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행사(行捨)

근와(槿瓦) 2018. 4. 28. 00:31

행사(行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善心과 상응하는 心所라고 일컫는다. 마음이 평등에 머물러 모든 허물을 여읜 것. 이것은 五蘊門行蘊에 속하므로 行捨라 칭한다.

 

참고

선심(善心) : 참괴의 二法無貪 등의 三根自性이라 하고, 그와 더불어 상응하여 일어나는 일체의 心所善心이라 이름함. 十一善. 唯識宗에서 세우는 11心所. 信·慚·愧·無貪·無瞋·無癡·勤·輕安·不放逸·行捨·不害의 일컬음.

 

() : 不善無記(不善도 아닌 것)를 더하여 三性이라고 한다. 현재 미래에 걸쳐서 自他에 이익을 주는 白淨이라 하고, 이에 하는 것을 不善()이라고 한다.

앞에 것을 , 뒤에 것을 이라고도 한다.

二善. (1) 有漏善無漏善을 일컬음. 有漏善이라 함은 번뇌의 더러움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는 世間으로, 이로 인하여 미래에 즐거운 果報를 받지만, 有漏善法性의 이치에 꼭 들어맞지는 않으며 차별적인 을 취해서 닦는 有相善이기 때문에, 그 의미로 相善이라고도 한다. 無漏善이라 함은 번뇌의 더러움과는 관계가 완전히 단절된 出世間으로, 이것에 의하여 미래의 과보를 받게 되는 수는 없다. 더욱 無漏善涅槃(이것도 마찬가지로 無漏善이다)의 깨달음을 얻는 데에 필수의 이다. (2) 止善(소극적으로 不善을 물리쳐 制止하는 것)行善(적극적으로 을 행하는 것)을 말함. (3) 定善(마음을 한 곳으로 집중하고 산란한 妄念을 그쳐서, 定心에 의해서 닦는 散善(산란한 마음, 곧 평상시의 마음가짐으로 을 그치고 을 닦는 것)의 일컬음.

世福·戒福·行福三福을 각기 世善(世俗善)·戒善·行善이라고도 한다.

三善. 初善·中善·後善을 일컬음. 여러 가지 해석이 있는데, 법화경의 序分·正宗分·流通分三分(三段)이라고도 한다.

四種善. 勝義善(涅槃을 말함)自性善(본질적으로 그 자체가 인 것. 無貪·無瞋·無癡三善根·2)相應善(自性善相應하는 것에 의해서 이 되는 ·心所)等起善(自性善과 상응하는 으로부터 引起)되어 이 되는 ·二業 ·四相·二無心定)을 일컬음.

 

상응(相應) : 범어 samprayukta의 번역. 평등하게 화합한다는 뜻. 이 서로 和合하여 떨어지지 않는 관계에 있는 것. 특히 마음과 心所간의 관계에 대해서 말하는 수가 많다. 六因 중의 相應因은 이것이며, 俱舍論 卷六五義平等相應이라고 말하는 것도 이것이다. 雜集論 卷五에는, 서로 떠날 수 없는(不相應), 화합하는(和合), 모이는(聚集), 同時하고, 同時하는(俱有), 목적을 같이 하는(所作), 心所가 하나의 대상에 대해서 한결같이 작용하는(同行) 것의 6相應. 이 중에서 앞의 5종은 주로 色法(물질)에 대해서 말한 것. 이 밖에, 과 뚜껑과 일치하는 것을 函蓋相應, 를 받는 ()가 일치하는 것을 機敎相應이라고 한다.

 

심소(心所) : 相應하여 과 동시에 존재하고 에 종속하는 가지가지의 정신작용을 말함. 心所을 따라다니므로 心所에 대해 心王이라고도 한다.

심왕과 심소와의 사이에는 五義平等의 의미가 있어相應의 관계가 있다. 이런 까닭에 心所相應法·心相應法이라고도 일컫는다. 또 심왕을 떠나서 별도로 심소의 가 있는가 없는가에 관해서 有部에서 別體說을 주장하고 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설이 있다.

심소의 및 그 분류방법에도 여러가지 설이 있다. 구사론에는 ·······作意·勝解·三摩地10大地法(모든 심과 상응하는 심소), ·不放逸·輕安····無貪·無瞋·不害·10大善地法(모든 善心하고만 상응하는 심소), ·放逸·懈怠·不信·惛沈·掉擧6大煩惱地法(모든 染汚心, 不善心有覆無記心이 공동으로 상응하는 심소), 無慚·無愧2大不善地法(모든 不善心만 상응하는 심소), 忿·········10小煩惱地法(어느 特殊染汚心 意識相應無明만 상응해서 무명만 생기고 또 각각 따로따로 생겨서 2가지 이상이 동시에 생기지 않는 심소), 惡作·睡眠······不定地法(위의 5가지 이외의 심소)이라 하는 6· 46심소를 주장한다. 단 최후의 넷은 구사론에서는이라는 語句를 써서 생략하고 있다. 성유식론등엔 遍行·別境··煩惱·隨煩惱· 不定6로 분류한다. 이에 관해서 四種一體義(4一切)를 내세운다. 一切性(··無記3에 공통으로 생기는 것一切地(有尋有伺·無尋唯伺·無尋無伺3에 공통으로 생기는 것一切時(無始以來이 있을 때는 항상 相續되는 것一切俱(일체심소가 동시에 태어나는 것)의 네 가지를 말한다. 이 중에서 遍行심소는 네가지 一切義를 갖추고 있다. 別境심소는 의 두가지 일체의를 갖추고 있으며, 의 일체의만, 不定의 일체의만 갖추고, 번뇌·번뇌는 네가지 중 어느 것도 지니지 않는다.

