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생심(衆生心) 중생심(衆生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이 가지고 있는 마음이란 뜻. 起信論에는 중생심은 世間과 出世間의 모든 것을 포함한다고 했으며, 화엄종에서는 이 중생심을 如來藏心(眞心)이라 하고 대승법의 本體라고 보며, 천태종에서는 妄心 즉 모든 介爾陰妄의 心..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5
허공무위(虛空無爲) 허공무위(虛空無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三無爲의 하나. 有部宗에서 세운 것. 허공은 온갖 곳에 두루 가득하여 다른 것을 장애하지 않고, 또 다른 것에 장애되지도 않으므로 無爲라 함. 이 허공이 無爲이므로 만물은 각각 그 처소를 얻어서 질서가 정연하여 혼..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4
자각(自覺) 자각(自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覺의 하나. 부처님은 스스로 깨달은 自覺과 남으로 하여금 깨닫게 하는 覺他와 이와 같은 깨달음의 내용과 그 작용의 힘을 究竟的으로 완성한 覺行窮滿의 덕을 갖추고 있다. 이 가운데 自覺은 스스로 깨달아 증득하여 알지 못함..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4
통달보리심(通達菩提心) 통달보리심(通達菩提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法成身 또는 五轉成身의 하나. 五法成身은 通達菩提心·修菩提心·成金剛心·證金剛身·佛身圓滿의 다섯 가지. 통달보리심은 자기 본성 곧 보리심을 이론상으로 깨닫는 것으로 현재 미망에 덮인 자기의 마음을 반..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4
힘 세고 밝은 것 힘 세고 밝은 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어떤 것이 힘센 것이며, 가장 밝은 것입니까?」 「욕심을 참는 것이 힘센 것이다. 욕심을 참으면 악한 마음도 들지 않기 때문에 편안함과 씩씩함을 겸하게 된다. 또 참는 사람은 악한 마음이 없으므로 반드시 남의 존경을 받..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3
하늘에 구름이 깨끗하니 하늘에 구름이 깨끗하니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스님은 법상에 올라가 이렇게 설법했다. 「결박하는 것도 남이 결박하는 것이 아니고, 결박을 푸는 것도 남이 푸는 것 아니다. 풀거나 결박하는 것이 남이 아니므로 모름지기 스스로 깨달아야 한다. 스스로 깨닫는 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2
진성보리(眞性菩提) 진성보리(眞性菩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菩提의 하나. 菩提는 깨달음으로 佛果를 일컬음. 또 우주의 本體이며 萬有의 實相으로서의 眞性이 菩提임을 말함. 참고 삼보리(三菩提) : 범어 sambodhi. 또는 糝帽地. 번역하여 正等覺이라 함. ① 證果上의 지혜에 세 가지..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2
탐욕(貪欲) 탐욕(貪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자기가 원하는 것을 욕심을 내어 그것에 집착하는 것. 자기의 뜻에 드는 일을 하여 그 일에 집착하는 것. 정도를 넘어서 욕심을 부리는 것. 명성과 이익에 욕심이 많은 것. 탐욕하는 마음. 소위 渴愛로 苦의 근본원인이 되는 것. 欲界..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2
행주좌와(行住坐臥) 행주좌와(行住坐臥)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行은 걷는 것, 住는 머무는 것, 坐는 앉는 것, 臥는 눕는 것. 四威儀라고도 한다. 사람의 기거 동작의 네 가지 근본이 되는 것. 여기에 두 가지 뜻이 있다. ① 인간의 행동 거지를 다 말함. 일상의 기거 동작. ② 終始 · 不斷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2
즉신성불(卽身成佛) 즉신성불(卽身成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卽身菩提·現身成佛·生成佛이라고도 한다. 菩提心을 일으켜 三大阿僧祗劫의 오랜 수행과정을 거쳐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몸 그대로 바로 佛이 되는 것. 一乘佛敎에선 心과 佛과 중생, 이 세 가지가 별개가 아..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