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모진(兎毛塵) 토모진(兎毛塵)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토끼털 위에 앉을 수 있는 작은 먼지. 인도에서 극소한 수의 명칭의 하나. 金塵의 칠배는 水塵이고, 水塵의 칠배는 兎毛塵이다. 극미수의 1,401배이다. 참고 미진(微塵) : 범어 rajas. 물질의 極少를 極微라 하고, 極微를 7배한 것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5
정토문(淨土門) 정토문(淨土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의 힘에 의해 극락정토에 일단 往生하여 깨달음을 얻는(곧 彼土入證)법을 淨土門이라 하며, 이에 대해 이 세상에서 깨달음을 얻어 聖者가 되고자 하는 此土入證의 宗門을 聖道門이라 한다. 참고 아미타불(阿彌陀佛) :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4
한 개의 숫돌(불교성전) 한 개의 숫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자여, 그대의 한 그릇 밥과 한 벌 옷이 곧 농부들의 피요 직녀들의 땀인데, 도의 눈이 밝지 못하고야 어찌 삭여낼 것인가. 그러므로 말하기를 「털을 쓰고 뿔을 이고 있는 것이 무엇인 줄 아는가? 그것은 오늘날 신도들이 주는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3
칠방편(七方便) 칠방편(七方便)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小乘의 七賢位. 見道의 聖道에 들어가는 행위이므로 방편이라 한다. ② 천태종에서는 諸敎에 2종의 7방편이 있음을 말한다. (1) 人乘·天乘·聲聞乘·緣覺乘·藏敎의 보살승·通敎의 보살승·別敎의 보살승. (법화경 藥草喩..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2
절상일승(絶想一乘) 절상일승(絶想一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種一乘의 하나. 華嚴宗의 所說. 究極的인 敎인 一乘敎를 始敎·終敎·頓敎·圓敎에 각각 配屬시켜서 말하는 가운데 頓敎의 一乘을 絶想一乘이라 했다. 思考·言語·文字를 초월하여 직접 절대의 진리에 體現하는 一乘..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1
허공(虛空) 허공(虛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阿迦舍라 음역. 일체 諸法이 존재하는 곳으로서의 공간. ① 다른 것을 막지 않고, 다른 것에 막히지도 않으며, 物 · 心의 모든 법을 받아들이는 당체. 곧 空間을 말함. 이 허공에는 橫遍 · 竪常 · 無礙 · 無分別 · 容受 등의 뜻이..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01
자성신(自性身) 자성신(自性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法 · 報 · 應 三身의 하나. 法身을 自性身이라 함. 自性 受用 變化 三身의 하나. 法相宗에서 세운 三身임. 用變化三身이라고도 함. 法 · 報 · 應 三身의 法身과 같은 佛身을 여기서 自性身이라 함. ② 진언밀교에서 세운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31
진지(眞智) 진지(眞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智의 하나. ① 진리를 깨달은 지혜. 開悟한 지혜. ② 무차별 평등의 절대 智를 觀照하는 지혜. 참고 진리(眞理) : 참된 이치. 참된 도리. 佛法을 말함. 만인에게 보편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인식의 내용. 지혜(智慧) : 六波羅蜜의 하나..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31
좌구(坐具) 좌구(坐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nisidana의 번역으로 敷具·隨坐衣라고도 번역하며 尼師壇이라 音譯한다. 三衣·鉢·漉水囊(녹수낭)과 더불어 比丘가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는 6종 생활필수품 곧 六物의 하나로서 앉고 누울 적에 까는 長方形의 布로 일종의 방..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31
화취(火聚) 화취(火聚)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맹렬한 불꽃이 세차게 타오르는 지옥으로 생전에 지은 죄업에 의하여 떨어진다고 함. ② 사람의 몸을 싫어하고 두려워하는 것을 火聚라 함. ③ 瞋恚를 비유하여 火聚라 함. 涅槃經 十五에 「이 마음은 조복시키기가 어려우니 마..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5.30