遍行作意····의 다섯가지, 別境·勝解···의 다섯가지이다. 5遍行5別境을 합하면 앞에서 말한 10大地法에 해당된다.

···無貪·無瞋·無癡··輕安·不放逸·行捨·不害의 열한가지, 煩惱·····惡見의 여섯가지, 隨煩惱忿··········無慚·無愧·掉擧·惛沈·不信·懈怠·放逸·失念·散亂·不正知20가지, 不定(惡作睡眠··4不定 뿐이다. 이상 51의 심소를 주장하는 가운데 수번뇌를 다시 3종으로 분류해서 처음 열가지는 따로따로 생기므로 小隨번뇌(小隨惑), 다음 두가지 곧 無慚·無愧는 일체의 不善心에 두루 생기므로 中隨번뇌(中隨惑), 최후의 여덟가지는 일체의 不善心有覆無記心에 두루 생기므로 大隨번뇌(大隨惑)라 한다.

 

() : 平靜. 無關心의 뜻.

心所(의 작용)의 이름. 行捨라고도 함. 구사종에서는 모든 善心과 같이 어디서나 일어나는 心所(大善地法)의 하나라 하고, 유식종에서는 心所의 하나라 한다. 마음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惛沈掉擧를 여의어서 생각에 잠기거나 들뜨지 않고 平等·平靜을 유지하는 작용. 三受·五受로 나누고 그 하나로 捨受(不苦不樂受·不苦不樂覺)를 든다. 이는 도 아니고 도 아닌 무관심적인 印象感覺이라고 할 수 있다.

 

평등(平等) : (1) 共通인 것.

(2)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

(3) 동등인 사람.

(4) 尊卑間의 평등. 거의 같은 사람.

(5) 憎愛好惡을 넘어 초연한 것.

(6) 한결같이 누구에게도 같이 함.

(7) 조화 신체구성 요소인 (粘液)의 조화가 되어 있는 것.

(8) 무차별의 세계 모든 현상을 일관하는 절대의 진리.

(9) 진언밀교에서 말하는 32脈管의 하나.

(10) 推論(比量)의 일종. 현재 하나의 사실에서 현재의 다른 사실을 推知하는 것.

(11) 平等王의 약칭. 閻魔王을 말함.

 

염마왕(閻魔王) : 幽冥界으로 흔히 염라대왕이라 함은 이 왕을 일컬음. 귀신 세계의 왕으로서 死後幽冥界를 지배하는 왕이다. 後世에 발달된 密敎에서는 胎藏界 만다라의 外金剛部 중에 있어서 護世八天·十方護法神王·12의 하나이다.

 

오온(五蘊) : 五陰이라고도 한다. 은 범어 skandha의 번역. 塞建陀音譯하며 모인다는 뜻. 가지가지의 종류를 일괄해서 聚說한다는 뜻. 五蘊이라 함은 色蘊(물질受蘊(印象感覺想蘊(知覺·表象) ·行蘊(意志 기타의 마음 작용 등識蘊()의 총칭. ··은 대체로 마음의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五蘊은 물질계와 정신계의 양면에 걸치는 일체의 有爲法(인연에 의해서 생긴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五蘊有情個體를 형성하는 을 강조한 말로 보면, 五蘊心身環境을 가리킨다. 육신은 구체적인 하나하나의 事物이 모두 인연(온갖 조건)에 의해서 五蘊이 잠정적으로 모여서 이루어진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을 五蘊假和合이라 하고, 특히 有情의 개체에 대해서 말한다면 나라고 하여 집착할 實體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행온(行蘊) : 聚集이란 뜻. 五蘊의 하나. 有爲法의 인연을 조작하여 三世遷流하는 것을 이라 하고 이 가운데 을 제외한 ···의 네 가지와 그밖의 有爲法行蘊이라 함. 積集의 뜻. 5은 모두 이 뜻이 있으며, 行蘊 가운데는 다른 4보다 이 造作·遷流하는 의 뜻을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특히 行蘊이라 한다. 說一切有部에서는 46心所에서 ·을 제외한 44不相應法 14를 합한 58법을 총칭하여 行蘊이라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終敎)  (0) 2018.04.29
파도가 곧 물이로다  (0) 2018.04.29
필경공(畢竟空)  (0) 2018.04.28
천계(天界)  (0) 2018.04.28
주(呪)  (0) 2018.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