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삼도(行位三道) 행위삼도(行位三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1) 見道. 온갖 지식으로 잘못 아는 소견을 여읜 자리. 소승에서는 三賢·四善根의 수행을 마치고, 世第一位의 직후 無漏의 지혜를 일으켜 16心으로써 욕계와 색계·무색계의 四諦의 이치를 관하고, 지식으로 잘못된 소..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1
천안통(天眼通) 천안통(天眼通)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六通의 하나. 본래는 色界에 나는 하늘들이 殊勝하고 精妙한 육신을 타고 난 바에 의해 얻어진 眼根으로 遠近粗細의 形色과 六道중생들이 여기서 죽어 저곳에 태어나는 등을 통달무애하게 아는 지혜의 작용(生得)을 일컫는 말..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30
종귀어공(終歸於空) 종귀어공(終歸於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모든 법의 實相이 마침내는 空으로 돌아감을 일컫는 말. 참고 일체법(一切法) : 一切諸法 · 萬法이라고도 한다. 모든 것, 一切의 事物, 모든 現象, 정신적 · 物質的인 것. 일체 現象的 존재를 말함. 원 뜻은「緣起로 된 모..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30
토각(兎角) 토각(兎角)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토끼의 귀를 뿔로 잘못 알고 있는 것같이, 物이 반드시 없는 것에 비유. 참고 귀모토각(龜毛兎角) : 거북의 털과 토끼의 뿔. 龜毛나 兎角은 다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허상에 불과하다는 비유. 불교 논리학인 因明論에서 사용되었던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9
종교(終敎) 종교(終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화엄종에서 세운 敎判으로 五敎十宗 가운데 제5敎의 제3. 곧 大乘終敎를 말하며, 熟敎·實敎라고도 한다. 楞伽經·勝鬘經·起信論·寶性論 등에 說示되어 있다. 大乘始敎 특히 五性各別의 說을 세우는 解深密經 등의 相始敎에 대..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9
파도가 곧 물이로다 파도가 곧 물이로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삼월 초엿새 좌선 중에 바로 <무>자를 들고 있는데, 어떤 수좌가 선실에 들어와 향을 사르다가 향합을 건드려 소리가 났다. 이 소리를 듣고 「왁!」하고 외마디 소리를 치니, 드디어 자기 면목을 깨달아 마침내 조주를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9
행사(行捨) 행사(行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善心과 상응하는 心所를 捨라고 일컫는다. 마음이 평등에 머물러 모든 허물을 여읜 것. 이것은 五蘊門의 行蘊에 속하므로 行捨라 칭한다. 참고 선심(善心) : 참괴의 二法과 無貪 등의 三根을 善의 自性이라 하고, 그와 더불어 상응..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8
필경공(畢竟空) 필경공(畢竟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8空의 하나. 불교에서 허망한 견해를 깨뜨리기 위하여 理想을 空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空은 有에 대하는 單空이 아니고,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같은 상대적인 空을 다시 空한 절대 부정의 空. 이 일체의 空까지도 空하였다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8
천계(天界) 천계(天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天上界의 준말. 天道·天趣와 같은 말이니 六道의 하나로 欲界에 6天, 色界에 17天을 일컫는다. 그 의지하여 머무는 곳이 모든 중생의 依支處에 위이므로 天이라 했다. 참고 천도(天道) : ① 六道의 하나로 곧 天趣 · 天界를 가리킴...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8
주(呪) 주(呪)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自他의 災厄을 없애며 혹은 적에게 災厄을 주기 위해 외우는 주문(전자를 善呪, 후자를 惡呪라고 한다). 呪文 · 神呪 · 禁呪 · 密呪라고도 한다. 呪는 보통 범어 mantra(曼陀羅 · 眞言)의 번역이라고 하는데 또 dharani(陀羅尼) · vidya(明..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