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질(本質) 본질(本質)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法相宗의 敎義. 心·心所(마음의 작용)가 대상을 인식할 때 그 인식의 대상이 되는 것을 마음속에 變現시켜, 이것을 직접의 대상으로 하여 인식이 성립되는데 이 직접의 대상(親所緣)을 影像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 이 影像의 실정.. ᄇ(비읍) 2018.05.19
법공(法空) 법공(法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色 · 心의 모든 법인 만유는 모두 인연이 모여 생기는 비실재적인 존재로서 실체가 없는 것으로 만유의 體가 空無한 것을 말한다. 참고 색심(色心) : 色은 물질, 心은 정신. 그러므로 우주만법을 이야기할 때는 色心이라 하고, 중생.. ᄇ(비읍) 2018.05.17
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 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法處所攝色의 하나. 의식에 나타나는 五根·五境 등의 影像. 곧 거북의 털, 토끼의 뿔, 허공의 꽃 등은 실체가 없는 것을 주관에 그려진 영상일 뿐이다. 참고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 隨法處色·法處色이라고도 한다... ᄇ(비읍) 2018.05.16
보살계위(菩薩階位) 보살계위(菩薩階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보살이 처음에 菩提心을 일으켜서부터, 수행의 공을 쌓아, 佛果에 이르기까지의 階位. 모든 經論에서 보는 바는 한결같지 않고, 또 예컨대 發心 등 十住의 說은 옛적에는 단독으로 그것만으로 보살의 모든 階位를 나타내 .. ᄇ(비읍) 2018.05.16
백법(百法) 백법(百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唯識宗에서 우주와 人生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종의 唯心論에 입각하여 정신과 물질의 여러 현상을 백가지 요소로 분석한 것이다. 心法의 8識과 心所有法의 5遍行·5別境·11善·6煩惱·20隨煩惱·4不定과, 色法의 5根·5境·法處所.. ᄇ(비읍) 2018.05.15
불퇴상(不退相) 불퇴상(不退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9無學의 하나. 阿羅漢은 다시 더 배울 法이 하나도 없는 지위라 하여 無學 또는 無學果라 한다. 그 지혜가 지극히 銳利하므로 한번 들은 것은 무엇이나 잊는 일이 없으며 뒤로 물러남이 없으므로 이렇게 이름했다. 참고 구무학(.. ᄇ(비읍) 2018.05.15
불진신(佛眞身) 불진신(佛眞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어떤 것이 부처님의 참된 몸을 보는 것입니까?” “있음과 없음을 보지 아니하는 것이 부처님의 참된 몸을 보는 것이니라.” “어째서 있음(有)과 없음(無)을 보지 않음이 부처님의 참된 몸(眞身)을 보는 것입니까?” “있음(.. ᄇ(비읍) 2018.05.14
보고 듣는 놈은 어디에 있는가 보고 듣는 놈은 어디에 있는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어떤 사람은 입만 열면 나는 선객(禪客)이라고 한다. 그러다가 「어떤 것이 선인가?」하고 물으면 어름어름하다가 마침내 입을 다물고 마니, 이 어찌 딱한 일이 아니며 굴욕이 아니랴. 버젖하게 불조(佛祖)의 밥.. ᄇ(비읍) 2018.05.13
별상(別相) 별상(別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6相의 하나. 事事物物이 제각기 다른 모양. ② 총괄적 모양인 總相 위에 있는 부분적 모양. 참고 육상(六相) : 화엄종에서 말하는 萬有 하나하나가 가지고 있는 六種의 相. 總相 · 別相 · 同相 · 異相 · 成相 · 壞相. (1) 總相. .. ᄇ(비읍) 2018.05.12
별보(別報) 별보(別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總報 위에 나타나는 서로 다른 果報. 예를 들면, 사람으로 태어난 것은 다 같은 總報지만, 남·녀, 빈·부, 귀·천, 미·추 따위의 여러 가지 차별이 있는 것은 別報라 한다. 참고 총보(總報) : 같은 사람 가운데도 빈부귀천의 차별이 .. ᄇ(비읍) 2018.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