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點心) 점심(點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음식으로 마음에 점친다는 말이니, 空腹에 요기될 만한 少量의 식사를 함으로 시장함을 위로함을 가리키는 말. 禪宗에서는 齋食(晝食)전에 먹는 小食을 가리켰으며, 일반에서는 間食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나중에는 낮에 먹는 밥..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7
장통별원(藏通別圓) 장통별원(藏通別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천태종에서 세운 敎相判釋으로 化法四敎의 하나. (1) 藏敎. 三藏敎의 준말로 곧 小乘敎를 가리킴. 經·律·論 三藏으로 말한 小乘敎란 뜻으로 붙여진 이름. 但空만을 보고 不空을 보지 못하며 析空觀에 의해 無餘涅槃에 듦..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7
한 마음 한 지혜 한 마음 한 지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문수보살이 현수(賢首)보살에게 물었다. 「모든 부처님께서는 오로지 일승(一乘)에 의해 생사를 초월하셨는데 모든 불국토를 자세히 살펴보면 사정이 각기 다릅니다. 즉 세계와 중생과 설법과 교화와 수명과 광명과 신통력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7
현교(顯敎) 현교(顯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顯敎란 비밀이 없이 일반적으로 설한 敎. 密敎란 비밀히 설한 것으로 표면상으로는 알 수 없는 敎의 뜻. 敎의 설법 혹은 敎義에 의한 불교의 분류법으로 智顗가 化儀의 四敎를 顯露不定敎와 秘密不定敎를 들고 있는 것은 前의 例이..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7
파사(破邪) 파사(破邪)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잘못된 집착을 타파하는 것을 破邪, 옳은 도리를 나타내는 것을 顯正이라고 한다. 합해서 破邪顯正·破邪申正·除邪顯正·摧邪顯正 등이라 일컫는다. 약하여 破顯·破申이라고 한다. 諸論은 대개 파사현정을 목적으로 하여 만들..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7
체상용(體相用) 체상용(體相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起信論에서 說한 三大를 말함. 진여를 體, 지혜·자비 등의 無量功德을 相, 이 體와 相이 緣에 應해서 활동하는 것을 用이라 한다. 참고 기신론(起信論) : 大乘起信論의 약칭. 馬鳴보살의 저술. 梁나라 眞諦의 번역본 1권과 唐나..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6
진공묘유(眞空妙有) 진공묘유(眞空妙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偏空偏有의 반대로 곧 空에도 有에도 치우치지 않는 것. 따라서 眞空과 妙有는 따로따로의 별개의 것은 아니다. 모든 것(五蘊)은 여러 가지의 조건(因緣)에 의존하는 것으로 實體가 없는 것(空)임과 동시에 그렇기 때문에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6
파순(波旬) 파순(波旬)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Papiyas, Papiman. 팔리어 Papima. 波卑夜 · 波卑掾 · 播裨라고도 음역. 殺者 · 惡者라 번역. 욕계 제6천의 임금인 마왕의 이름. 항상 악한 뜻을 품고, 나쁜 법을 만들어 수도인을 요란하게 사람의 慧命을 끊는다고 한다. 慧琳은 旬..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6
팔복전(八福田) 팔복전(八福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공경하고 공양하며, 자비로 보시하여, 한량없는 복이 생기게 하는 8종의 밭이란 말. 부처님 · 성인 · 스님(이 셋을 敬田) · 화상 · 아사리 · 아버지 · 어머니(이 넷을 恩田) · 병든 사람(悲田). ② 복 받을 원인이 될 8종..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5
천이통(天耳通) 천이통(天耳通)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六通의 하나. 天耳에 相應하는 지혜로써 일체의 聲境을 證知하여 通達無礙함을 일컫는다. 곧 세간의 일체의 善惡好惡의 語言와 멀고 가까운 말. 여러 나라 각 지역의 말. 내지 짐승·귀신의 말에 이르기까지 듣지 못할 것이 없..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