 발아귀심(發餓鬼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十種發心의 하나. 중생이 찰나 찰나에 명예와 이기심을 일으켜 下品十惡을 지어서 餓鬼道의 씨를 심는 것. 참고 십종발심(十種發心) : 보리심(菩提心)→범어 bodhi-citta의 번역. 상세히 말하면 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이라고 .. ᄇ(비읍) 2018.07.18
법보(法寶) 법보(法寶)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寶의 하나. 부처님이 말씀하신 교법은 소중하기가 세간의 값비싼 보배와 같으므로 법보라 한다. 곧 佛法의 經典을 통틀어 일컫는 말. 참고 삼보(三寶) : 불교도가 존경하고 공양할 佛寶와 法寶와 僧寶의 셋을 말한다. 佛은 우주와 .. ᄇ(비읍) 2018.07.16
베토벤과 괴테(서경보큰스님) 베토벤과 괴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역사상 같은 여건과 상황에서도 영웅과 범부는 구분이 된다고 봅니다. 여러분은 베토벤의 교향곡 중에서 <황제>라는 작품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이 <황제>의 원제목은 <나폴레옹에게 바치는 곡>이라고.. ᄇ(비읍) 2018.07.15
보현품(普賢品) 보현품(普賢品)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普賢菩薩勸發品의 약칭. 법화경 28품중 제28품의 이름. 보현보살이 동방으로부터 와서 말세의 수행자에게 법화경을 권발함을 말씀함. 참고 보현보살(普賢菩薩) : 범어 Samantabhadra · Vis=vabhadra. 三曼多跋捺羅 · 邲輸跋陀라 음역. .. ᄇ(비읍) 2018.07.13
복덕자량(福德資糧) 복덕자량(福德資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2종(복덕·지덕)자량의 하나. 보시의 선행을 닦아서 佛果의 자량으로 삼는 것. 참고 복덕(福德) : 일체의 선행과, 선행에 의해 얻는 행복과 이익을 말함. 자량(資糧) : 범어 sambhara의 번역으로 必需品·準備의 뜻을 갖는 말. .. ᄇ(비읍) 2018.07.11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非有想非無想處의 다른 이름으로 無色界의 제4天. 이 하늘은 3界의 가장 높은 곳에 있으므로 有頂天이라고도 한다. 이 하늘에 사는 이는 下地와 같은 거칠은 생각이 없으므로 非想 또는 非有想이다. 그러나 자세한.. ᄇ(비읍) 2018.07.11
방생(傍生) 방생(傍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누운 것. 生은 생물이란 뜻이니 곧 몸을 가로 눕히고 다니는 축생을 말함. 참고 축생(畜生) : 底栗車라 음역하며 舊譯은 畜生, 新譯에서는 傍生이라고 번역한다. 畜養되는 生類이므로 축생이라고 한다. 일체의 세상 사람들은 먹이로 .. ᄇ(비읍) 2018.07.10
보현(普賢) 보현(普賢)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華嚴宗에서는, 모든 언어 思慮를 끊은 부처의 깨달음의 세계 곧 性海果分은 毘盧舍那佛의 法門이라고 하는데 대해, 중생의 機緣에 응해서 敎를 說하기 시작하는 緣起因分은 普賢보살의 法門이라고 한다. 보현보살은 하나의 인격으.. ᄇ(비읍) 2018.07.07
범부선(凡夫禪) 범부선(凡夫禪)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당나라 宗密이 禪을 외도선·범부선·소승선·대승선·최상승선의 5종류로 나눈 것 중의 하나. 종밀은 인과의 도리를 잘 믿지만, 이 세상을 싫어하고 하늘에 태어나는 것을 바라는 것이 凡夫禪이라고 설했음. <禪源諸詮集都.. ᄇ(비읍) 2018.07.07
부진근(扶塵根) 부진근(扶塵根)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浮塵根이라고도 하며 扶根·浮根이라고도 한다. 참고 부진(浮塵) : 일체 有爲의 諸法은 먼지와 같이 實다움이 없고 眞性을 더럽히고 가리우므로 浮塵이라 함. 유위(有爲) : 爲作 · 造作의 뜻으로 有爲法이라고도 한다. 모두 인.. ᄇ(비읍) 2018.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