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생인(衆生忍) 중생인(衆生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二忍의 하나. 生忍이라고도 한다. 보살이 중생들로부터 갖가지 迫害를 받더라도 끝까지 忍耐하여 不嗔不惱하며 원수 갚을 생각을 갖지 않는 마음. 참고 이인(二忍) : 보살이 수행해야 할 두 가지 忍. 忍은 忍耐 · 忍可 · 安忍..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15
천태사교(天台四敎) 천태사교(天台四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천태종에서 세운 敎義로 여기에 化儀四敎와 化法四敎의 구별이 있다. ① 天台智者대사가 부처님의 一代敎說을 그 형식에 따라 4종으로 나눈 것을 化儀四敎라 한다. 곧 頓敎·漸敎·秘密敎·不定敎가 그것. ② 부처님의 說..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14
팔한지옥(八寒地獄) 팔한지옥(八寒地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8大地獄 밖에 다시 8處의 寒지옥이 있다. 즉 찬 얼음으로써 고통을 받게 하는 여덟가지 큰 지옥. 남섬부주의 밑으로 5백유순 되는 곳으로 팔열지옥의 곁에 있다고 한다. (1) 알부타(범어 Arbuda, 頞部陀라 음역하고 皰라 번역).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14
평등성지(平等性智) 평등성지(平等性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智의 하나. 평등한 것을 아는 智. 자기와 타인과의 평등성을 이해하는 智. 자타의 평등을 體現하는 智. 有漏의 제 7末那識을 발전시키면 이 지혜를 얻는다. 이 지혜로 일체의 모든 것과 자기와 타인이 평등인 것을 알아서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13
청정(淸淨) 청정(淸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uddha.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난 깨끗함. 戒行이 아주 조촐함. 自性淸淨과 離垢淸淨의 2종이 있음. 참고 계행(戒行) : 戒를 받은 뒤 戒法의 조목에 따라 이를 실천 修行하는 것. 계법(戒法) : ① 부처..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12
총상(總相) 총상(總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총괄적 보편적인 양상을 總相, 개별적 특수적인 양상을 別相이라 한다. 예를 들면, 모든 有爲法에 통하는 無常·無我 등의 相이 總相인데 대해, 물에만 있는 濕相과 같은 것이 別相이다. 또 佛陀의 像을 보는데도 전체를 보는 것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12
화두의 열 가지 병 화두의 열 가지 병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화두는 들어 일으키는 곳에서 알아맞히려 하지도 말고, 생각으로 헤아리지도 말며, 또한 깨닫기를 기다리지도 말아라. 더 생각할 수 없는 곳에까지 나아가 생각하면, 마음이 더 갈 곳이 없어서 마치 늙은 쥐가 쇠뿔 속으로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11
자재(自在) 자재(自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마음대로 무엇이나 자유롭지 않은 것이 없고 장애할 것이 없음을 일컫는 말. 불·보살이 갖춘 功德의 하나. 그래서 佛을 自在人이라고도 한다. 보살이 가진 自在力에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➀ 二種自在. (1) 觀境自在. 眞如와 다..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11
종파(宗派) 종파(宗派)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釋尊 滅後 賢聖이 각각 敎에 의지해서 주장하는 敎義 · 行事 · 作法 등이 서로 다른데서 생긴 分派. 인도에서 小乘十二部를 비롯, 大乘의 中觀, 瑜伽宗의 2宗이 있었으며 중국에서는 毘曇宗 · 成實宗 · 律宗 · 三論宗 · 涅槃宗..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11
정위(頂位) 정위(頂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頂法이라고도 하며 四善根의 하나. 四善根중 煖·頂의 二位를 動善이라 하며 忍·世第一의 2를 不動善이라 하는데, 頂法은 動善 가운데 最極의 位이므로 마치 사람의 정수리와 같으므로 善法이라 한다. ① 小乘 俱舍宗에서는 四諦..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