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自由) 자유(自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개인의 의사 결정에 외부의 구속을 받지 아니하는 상태. ② 일정한 因果系列에서, 그 원인이 다른 인과 계열이나 조건에 의하여 방해됨이 없이 결과가 생기는 일. ③ 無明에서 해탈된 이의 自在無礙한 상태를 가리키는 말. 참고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10
형상에 집착하지 말라 형상에 집착하지 말라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수부티,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몸의 형상으로써 여래(如來)를 볼 수 있겠느냐?」 「볼 수 없습니다. 여래를 몸의 형상으로써는 볼 수 없습니다. 여래께서 몸의 형상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진정..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8
진언종(眞言宗) 진언종(眞言宗)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密宗. 秘密宗이라고 하며 眞言이란 말은 三密중 語密을 뜻하며 이것에 의해서 宗名이 생겼다. 724(唐開元 12년) 善無畏三藏이 蘇悉地經 大日經 등을 번역하므로 중국의 眞言宗이 創始되었으며 金剛智·不空三藏 등을 거쳐 계승..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8
중관(中觀) 중관(中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觀의 하나. 中諦의 진리를 觀하는 것. 諸宗이 한결같이 이 中觀으로써 觀道의 極致를 삼는다. 法相宗에서는 遍計所集은 有에 있지 않고 依他圓成은 空에 있지 않다고 觀하는 것을 中觀이라고 하며, 三論宗은 諸法이 不生不滅하고..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8
칠종생사(七種生死) 칠종생사(七種生死)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여기에 諸說이 있는데 天台宗에서는 (1) 분단생사(分段生死). 三界의 果報로 生死하는 것. (2) 유래생사(流來生死). 참을 迷하여 生死에 헤매는 衆生有識. 迷眞의 처음에 대하여 말하는 것. (3) 반출생사(反出生死). 發心修行..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8
집착없는 행 집착없는 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여러 불자들, 보살의 집착없는 행이란 무엇입니까. 이 보살은 집착이 없는 마음으로 한 생각 중에 무수한 불국토를 생각하고 한없이 많은 부처님 처소에 나아가 예배하고 공양합니다. 보살은 부처님의 광명을 보거나 설법을 듣..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7
현우경(賢愚經) 현우경(賢愚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賢愚因緣經의 약칭. 13권. 위나라 慧覺 등이 번역. 송나라 文帝 때에 혜각·曇學·威德 등 8인이 우전국에 가서, 여러 법사들의 經·論을 講하는 것을 듣고, 뒤에 高昌郡에 돌아가, 각기 그 들은 바를 번역하여 445년(宋 元嘉 22년)..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7
제팔지(第八地) 제팔지(第八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不動地. 無相의 지혜가 간단없이 일어나서 번뇌에 결코 움직이지 않는 位로서, 色自在地·決定地·無行無開發無相住라고 한다. →十地중 ②歡喜등의 十地에서. 참고 부동지(不動地) : 보살 十地의 제8. 「화엄경」등에 설함.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7
천안명(天眼明) 천안명(天眼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明의 하나. 天眼通·天眼智·作證智·作證明·生死智라고도 한다. 자신과 남의 未來世의 生死의 相을 아는 것. 아라한 등의 聖者에 한하여 가지는 천안통. 일반의 천안통은 凡聖이 다 얻지만 이 天眼明은 천안통 위에 다시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6
포외(怖畏) 포외(怖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두려워하는 것. 舊譯 화엄경 권34에는 진리를 깨닫지 못한 중생에는 不活畏(생활의 불안)·惡名畏(명예를 잃은 불안)·死畏(命終畏)·惡道畏(惡趣畏. 지옥 등의 惡趣에 떨어지는 불안)·大衆威德畏(怯衆畏. 자신이 없어 대중 앞에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