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경법(八敬法) 팔경법(八敬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八敬戒·八尊師法·八不可越法·八不可過法을 말하고 비구니가 비구에 대하여 지켜야 할 법. (1) 100세의 비구니라도 새로 수계를 받은 비구를 보면 일어나서 맞아 淨座에 앉게 한다. (2) 비구니는 비구를 비방할 수 없다. (3) 비..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24
청련화(靑蓮華) 청련화(靑蓮華)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도에 나는 연꽃의 일종으로 優鉢羅華라고도 하며 연꽃 중에도 귀하게 여김. 睡蓮이라고도 함. 참고 우발라화(優鉢羅華) : 범어 utpala. 연꽃의 일종. 학명은 Nymphaea tetragona. 곧 睡蓮. 뿌리를 물 밑에 뻗고, 둥근 잎만 수면에 뜬다...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24
자업자득(自業自得) 자업자득(自業自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자기가 지은 선악의 업은 자기 자신이 받지 않으면 안되는 인과응보의 법칙을 자업자득이라 한다. 곧 自因自果의 業道를 일컫는 말. 참고 자업(自業) : 각각의 감각기관의 작용. 자득(自得) : 스스로 한 일에 대해 갚음을 받..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24
태장계(胎藏界) 태장계(胎藏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garbha-kosa(dhatu). 孽波矩奢駄都라 음역. 혹은 蘗縛俱舍라 음역. 밀교의 2大法門(금강계 · 태장계)의 하나. 태장계에는 含攝의 뜻과 攝持의 뜻이 있다. 어머니의 태 안에 5장 6부 등 몸의 중요한 기관이 있는 밖에 태안의 아이..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23
칠법불가피(七法不可避) 칠법불가피(七法不可避)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生불가피. 선악의 業에 의하여 苦와 樂이 일어남을 피할 수 없음. (2) 老불가피. 어떤 사람도 늙음을 피할 수 없는 것. (3) 病불가피. 육신을 가지고 있는 한 病魔를 피할 수 없는 것. (4) 死불가피. 어떠한 존재도 죽음..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23
지정각세간(智正覺世間) 지정각세간(智正覺世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種世間의 하나. 智度論四十七 및 止觀五에 의하면, 석가여래 敎化의 경계로서 중생이 의지하는 國土인 器世間(國土世間)과 석가세존의 敎化의 機類인 衆生世間. 여래가 大智慧를 갖추어서 世間·出世間의 法을 覺..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22
진실공덕상(眞實功德相) 진실공덕상(眞實功德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極樂淨土의 正報(肉身)와 依報(國土 · 衣食住 등)는 아미타불의 공덕으로 이룩된 것이므로 이렇게 부름. 아미타불이 法藏보살 때의 四十八願을 세워 공덕을 쌓았으므로 저 세계에 往生하는 모든 사람이 다 같이 저..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21
탐애(貪愛) 탐애(貪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의 5境을 탐하여 애착하는 것. 참고 육경(六境) : 五官 또는 그 기능을 五根이라고 하고, 五根에 意根(마음, 十二處에서는 意處라고 한다)을 더하여 六根이라 하며, 六根의 對境을 六境이라고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21
장아함경(長阿含經) 장아함경(長阿含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Dirghagama-sutra. 四阿含의 하나. 姚秦의 佛陀耶舍와 竺佛念이 함께 번역함. 四阿含 가운데 비교적 장편의 경문을 모은 것이므로 長阿含經이라 함. 4分 30經으로 되어 四諦 12인연의 가르침을 말한 것. 제1분에는 과거 七佛..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20
칠유(七有) 칠유(七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有는 生死의 과보를 가리킨다. 또는 果報 받을 因을 말함. 地獄有 · 傍生有(축생) · 餓鬼有 · 天有 · 人有 · 業有 · 中有의 7종 또는 人界의 七生과 欲天의 七生을 합하여 일컫는 말. 참고 유(有) : 범어 bhava의 번역. 有情으로서..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