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법아라한(退法阿羅漢) 퇴법아라한(退法阿羅漢)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6종아라한의 하나. 근기가 가장 둔한 아라한. 질병 등의 나쁜 인연을 만나면, 한 번 얻었던 아라한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는 이. 참고 육종아라한(六種阿羅漢) : 阿羅漢의 能力에 따라 여섯가지로 분류한 것. (1) 退法阿..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1
자이나교(Jaina敎) 자이나교(Jaina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와 함께 인도의 二元敎的 금욕주의 종교. B.C. 6~5세기경부터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는 무신론. 개조는 마하비이라(Mahavira)로 석존과 거의 같은 시대의 사람. 지나(jina : 勝者)라고도 부르며, 지나의 가르침이기 때문에 자이나..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1
한 물건(불교성전) 한 물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여기 한 물건이 있는데, 본래부터 한없이 밝고 신령하여 일찍이 나지도 않았고 죽지도 않았다. 이름지을 길 없고 모양 그릴 수도 없다. 한 물건이란 무엇인가. 옛 어른은 이렇게 노래했다. 옛 부처 나기 전에 의젖한 둥그러미 석가도 알..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0
처영(處英)-僧 처영(處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조선시대 승려. 호는 雷黙. 서산대사 淸虛의 제자. 1592년 임진왜란 때에 전라도에서 승의병을 일으켜 왜병과 싸워 전공이 많다. 1794년 왕명으로 대흥사의 표충사와 묘향산 수충사에 서산·사명과 함께 그 진영을 봉안케 하였다. 참..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9
평등성지(平等性智) 평등성지(平等性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智의 하나. 평등한 것을 아는 智. 자기와 타인과의 평등성을 이해하는 智. 자타의 평등을 體現하는 智. 有漏의 제 7末那識을 발전시키면 이 지혜를 얻는다. 이 지혜로 일체의 모든 것과 자기와 타인이 평등인 것을 알아서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8
정인불성(正因佛性) 정인불성(正因佛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因佛性의 하나. 涅槃經의 說로, 일체의 邪와 非를 여읜 中道正法의 진리란 뜻. 이 佛性은 일체중생이 다 가지고 있는 中道眞如의 부처될 本性을 말함. 참고 삼인불성(三因佛性) : 佛性에 3종의 因이 있음을 말한 것. 곧 (1)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7
주지(住持) 주지(住持)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세상에 머물러서 敎法을 保有하는 것. 住持三寶. 住持佛의 뜻으로 사용된다. ② 寺院의 주관자. 禪宗의 용어. 전임 主職인 住持를 前住, 現任의 住持를 現住, 後任의 그것을 後住라고 한다. 禪宗에서는 前住를 東堂이라고도 한다...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7
팔부정견(八不正見) 팔부정견(八不正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바른 이치에 어기는 8종의 견해. (1) 我見. 참으로 我의 體가 있다는 迷한 소견. (2) 衆生見. 5蘊이 화합하여 된 것이 중생이라는 미한 소견. (3) 壽命見. 길고 짧은 수명이 실지로 있다는 미한 소견. (4) 士夫見. 중생에게 참으로..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6
호법아라한(護法阿羅漢) 호법아라한(護法阿羅漢)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6종 아라한의 하나. 아라한과를 얻은 이 중에 자기의 얻은 바 법을 잃어버릴까 하여 항상 지키기에 힘쓰는 아라한. 참고 육종아라한(六種阿羅漢) : 阿羅漢의 能力에 따라 여섯 가지로 분류한 것. (1) 退法阿羅漢. 惡한 緣..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5
팔각(八覺) 팔각(八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체의 번뇌를 일으키는 8종의 나쁜 생각. (1) 욕각(欲覺). (2) 진각(瞋覺). (3) 뇌각(惱覺). (4) 친리각(親里覺). 고향 · 친척 등을 기억하는 마음. (5) 국토각(國土覺).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 (6) 불사각(不死覺). 재산을 많이 가졌으므로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